• 제목/요약/키워드: EA competenc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EA 전문가 역량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etency Model for EA Experts)

  • 최종섭;이호형
    • 정보화연구
    • /
    • 제9권1호
    • /
    • pp.79-93
    • /
    • 2012
  • 본 연구는 EA 전문가의 역량을 정의하기 위해 국내외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EA 전문가의 기초적이고 공통적인 역량을 도출하였다. 특히 EA의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공통으로 참조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정의하여 향후의 지속적인 발전모델의 기초로 삼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EA의 공통, 개발, 분석, 관리 등 4개 핵심역량을 정하여 각 역량의 정의를 제시하였으며 경력 단계별(아키텍트, 엔터프라이즈 아키텍트, 수석 아키텍트)로 역량의 중요도를 구분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EA 전문가와 정보화 담당자의 EA 이해도를 제고하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표준 역량과 커리큘럼 작성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EA 거버넌스와 EA 역량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EA Governance and EA Competency of Public Agencies)

  • 김기백;이철규;유왕진;문종범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03-114
    • /
    • 2012
  • 최근 정보시스템의 중복투자 방지와 상호운영성 증대를 위해서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보자원관리(IRM)를 위해 EA(Enterprise Architecture)를 도입 활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EA를 더욱 성과지향적으로 통제관리하기 위해 EA 거버넌스를 도입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공기관의 EA 거버넌스 수준과 EA 역량에 대한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수행하였다. EA를 도입 활용하는 정보화 부서에 종사하는 총190명을 대상으로 관련 가설을 수립하여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EA 거버넌스의 EA기능 프로세스, EA 조직과 인력 수준 모두 도입 후 EA관리와 활용 역량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EA 조직과 인력 수준이 EA 수립에는 그 다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은 대부분의 공공기관들이 처음 EA 도입구축 시 관련 예산 부족 등으로 전문 인력 미확보와 전담 조직을 미처 갖추지 못하고 외부 전문가에 의존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특히 EA 거버넌스가 단계적으로 EA수립 역량의 수준에 따라 두 번째 단계인 EA관리 역량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EA관리 역량의 수준이 세 번째 EA활용 역량에 충분히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결과가 규명되었다.

MIS 정체성과 IS 핵심 역량 관점의 MIS 교육과정 방향 및 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S curriculum directions and courses based on the MIS identity and IS core competency)

  • 장윤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253-270
    • /
    • 2012
  • MIS 전공은 전 세계적으로 전공자 감소와 정체성에 대한 논의로 위기를 맞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기업에서의 IS 역할은 더욱 중요하며, 역량있는 IS 인력은 기업과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다. 본 연구는 IS 인력을 양성하는 대학이 수요지향적인 IS 역량을 가진 인력을 배출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관련 선행연구, 북미 표준교육과정인 IS 2010, MSIS 2006, 국내 IT 인력 양성사업의 현황, 그리고 국내 SI 기업들의 인력양성 현황 등을 다양하게 살펴보았다. 향후 요구되는 IS 핵심역량에 기초한 미래지향적인 주요 교과목들은 ITA/EA, IT 거버넌스, IS 컨설팅, IS 전략과 정책, 시스템 분석 및 설계, DW/DM, BI, 최신 IT 기술, Packaged Solution 관련 과목, IT 감리/평가/보안 관련 과목, 프로젝트 관리, IT 서비스 관리 등이며, 비즈니스와 시스템에 대한 통합적 시각을 갖출 수 있는 캡스톤 과목의 신설이 요구된다. 또한 논리적, 분석적 사고, 문제 해결력, 커뮤니케이셔 등의 소프트 스킬을 개발할 수 있는 과목과 효과적인 교수법이 요구되며, 인턴십, 멘토링 프로그램 위한 산학협력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었다.

공학전문가가 인식하는 공학기초능력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ituents of Engineering Basic Competency based on the Recognition of Engineers In the Field)

  • 김대영;김기수;김판욱;노태천;류창열;최완식;최유현;구진희;노희진;이진우;이창훈;정수진;강현무
    • 공학교육연구
    • /
    • 제9권2호
    • /
    • pp.34-51
    • /
    • 2006
  • 21세기 지식기반사회의 공학기술자들에게는 전공분야 지식은 물론이고 창의적 사고, 협업능력, 의사 소통능력, 리더쉽 등의 공학기초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공학분야 인재 육성을 책임지고 있는 공과대학도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공학기초능력이 포함된 교육과정 개발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공학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 적용되고 있는 국내외 엔지니어증 프로그램 관련 자료를 비롯해서 영국엔지니어링위원회의 UK-SPEC, 호주엔지니어링협회의 EA 기준/핸드북, 미국의 직업정보망 O*NET의 자료를 활용해서 바람직한 공학기술자에게 필요한 공학기초능력을 규명하기 위하여 공학기초능력을 구성하는 핵심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추출된 핵심요소들은 인문사회학적 공학소양능력(HSS), 창의공학설계능력(CED), 엔지니어의 자기계발능력(ECD)과 같이 3개 대영역으로 범주화하고, 각각의 범주와 핵심요소들에 대한 산업현장 엔지니어의 델파이조사로 공과대학에서 육성해야 할 공학기초능력을 고찰하였다.

컨설턴트의 역량이 서비스 품질을 통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 창의성과 혁신성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ultants' competenc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service quality: focusing on organizational creativity and innovation)

  • 이정애;서영욱;이정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77-584
    • /
    • 2020
  • 본 연구는 경영 컨설턴트의 역량(개인능력, 전문성)과 컨설팅 서비스 품질(신뢰성, 확신성)이 조직의 창의성과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연구대상은 컨설팅을 받은 경험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조사한 62개 기업( 80명)의 표본자료를 SPSS 25.0와 Smart PLS 2.0을 활용, 통계를 바탕으로 처리하여 빈도 분석과 신뢰성,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컨설턴트 역량의 개인 능력과 전문성은 컨설팅 서비스 품질의 신뢰성과 확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둘째, 컨설팅 서비스 품질의 신뢰성과 확신성 또한 조직성과 부분의 창의성과 혁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다(p<0.001, p<0.05). 단, 서비스 품질의 신뢰성은 조직성과 부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미미한 것 나타났다. 셋째, 기업의 조직성과 부분에서 조직의 창의성은 조직의 혁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p<0.001) 궁극적으로는 조직의 창의성과 혁신성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종합하면, 경영 컨설팅의 경우 컨설턴트의 역량 및 제공되는 서비스의 품질에 따라 기업의 조직내 창의성과 혁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결과적으로는 기업의 경영성과 향상에 기여하기 때문에 컨설팅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컨설턴트는 개인의 능력 및 전문성,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기업의 조직내 창의성과 혁신성이 내재될 수 있도록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전략을 구축하여 기업의 경영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여 중소기업 컨설팅의 품질을 높이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혁신이 요구되는 중소기업들의 성장에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