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 purpurea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Echiacea 속 식물에 적합한 수경재배 시스템 선발 (Selection of Optimum Closed Hydroponic System for Production of Echinacea spp.)

  • 이혜진;유형주;이용회;최기영;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7-111
    • /
    • 2009
  • Echinacea 청정대량생산을 위해 재배환경조절이 강한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Echinacea 뿌리와 잎 생산에 적합한 수경재배 시스템을 선발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공시작물은 E. angustifolia DC. 와 E. purpurea (L.) Moerch이며 NFT, modified NFT, DFT, aeroponics, Ebb & Flow등 5가지 시스템을 사용하여 150일간 실험하였다. 120일 수경재배한 두 종 모두 광합성 및 증산률은 Ebb & Flow 시스템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정식 후 150일 째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E. angustifi이za의 경우 분무경과 DFT에서 높았고, E. purpurea는 분무경과 NFT에서 유의성 있게 높았다. 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E. angustifolia와 E. purpurea는 분무경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M-NFT에서 높았다 두 종 모두 뿌리의 길이는 두 종 모두 NFT 및 Ebb & Flow 시스템에서 높았고 분얼수는 E. purpurea가 분무경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Echinacea의 바이오매스 확보를 위한 수경재배 방식으로 광합성과 지상와 지하부 생육량이 E. angustifolia 와 E. purpurea 모두 높았던 분무경 시스템을 선발하였다.

Studies on the Anti-diarrheal Profiles of Bauhinia purpurea Linn Leaves (Fam. Caesalpiniaceae) Extract

  • Mukherjee, Pulok K.;Gopal, T.K.;Subburaju, T.;Dhanbal, S.P.;Duraiswamy, B.;Elango, K.;Suresh, B.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4권4호
    • /
    • pp.234-237
    • /
    • 1998
  • To evaluate the anti-diarrheal potential of the leaves of Bauhinia purpurea Linn.,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on different animal models e.g. castor oil induced diarrhea in rats and gastrointestinal motility test by using charcoal meal. In both the models the ethanolic extract of the leaves showed significant activity when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 group treated with standard anti-diarrheal agent also showed significant activity comparing with control. Thus this study establishes the efficacy of Bauhinia purpurea Linn. Leaves as an anti-diarrheal as claimed in folklore.

  • PDF

Effects of various receptor antagonists on the peripheral antinociceptive activity of aqueous extracts of Dicranopteris linearis, Melastoma malabathricum and Bauhinia purpurea leaves in mice

  • Zakaria, Zainul Amiruddin;Sodri, Nurul Husna;Hassan, Halmy;Anuar, Khairiyah;Abdullah, Fatimah Corazon
    • 셀메드
    • /
    • 제2권4호
    • /
    • pp.38.1-38.6
    • /
    • 2012
  •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possible mechanisms of the peripheral antinociception of the aqueous extracts of Dicranopteris linearis (AEDL), Melastoma malabathricum (AEMM) and Bauhinia purpurea (AEBP) leaves in mice. Briefly, the antinociceptive profile of each extract (300, 500, and 1000 mg/kg; subcutaneous (s.c.)), was established using the abdominal constriction test. A single dose (500 mg/kg) of each extract (s.c.) was pre-challenged for 10 min with various pain receptors' antagonists or pain mediators' blockers and 30 min later subjected to the antinociceptive assay to determine the possible mechanism(s) involved.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all extracts exerted significant (p < 0.05) antinociceptive activity with dose-dependent activity observed only with the AEMM. Furthermore, the antinociception of AEDL was attenuated by naloxone, atropine, yohimbine and theophylline; AEMM was reversed by yohimbine, theophylline, thioperamide, pindolol, reserpine, and 4-chloro-DL-phenylalanine methyl ester hydrochloride; and of AEBP was inhibited by naloxone, haloperidol, yohimbine and reserpine. In conclusion, the antinociceptive activity of those extracts possibly involved the activation of several pain receptors (i.e. opioids, muscarinic, ${\alpha}_2$-adrenergic and adenosine receptors, adenosine, H3-histaminergic and $5HT_{1A}$, dopaminergic receptors).

Effects of the Aqueous Extract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Expressions of Cyclooxygenase-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 Mouse BV2 Microglial Cells

  • Jung, Chang-Young;Sung, Yun-Hee;Kim, Sung-Eun;Kim, Chang-Ju;Han, Seung-Ho;Lee, Choong-Yeol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051-1056
    • /
    • 2006
  • Rehmanniae radix preparata is the root of Rehmanniae glutinosa Liboschitz var. purpurea Makino which has been classified into Scrophulariaceae. Rehmanniae radix preparata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for the relief of the pain, and for the anti-oxidative action.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aqueous extract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ion was investigated by using 3-(4,5-dimethylthiazol- 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estern blot, prostaglandin E2 immunoassay, and nitric oxide (NO) detection in mouse BV2 microglial cells. In the present results, the aqueous extract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suppressed prostaglandin E2 (PGE2) synthesis and nitric oxide production by inhibiting the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expressions of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mRNA and protein in mouse BV2 cells. These results show that Rehmanniae radix preparata exerts anti-inflammatory effect probably by suppressing of COX-2 and iNOS expressions.

국내산 주요허브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활성 및 세포독성 (Antioxidant, Antimicrobial Acitivities and Cytotoxicity of Hot Water Extracts of Major Herbs in Korea)

  • 강다래;심관섭;최호성;나종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21-830
    • /
    • 2017
  • 본 연구는 10종 허브 추출물에 대한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 항균효과 및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항생제 대체제로서 활용 가능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10종의 허브 추출물의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은 로즈마리, 오레가노 및 캐모마일이 각 49.9, 48.9, 47.7%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허브 추출물의 E. coli K99와 S. typhimurium에 대한 항균활성은 베르가못, 오레가노, 타임과 로즈마리가 두 균주에 공통적으로 활성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활성이 나타나는 농도에서의 세포독성이 비교적 낮아 안전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 유기 축산을 위한 가축 내 천연 항생제 대체제로 항균 및 항산화 활성이 높고, 세포독성이 낮게 나타난 오레가노와 로즈마리가 천연물질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다양한 추출 조건으로 최적 추출 효율을 검토하여 추가적인 생리활성물질 검정과 해당 물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홍국균 발효가 콩의 GABA와 유리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nascus-fermentation on the Content of GABA and Free Amino Acids in Soybean)

  • 표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9호
    • /
    • pp.1208-1213
    • /
    • 2008
  • 콩 기질에 대한 홍국균의 접종 발효는 원료 콩에 함유된 GABA와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강화시키는 유효한 발효 기법으로 나타났다. 선별된 5가지 균주(M. pilosus IFO 480, M. anka IFO 873, M. kaoliang ATCC 592, M. purpurea IFO 482, M. kaling ATCC 598)로 발효시킨 홍국 발효콩은 비발효콩에 비해 GABA의 함량이 2배 이상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활성이 강한 균은 Monascus pilosus IFO 480으로 나타났다. Monascus pilosus IFO 480으로 $30^{\circ}C$에서 30일간 발효시킨 홍국 발효콩의 발효기간 중 GABA(발효 20일)와 유리아미노산(발효 10일) 함량의 최대 변화는 비발효콩에 비해 각각 2.5배와 5.6배 증가되었다. 특히 발효 20일 경에 GABA의 생성량은 건조 발효콩 100 g당 78.5 mg으로 나타나 비발효콩의 31.5 mg에 비해 149% 증가된 것으로 비교되었다. 또한 홍국 발효콩에 함유된 필수아미노산의 함유율은 비발효콩에 비해 3.6배 증가되었으며 특히 threonine, leucine, lysine 등의 증가율은 비발효콩에 비해 $12{\sim}24$배까지 두드러져 홍국 발효콩은 이들 아미노산의 강화에 매우 유효한 발효기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GABA와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강화된 홍국 발효콩은 다양한 약리학적 소재뿐 아니라 영양학적 소재류에서도 매우 활용가능성이 높은 복합기능성의 신소재로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