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 faecali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1초

Gutta-percha 또는 Resilon을 사용한 근관충전이 상아세관 내의 Enterococcus faecalis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NAL FILLING WITH GUTTA-PERCHA OR RESILON ON ENTEROCOCCUS FAECALIS IN BOVINE DENTINAL TUBULES)

  • 지상욱;김의성;정일영;유윤정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5호
    • /
    • pp.385-392
    • /
    • 2005
  • 목적은 근관충전이 상아세관 내에 남아있는 세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가터퍼차와 resilon의 밀폐 능력을 상아 세관 내에 남아있는 세균의 생존 여부를 통하여 비교하는 것이다. 발치된 우전치로 치아시편에 E. faecalis를 접종하고 제 1군은 음성대조군, 제 2군은 양성대조군, 제 3군은 ZOE 계통의 근관전색제와 가터퍼차, 제 4군은 레진 계통의 근관전색제와 가터퍼차 제 5군은 레진 계통의 근관전색제와 resilon으로 근관 충전하였다. 각 시편은 1, 2, 3주 및 4주간 보관한 뒤 round bur로 근관 내를 삭제하여 얻은 상아질을 배양하고 혼탁도를 측정하였다. 1. Nail varnish로 상아세관을 완전히 밀폐한 경우, 상아세관 내의 E. faecalis의 수는 가터퍼차 및 resilon으로 근관 충전 한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차 있게 감소하였다 (p < 0.05) .2. 레진 계통의 근관전색제와 resilon으로 근관충전 한 군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아세관 내의 E. faecalis의 수가 유의차 있게 감소하였다 (p < 0.05) 3. 가터퍼차와 resilon으로 근관충전한 군 사이에 상아세관 내에 남아있는 E. faecalis의 생존 정도는 통계학적 유의차가 없었다 (p > 0.05).

시판 건해산물에서 분리한 Enterococcus faecalis와 E. faecium의 미생물학적 특성 (E. faecalis and E. faecium Isolated in Dried Marine Products)

  • 함희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4-299
    • /
    • 2007
  • 서울시 가락동 수산물 도매시장에서 시판되는 건포류 164건에 대해 API strep kit를 사용하여 87주의 균주들을 분리하였고 이 가운데 28주에서 E. faecalis, and E. faecium가, 11주에서 Lactococcus lactis ssp. lactis가 분리되었다. 28주의 E. faecalis와 E. faecium에서는 내성을 나타내는 항생제들이 streptomycin(95.6%), kanamycin(84.5%), gentamycin(66.7%), cephaloxin(97.8%), ampicillin/sulbactam(88.9%), ticarcillin(66.7%), amikacin(97.8%), sulfonamides(97.8%), ceftriaxone(75.6%), nalidixic acid(100.0%), 그리고 cefoxitin(100.0%) 등이었고, 감수성을 나타내는 항생제들은 amoxicillin/clavulanic acid(97.8%), chloramphenicol(95.6%), solfamethoxazole/trimethoprim(97.8%), 그리고 tetracycline(71.1%)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가운데 가장 많은 다제내성 형태로는 10 균주의 E. faecalis에서 나타난 $S-K-GM-CF-SAM-TIC-An-S_3-CRO-NA-FOX$에 대한 것이었다. 결국, 건포류에서 분리한 E. faecalis 균주에서 항생제 다제내성이 분포함으로 나타나 probiotics로 사용되고 있는 이러한 균에 대한 항생제 내성의 결과가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Propidium monoazide와 real-time PCR을 이용한 살아있는 Enterococcus faecalis의 선택적인 검출 (SELECTIVE DETECTION OF VIABLE ENTEROCOCCUS FAECALIS USING PROPIDIUM MONOAZIDE IN COMBINATION WITH REAL-TIME PCR)

  • 김신영;이승종;김의성;서덕규;송윤정;정일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6호
    • /
    • pp.537-544
    • /
    • 2008
  • 세균의 검출에 있어서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방법은 기존의 plate counting과 달리 빠르게 세균을 검출할 수 있다. 하지만 세균이 죽은 후에도 DNA는 장기간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DNA에 기초한 분석은 살아있는 세균과 죽은 세균을 구분할 수 없다. 최근에 DNA extraction전에 propidium monoazide (PMA)를 처리하여 살아있는 세균만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PMA는 손상된 세포막만 통과하여 죽은 세포의 DNA와 빛 노출 하에서 결합하여 PCR이 증폭되는 것을 막는다. Enterococcus faecalis는 근관치료의 실패에 있어서 중요한 원인이 되는 세균으로 제시되어 왔다. 그리고 chlorhexidine (CHX)은 E. faecalis의 제거에 있어서 효과적인 약제임이 밝혀졌다. 이번 실험의 목적은 세균 수의 측정에 있어서, PMA 처리와 real-time PCR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기존의 plate counting과 비교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E. faecalis에 대한 2% CHX의 살균 효과를 PMA 처리 후 real-time PCR 방법을 사용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실험 방법으로 먼저 살아있는 세균과 죽은 세균을 다른 비율로 섞어서 PMA를 처리한 후 real-time PCR을 시행하여 PMA가 빛 노출 하에서 죽은 세균의 DNA와 결합하는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PMA 처리 후 realtime PCR 방법을 이용하여 살아있는 세균의 양을 측정한 것을 plate counting으로 얻은 CFU와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2% CHX의 처리시간을 다르게 하였을 때 E. faecalis에 대한 살균 효과를 PMA 처리 후 real-time PCR 방법을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로 살아있는 E. faecalis의 비율이 감소할수록 Ct value는 증가하였다. 그리고 PMA 처리 후 real-time PCR 방법을 이용하여 세균의 양을 측정한 것과 plate counting으로 얻은 CFU 사이에는 Optical density (OD) 값이 1.0일 때까지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OD 값이 1.5일 때는, PMA를 처리한 후 real-time PCR을 시행했을 때 측정된 살아있는 세균의 양이 감소하였음에 반해서 plate counting에 의한 CFU는 계속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2% CHX을 오래 적용할수록 살아있는 E. faecalis의 상대적인 양이 감소하는 것을 PMA 처리와 real-time PCR 방법을 이용해 확인하였다.

Enterococcus faecalis 특이적 박테리오파지의 분리와 특성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Enterococcus faecalis bacteriophage)

  • 강희영;김석호;김정민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94-198
    • /
    • 2015
  • Enterococcus faecalis는 그람 양성의 조건 혐기성 세균으로 원내감염의 주요 원인균 중의 하나이다. E. faecalis에 특이적인 신규 박테리오파지 ECP3를 환경에서 분리하여 형태와 유전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ECP3 파지는 형태적으로 수축성 꼬리를 갖는 미오비리대 과에 속하며 E. faecalis를 특이적으로 사멸하지만 Enterococcus faecium를 포함한 다른 세균은 사멸시키지 않았다. ECP3 파지의 게놈은 이중 선형 DNA로 GC 함량이 35.9%이었으며 크기가 145,518 bp이며 220개의 구조유전자로 구성되어 있었다. ECP3 게놈과 가장 유사한 염기서열은 미오비리대 PhiEF24C 파지이었으며 전체 게놈 90%의 영역에서 97%의 유사도를 보였다. ECP3 파지는 한국에서 처음 분리된 E. faecalis 미오비리대 파지이며 E. faecalis 감염에 대한 신규 항균제로서 유망하다.

근관치료 실패와 관련된 Enterococcus faecalis 제거를 위한 치료 protocol의 재고찰 (RECONSIDERATION OF TREATMENT PROTOCOL ON THE REDUCTION OF ENTEROCOCCUS FAECALIS ASSOCIATED WITH FAILED ROOT CANAL TREATMENT)

  • 이우철;홍성태;손원준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6호
    • /
    • pp.560-569
    • /
    • 2008
  • 본 review 논문의 목적은 통상의 근관치료로 해결되지 않는 persistent periapical lesion의 원인이 되는 주요 세균을 제거하고자 시행한 여러가지 실험을 비교분석하여 과연 (1) Enterococcus faecalis가 근관치료 실패의 주요 원인균인지 (2) 그리고 과연 그렇다면 근관치료에 실패한 증례에서 E. faecalis와 biofilm을 제거할 수 있는 치료 protocol이 있는 것인지를 확인하여 보다 나은 근관치료 성공을 위한 치료 protocol의 확립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재조명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연구 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이나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가운데 어떤 특정한 연구를 통해 E. faecalis를 제거하는데 유의성있는 효과를 보인다고 알려진 세척액이나 약제를 막연한 기대감을 가지고 실제 임상에 사용하고 있는 실정에서 현재 진료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치료 protocol에 대한 검증이 절실한 시점에서 review해 본 결과 현재까지 진행되어 왔던 여러 연구 결과를 통해 확신할 수 있는 것은 치료 protocol에 따라 현재 사용하고 있는 근관세척액이나 근관내 약제만으로도 E. faecalis나 그 biofilm을 대부분 제거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이 그 protocol에 따라 근관치료 술식을 충실하게 이행한다 해도 근관치료가 100% 성공한다고 보장할 수는 없다. 물론 세균이 아닌 다른 요소에 의해 근관치료의 실패가 일어난다고도 할 수 있지만 그보다는 결국 체내의 면역반응에 저항하는 세균의 능력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높은 수준의 치료 성공률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제대로 된 치료 protocol을 따라 근관치료를 진행하면서 좀더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해 새로운 protocol을 개발하고 정립하는 과정이 계속되어야 한다.

ENTEROCOCCUS FAECALIS 추출물이 다형핵 백혈구의 METALLOPROTEINASE-8 분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Sonicated Extracts of Enterococcus faecalis on the Produc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8 by Human Polymorphonuclear Neutrophils)

  • 박성경;손원준;임성삼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2호
    • /
    • pp.138-144
    • /
    • 2005
  • Enterococcus faecalis의 추출물을 성인의 말초혈액으로부터 얻은 인간의 백혈구를 이용해 Matrix Metalloproteinase-8 (MMP-8)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Enterococcus faecalis를 배양한 뒤 초음파 분쇄를 하여 추출물을 얻어냈다. 이중 일부는 적정한 농도의 Ca(OH)_2$를 처리하였다. 이후 E. faecalis 추출물군, E. faecalis 추출물에 $Ca(OH)_2$ 를 처리한 군으로 분리하여 다형핵백혈구를 자극하여 MMP-8의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MMP-8는 처리하지 않은 PMN group에서도 나타났고, PMN을 E. coli LPS로 자극시킨 경우 증가하였다 (p < 0.05) SEF group 들에서는 MMP-8의 생성량이 SEF 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p < 0.05). 따라서 Enterococcus faecalis는 PMN의 MMP-8 생산 억제 효과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Ca(OH)_2$로 처리한 SEF 군의 경우 각기 다른 SEF 농도에서도 모두 MMP-8 생성량이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PMN 군보다 많았다 (p < 0.05) . 하지만 각 군들 사이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p > 0.05).

EndoVac®과 EndoActivator®를 이용한 근관세척법의 Enterococcus faecalis 제거 효율 평가 (EVALUATION OF ENTEROCOCCUS FAECALIS REMOVAL EFFICACY OF THE ENDOVAC® AND ENDOACTIVATOR® INTRACANAL IRRIGATION METHODS)

  • 송승곤;박세희;조경모;김진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5호
    • /
    • pp.390-396
    • /
    • 2009
  • 이 실험의 목적은 $EndoVac^{(R)}$$EndoActivator^{(R)}$를 이용한 근관세척시 근관 내 접종된 Enterococcus faecalis의 제거 효율을 기존의 irrigation needle을 이용한 방법과 비교 평가하고자 함이다. 발거된 70개의 단근치를 사용하였으며 .04 taper ProFile #40까지 근관형성 후 치아를 멸균하고 근관에 E. faecalis를 접종하고 배양하였다. 치아는 근관세척 방법에 따라 20개씩 3개의 실험군과 2개의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2.5% 치아염소산나트륨을 사용하여 근관세척 시행 후 일차 표본을 채취하였고, 다시 근관 내에 배양액을 채우고 24시간 동안 배양 후 이차 표본을 채취하였다. 표본은 colony forming units (CFU) 값을 얻기 위해 BHI agar plate에 배양하였다. 일차 표본 결과에서는 모든 실험치아 중 기존의 근관세척 방법을 이용한 하나의 근관에서 양성 배양을 보였다. 이차 표본 결과에서는 $EndoVac^{(R)}$ 실험군에서 가장 적은 양성 배양을 보였으며, 기존의 근관세척 방법과 비교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EndoVac^{(R)}$은 근관 내 접종된 E. faecalis의 제거에 있어 기존의 근관세척 방법보다 더 좋은 효율을 보였다.

서울시내 시판 식육에서 분리한 Enterococcus faecalis의 항생제 내성 유형, 다중약물 유출 펌프 유전자 및 병독성 유전자의 분포도 분석 (Analysis of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 and Distribution of Multi-drug Efflux Pump Genes and Virulence Genes in Enterococcus faecalis Isolated from Retail Meat in Seoul)

  • 최민경;최성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5-140
    • /
    • 2017
  • 본 연구는 서울시내에서 시판중인 식육에서 E. faecalis를 분리하고 이 균들의 항생제 내성 패턴, 항생제 유출 펌프 유전자 및 병독성 유전자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총 277개의 식육시료에서 93균주의 E. faecalis 를 분리하였다. 이 균주들의 항생제 내성비율은 ampicillin에는 35.5%, chloramphenicol에 6.4%, ciprofloxacin에 4.3%, eryhtromycin에 18.3%, quinupristin-dalfopristin에 76.3%, tetracycline에 45.2%의 내성이었으며 levofloxacin, teiconplanin 및 vancomycin에는 모든 균이 감수성이었다. 약물 유출펌프인 MFS 타입의 eme(A)와 ABC 타입의 efr(A)유전자는 모든 균주(100%)에서 확인되었으며 efr(B)는 98.9%, lsa는 91.4%의 균주에서 확인되었다. 병독성 인자인 gel(E)는 68.8%, ace는 90.3%, asa1는 47.3%, efaA는 91.4%, esp는 12.9%의 균주에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시판 식육에서 분리한 지표 미생물의 하나인 E. faecalis의 항생제 내성, 약물유출 펌프 및 병독서 유전자의 분포를 분석한 연구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포공영 클로로포름 분획의 김치 유산균 및 효모에 대한 저해 효과 (The Inhibitory Effects of Chloroform Fraction Extracted from the 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 D.) against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Related to Kimchi Fermentation)

  • 김진희;김미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60-566
    • /
    • 2001
  • 약용식물로 이용되는 한약재 21 종에서 깍두기의 보존성을 증가시킬수 있는 약재를 선별하고 효과가 우수한 한약재를 용매분획하여 김치 유산균 및 효모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중 포공영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클로로포름 분획추출물은 5 균주 중 Leu. mesenteroides와 S. faecalis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났으며, 농도별 항균활성은 E. faecalis는 80 mg/mL의 농도에서 배양 24시간까지 균증식이 억제되었으며, Leu. mesenteroides는 배양 24시간, L. plantarum는 배양 12시간까지 억제되었다. L. brevis는 포공영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을 함유한 배지에서는 별 영향을 받지 않았다. 효모인 S. cerevisiae는 20 mg/mL 이하의 저농도에서는 오히려 촉진되어 세균에 비해 저해활성이 약하게 나타났다. 포공영 클로로포름 분획추출물로 처리한 Leu. mesenteroides와 E. faecalis 두 균주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두 균주 모두 형태학적인 변화가 있음이 관찰되었다.

  • PDF

이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 제재의 근관 내 사용 시 시간에 따른 E. faecalis에 대한 항균성 평가 (Evaluation of time-dependent antimicrobial effect of sodium dichloroisocyanurate (NaDCC) on Enterococcus faecalis in the root canal)

  • 김혜정;박세희;조경모;김진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2호
    • /
    • pp.121-129
    • /
    • 2007
  • 이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 (NaDCC)은 염소 화합물의 일종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 (NaOCl)과 비교 시 동일한 농도의 용액에서 같은 염소 이온을 가지고 있으며 비슷한 정도의 항균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 근관 내 사용 시 시간에 따른 항균성을 평가하고 이를 현재 근관세척제로 사용되고 있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및 클로르헥시딘 (CHX)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E. faecalis에 대한 세 가지 제재의 최소증식억제 농도 (MIC)를 실험한 결과 NaOCl과 NaDCC에서는 0.125%를 보였고 CHX에서는 0.063%로 나타났다. 근관 내 사용에 대한 실험은 최근에 발거된 128개의 단근치를 사용하였으며 치경부와 치근단 부위를 절단하여 10 mm 길이를 가지는 시편을 만들었다. 시편의 내경은 #3 Gates-Glidden drill을 이용하여 동일하게 하였다. 각각의 치아 시편의 근관 내에 E. faecalis를 접종하고 3일간 배양한 후 40개씩 3개의 군으로 분류하고 대조군으로 8개의 시편을 이용하였다. 실험군 1, 2, 3은 각각 NaDCC, NaOCl, CHX으로 근관세척하였고 대조군은 멸균된 식염수를 이용하였다. 각 군은 다시 12시간, 24시간, 72시간, 7일의 시간에 따라 4개의 하위 군으로 분류하였다. 정해진 시간이 지난 후 멸균된 paper point를 이용하여 근관 내용물을 채취하고 BHI agar plate로 옮겨 배양하였다. 그 후 #4, 5GG drill을 이용하여 근관 내면을 삭제하고 이 때 생겨나는 상아질을 멸균된 증류수가 들어있는 시험관에 넣었다. 이것을 희석하여 BHI agar plate로 옮겨 배양하였다. 24시간이 지난 후 bacterial CFU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bacterial CFU가 관찰되지 않았고 E. faecalis에 대한 세 가지 제재 모두 비슷한 항균 효과를 보였다. 멸균된 식염수를 이용한 대조군에서는 모두 bacterial CFU가 존재하였다. NaDCC를 근관세척제로 사용할 경우 1주 이내의 시간 동안에는 적절한 항균효과를 유지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조직 용해도를 비롯한 치근단 조직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 등의 평가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