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 coli O157:H7

검색결과 388건 처리시간 0.036초

Escherichia coli O157:H7을 오염시킨 우육의 감마선 조사에 의한 살균효과 (Steriliz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Contaminated Beef by Gamma Irradiation)

  • 김성;육홍선;이주운;최청;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209-1213
    • /
    • 1998
  • 4종류의 Escherichia coli O157:H7을 tryptic soy broth에 배양한 후 0.1 M phosphate buffer에 동결시킨 균체와 우육에 접종한 균체의 감마선 조사에 의한 방사선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균체의 증식은 tryptic soy broth에서 $37^{\circ}C$ 배양으로 24시간대에 최대균수를 나타내었다. 대수기때의 동결균체의 $D_{10}$ 값은 $0.09{\sim}0.15\;kGy$, $12D_{10}$값은 $1.08{\sim}1.80\;kGy$, 2와 3 kGy에서 불활성화 계수는 $13.33{\sim}33.33$이었다. 한편, 우육에 접종한 균체의 $D_{10}$값은 $0.30{\sim}0.47\;kGy$, $12D_{10}$값은 $3.60{\sim}5.64\;kGy$, 2와 3 kGy 선량에서의 불활성화계수는 $4.26{\sim}10.00$으로 동결균체가 우육접종균체보다 더 높은 방사선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 PDF

국내 시판용 Frozen Yogurt의 병원성 미생물 검출 및 미생물학적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Detection of E.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and Appraisal for Microbiological Qualities in the Commercial Frozen Yogurt Products in Korea)

  • 윤성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3-74
    • /
    • 1998
  • Recently the high outbreaks of intestinal disease caused by the consumption of frozen dairy foods containing pathogenic bacteria has generated considerable interest in the causative agent such as Listeria monocytogenes and E. coli O157:H7.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ct the above pathogens and compare the microbiological qualities of three commercial forzen yogurt products. The main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L. monocytogenes coliforms and E. coli O157:H7 were not detected in the total of seven frozen yogurt samples. For microbiological qualities the viable lactic counts of products manufactured by FA company were about 2.9$\times$108 -1.6$\times$109cfu/ml 1.7$\times$106 cfu/ml for FB's and 1.2$\times$106 cfu/ml for FC's The PH values of FA's FB's and FC's products was in the range of pH 4.1~5.3 and the values of FA's were 4.1~4.6 compared by the pH 5.2~5.3 of FB's and FC's products. During refrigeration of the test samples the survival rates of L. monocytogenes spiked into thawed frozen yogurt sample(FA's FB,s and FC's) were 0.55% 15.61% and 16.89%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were 12.4% and 25.0% for FA's 10.8% and 20.8% for FB's and 10.26% and 22.7% for FC's under 37$^{\circ}C$ storage, As the results described above each frozen yogurt products were different in microbiological qualities. The survival rates of pathogens spiked into the samples increased with the pH of the products. This indicates that the pH or any other factors pre-sumable supressed the growth of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in frozen yogurt products.

  • PDF

파프리카에서 병원성 대장균의 성장예측 모델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redictive Models of Esherichia coli O157:H7 Growth in Paprika)

  • 윤혜정;김주희;박경훈;류경열;김병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8-173
    • /
    • 2013
  • 본 연구는 신선편이 식품에서 오염 가능성이 있는 병원성 식중독 균 E. coli O157:H7에 대해 파프리카에서 성장 예측 모델을 적용하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성장 예측 모델을 내부 검증하였다. 이를 비교하여 신선편이 식품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적절한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파프리카에 E. coli O157:H7접종하여 온도에 따라 12, 24, 30, $36^{\circ}C$에 보관하여 성장을 측정하였다. Gompertz 식을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성장곡선을 그리고 LT와 SGR을 산출하였다. 산출된 LT와 SGR은 각각 Davey model와 squareroot model를 이용하여 2차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2차 모델에 대하여 LT와 SGR model의 $R^2$값은 각각 0.999, 0.994로 1에 근접하는 높은 적합성을 보였다. 또한 내부 검정 결과 LT와 SGR model의 Bf 값은 각각 1.01, 0.89, LT model은 안전하게 SGR model 위험하게 예측되었다. 파프리카의 LT와 SGR의 상대적인 오차 값은 모두 허용 가능한 오차 범위에 포함 되었다. 따라서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E. coli O157:H7성장을 추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평가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ynergistic Effects of Bacteriocin-Producing Pediococcus acidilactici K10 and Organic Acids on Inhibiting Escherichia coli O157:H7 and Applications in Ground Beef

  • Moon, Gi-Seong;Kim, Wang-June;Kim, Myung-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6호
    • /
    • pp.936-942
    • /
    • 2002
  •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organic acids, Pediococcus acidilactici K10 or its bacteriocin was effective in inhibiting Escherichia coli O157:H7 in vitro and in situ. P. acidilactici K10, a strain of bacterioc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LAB), was previously isolated from kimchi in our laboratory, and the molecular weight of its bacteriocin was estimated to be around 4,500 Da by SDS-PAGE. Initially, P. acidilactici K10 and its bacteriocin could not inhibit E. coli O157:H7, when used alone. However, when they were used together with organic acids such as acetic, lactic, and succinic acids, they greatly inhibited E. coli O157:H7 in vitro. Based on these in vitro results, a real sample test with ground beef was conducted at $4^{\circ}C$ with acetic acid (0.25%) or lactic acid (0.35%) alone, and then in combination with P. acidilactici K10 (10^5 CFU/g of sample). Combined treatment of P. acidilactici K10 with lactic acid showed the most inhibitory effect: a 2.8-$log_{10}$-unit reduction of E. coli O157:H7 in ground beef during storage at $4^{\circ}C$.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ombination of bacteriocin-producing P. acidilactici K10 and organic acids has great potential as a food biopreservative by inhibiting the growth of E. coli O157:H7.

다이오스민(diosmin)에 의한 병원성 대장균 세포부착 및 생물막 형성 억제 (Inhibition of adhesion and biofilm formation in Escherichia coli O157:H7 by diosmin)

  • 김현정;김승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14-419
    • /
    • 2018
  • 병원성 대장균 O157:H7은 식중독 사고를 일으키는 주된 원인균으로서 항생제 내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병원성 대장균 O157:H7을 제어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물화학물질을 스크리닝하여 병원성 대장균 O157:H7의 부착에 주된 역할을 하는 LEE 오페론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물질을 찾고자 하였다. 스크리닝을 통해 선발된 식물화학물질 중 다이오스민은 사람 결장 상피세포 부착능을 3.62배 감소시킴으로써(p<0.01)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미리세틴과 유사한 정도의 효과를 나타냈다. 생물막 형성에 있어서는 다이오스민 처리 시 표현형이 25.6% 감소하여 유의적 차이가 확인되었고(p<0.05), curli 유전자의 발현 역시 미리세틴 처리 때보다 1.57-2.60배 더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양성대조군보다 더 좋은 효과를 보였다. 한편 다이오스민은 병원성 대장균 O157:H7의 생장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내성 발생률이 저감화된 새로운 항미생물제재로서 사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도체표면에서 분리한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pathogens isolated from surface of carcass)

  • 정영숙;박나영;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34-440
    • /
    • 2002
  • 쇠고기의 위생적 품질을 개선하고자 신선육의 HACCP의 위해 요소로 작용하는 병원성 미생물인 E. coli O157:H7 CDF1, A. sobria CDF3, S. aureus CDF2를 도체표면에서 분리하여 이들의 성장특성을 검토하였다. 신선육의 도축처리단 계별 총균수는 세척 후가 세척 전 보다 $10^1$~ $10^2$/$\textrm{cm}^2$ 더 높았다. 냉각 후 총균수는 냉각 전보다 $10^1$~ $10^2$/$\textrm{cm}^2$ 감소하였고, 수송 후 도체표면의 총균수는 계절에 관계없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E. coli O157:H7 CDF1와 S. aureus CDF2 는 37$^{\circ}C$, A. sobria CDF3는 3$0^{\circ}C$에서 가장 성장이 좋았다. E. coli O157:H7 CDF1은 pH 4에서도 완만한 성장을 하였으나 A. sobria CDF3와 S. aureus CDF2는 성장이 관찰되지 않았다. E. coli O157:H7 CDF1은 NaCl 농도 6%에서도 성장이 관찰되었으며 A. sobria CDF3는 4%에서 성장이 억제되었고, 6%에서는 성장이 관찰되지 않았다. E. coli O157:H7 CDF1과 S. aureus CDF2 는 lactic acid 0.3%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뚜렷한 성장억제현상을 나타내었으며 0.5% 첨가구에서는 성장이 관찰되지 않았다. A. sobria CDF3은 lactic aicd 0.3%에서도 성장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E. coli O157:H7 CDF1의 경우 1$0^{\circ}C$에서는 3일 이후 급격히 성장하여 배양 전 기간 동안 양호한 성장률을 보였으나 4$^{\circ}C$에서는 성장을 거의 관찰 할 수 없었다. A. sobria CDF3는 4$^{\circ}C$에서 3일째부터 성장하였다. 분리균에 대한 열내성을 측정한 결과 E. coli O157:H7 CDF1은 6$0^{\circ}C$에서 3분 열처리, A. sobria CDF3는 6$0^{\circ}C$에서 3분, 7$0^{\circ}C$에서 2분간 열처리, S. aureus CDF2는 7$0^{\circ}C$에서 2분간 열처리시 이들 균주가 관찰되지 않았다.

Effect of Temperature on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Livestock Manure Compost

  • Jung, Kyu-Seok;Heu, Sung-Gi;Roh, Eun-Jung;Kim, Min-Ha;Gil, Hyun-Ji;Choi, Na-Young;Lee, Dong-Hwan;Lim, Jeong-A;Ryu, Jae-Gee;Kim, Kye-Ho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47-651
    • /
    • 2013
  • Animal manure compost is a commonly used fertilizer in organic vegetable and fruit production in Korea. However, livestock manure compost produced from animal feces can contain a lot of the non-pathogenic and pathogenic bacteria. Of particular concern are bacteria causing human food-borne illness such as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temperature on survival of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in livestock manure compost. Commercial livestock manure compost (manure 60%, sawdust 40%) was inoculated with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Compost was incubated at four different temperatures (10, 25, 35, and $55^{\circ}C$) for 20 weeks. Samples were taken every week during incubation depending on the given conditions. E. coli O157:H7 persisted for up to 1 day in livestock manure compost at $55^{\circ}C$, over 140 days at $10^{\circ}C$, 140 days at $25^{\circ}C$, and 120 days at $35^{\circ}C$, respectively. L. monocytogenes persisted for up to 1 day in livestock manure compost at $55^{\circ}C$ and 140 days at $10^{\circ}C$, 70 days at $25^{\circ}C$, and 40 days at $35^{\circ}C$,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persisted longer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 E. coli O157:H7 survived longer than L. monocytogenes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10, 25, and $35^{\circ}C$). The results are being used to develop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manure to reduce the risks of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transmission to foods produced in the presence of animal waste.

식초와 젖산이 생선회 식중독 유래 병원성 세균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negar and Lactic Acid on the Survival of Pathogens Causing Food Poisoning of Sliced Raw Fish Meat)

  • 김영만;김경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69-675
    • /
    • 2002
  • 저가 수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이들을 이용한 인스턴트 생선회를 제조하여 산업화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인스턴트 생선회를 제조할 때 생선회를 원인식으로 하는 식중독 세균의 제어가 필수적이므로 생선회 소스의 원료인 유기산을 대상으로 생선회 식중독 유발 세균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식초(총산도 6.0-7.0%)와 젖산(총산도 8.0-9.0%)은 낮은 농도에서도 Vibrio속에 대한 항균활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Vibrio vulnificus(V. vulnificus), V. cholerae non-O1, V. parahaemolyticus, V. mimicus 순이었고, Salmonella typhimurium(S. typhimurium)과 Escherichia coli O157:H7(E. coli O157:H7)은 비교적 높은 농도에서 항균활성이 약하게 나타났다. 최소생육저해농도(MIC)는 식초의 경우 V. vulnificus 16$\mu\textrm{g}$/$m\ell$, V. cholerae non-O1 18$\mu\textrm{g}$/$m\ell$, V. mimicus 16$\mu\textrm{g}$/$m\ell$, V. parahaemolyticus 12$\mu\textrm{g}$/$m\ell$, S. typhimurium 26$\mu\textrm{g}$/$m\ell$, E. coli O157:H7 20$\mu\textrm{g}$/$m\ell$를 나타내었고, 젖산의 경우 V. vulnificus 20$\mu\textrm{g}$/$m\ell$, V. cholerae non-O1 25$\mu\textrm{g}$/$m\ell$, V. mimicus 25$\mu\textrm{g}$/$m\ell$, V. parahaemolyticus 25$\mu\textrm{g}$/$m\ell$, S. typhimurium 40$\mu\textrm{g}$/$m\ell$, E. coli O157:H7 35$\mu\textrm{g}$/$m\ell$를 나타내었다. 순간 살균력 (10초)은 식초의 경우 V. vulnificus 8%, V. cholerae non-O1 14%, V. mimicus 10%, V. parahaemolyticus 4%, E. coli O157:H7 48%에서 증식되지 않았지만 S. typhimurium은 50%에서도 집락이 검출되었다. 젖산의 경우 V. vulnificus 2%, V. cholerae non-O1 3%, V. mimicus 4%, V. parahaemolyticus 3%, S. typhimurium 14%, E. coli O157:H7 17%에서 증식되지 않았다. 식초와 젖산은 낮은 농도에서 생선회 식중독 유발에 주 원인균이 되는 Vibrio 속의 생육을 억제하였고, S. typhimurium과 E. coli O157:H7의 생육은 비교적 약하게 나타났다.

식중독세균에 대한 녹차 물추출물의 항균작용 (Antibacterial Activity of Water Extract of Green Tea against Pathogenic Bacteria)

  • 박찬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86-291
    • /
    • 1998
  • 4종류의 식중독세균(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196E,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하여 녹차 물추출물에 의한 항균작용을 조사하였다. 각 식중독세균을 tryptic soy broth(TSB)에 약 $10^{5}$CFU/ml 정도 되게 접종하여 35$^{\circ}C$에서 30시간 배양하였다. 세균의 배양중 대수증식기의 중기 혹은 말기에 녹차 물추출물을 0-2%(w/v)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증식억제 정도를 생균수 변화로서 비교하였다. 식중독세균의 증식은 첨가한 녹차 물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억제되었으며 대수증식기 말기의 세균이 중기의 세균에 비하여 녹차 물추출물에 대한 내성이 컸다. Gram 양성균(L. monocytogenes, S. aureus)의 경우가 Gram 음성균(E. coli O157:H7, S. typhimurium)에 비하여 녹차 물추출물에 의한 억제효과는 월등히 컸다. 녹차 물추출물에 의한 증식억제 효과의 크기는 S. aureus,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의 순이었으며 S. typhimurium에서 가장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다.다.

  • PDF

면역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E. coli O157: H7 신속검출 키트의 유효성 평가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E. coli O157: H7 Rapid Detection Kit using Immunochromatography)

  • 곽효선;이동하;문희숙;박종석;우건조;김창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8-124
    • /
    • 2003
  • 식품으로부터 다양한 병원 미생물을 신속 검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검출 원리를 이요한 키트들이 개발 시판되고 있다. 검사키트는 신속, 정확하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검사기관이나 실험실 뿐 아니라 식품회사에서 QC 또는 QA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 coli 0157:H7의 단클론항체를 이용하여 면역크로마토글래피법에 의해 개발된 E. coli 0157:H7 검출 키트(Donga Co, Korea, D-kit)에 대한 검출감도 및 특이성을 확인하고 식품 시료에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하여 개발 시판되고 있는 Reveal E. coli 0157:H7 kit (Neogen Co., USA. R-kit)와 VIP EHEC kit(Biocontro Inc., USA. V-kit)를 비교 키트로 사용하였다. E. coli 0157:H7 표준균주를 사용하여 실시한 검출감도 확인시험 결과 R-kit 및 D-kit는 104/m/의 농도에서 양성으로 확인되었고 $10^3$/ml에서도 약한 양성 반응을 보였으나, V-lit는 $10^5$/ml농도로 검출감도가 낮았다. 또한, 배양액을 가열하여 kit에 적용하는 것이 가열하지 않은 경우보다 검출감도를 높일 수 있었다. E. coli 0157:H7 분리 22주, verotoxin 생성 E. coli 7주 E. coli 분리주 40주 중 3주를 제외한 모든 균에서 음성의 결과를 보여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세 키트에 위양성 반응을 보인 것은 E. coli 0157:H19, E. coli 0148:H18 및 Salmonella gallinarium으로 이들 혈청형과 0157:H7 사이에는 유사한 혈청학적 특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D-kit는 E. coli 0157:H7을 검출하는데 감도 및 특이성 면에서 기존 키트인 R-kit 및 V-kit와 같이 이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