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slexia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6초

Recent update on reading disability (dyslexia) focused on neurobiology

  • Kim, Sung K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4권10호
    • /
    • pp.497-503
    • /
    • 2021
  • Reading disability (dyslexia) refers to an unexpected difficulty with reading for an individual who has the intelligence to be a much better reader. Dyslexia is most commonly caused by a difficulty in phonological processing (the appreciation of the individual sounds of spoken language), which affects the ability of an individual to speak, read, and spell. In this paper, I describe reading disabilities by focusing on their underlying neurobiological mechanisms. Neurobiological studies using functional brain imaging have uncovered the reading pathways, brain regions involved in reading, and neurobiological abnormalities of dyslexia. The reading pathway is in the order of visual analysis, letter recognition, word recognition, meaning (semantics), phonological processing, and speech production. According to functional neuroimaging studies, the important areas of the brain related to reading include the inferior frontal cortex (Broca's area), the midtemporal lobe region, the inferior parieto-temporal area, and the left occipitotemporal region (visual word form area). Interventions for dyslexia can affect reading ability by causing changes in brain function and structure. An accurate diagnosis and timely specialized intervention are important in children with dyslexia. In cases in which national infant development screening tests have been conducted, as in Korea, if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and early predictors of dyslexia are detected, careful observation of the progression to dyslexia and early intervention should be made.

DFL(Dyslexia Friendly Library)을 위한 서비스 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rvice Policies for Dyslexia-Friendly Libraries)

  • 김선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01-221
    • /
    • 2012
  • 본 연구는 도서관의 DFL 서비스 정책을 마련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는 난독인과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면담과 설문조사를 통하여 도서관 이용에 장애가 되는 여러 가지 요인을 알아보았다.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홍보 및 광고활동의 강화, 2) 도서관 규정의 개선 및 난독인 전문 사서의 배치, 3) 소장 자료 및 전용공간 서비스의 확대 및 맞춤화.

난독증 인식차이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 - 교사와 학부모집단을 중심으로 - (A Survey on Perception Gaps in Dyslexia: Focusing on Teachers and Parents Group)

  • 한윤옥;오덕성;이아영;변현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7-43
    • /
    • 2015
  • 난독증은 초기에 발견해야 할 중요한 독서 장애요소이다. 비록 난독증 인구는 많지 않지만 국가적으로 관심을 갖고 지원해야 할 독서소외계층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이것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난독증이 본격적으로 드러나는 시기에 가장 민감하게 이를 선별해야 하는 학부모, 초등학교교사, 유치원교사, 사서(사서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난독증에 대해 얼마나 인식하고 있으며, 그 차이는 어떤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도시와 중소도시, 농 산 어촌에 거주하고 있는 학부모, 초등학교교사, 유치원교사, 사서(사서교사) 총 63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난독증에 대한 인식은 직업, 거주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난독증에 대한 인지의 유무와 난독인을 직접 만나본 경험의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난독증 검사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Tester for Dyslexia)

  • 조성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913-918
    • /
    • 2006
  • 난독증자란 의미적인 잘못으로 인하여 읽기능력에 문제를 가진 사람들이다. 국내에서는 난독증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난독증자를 검사하는데 있어 외국의 검사도구를 번역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언어는 민족의 문화와 특성에 민감하기 때문에 국내 환자를 검사하기 위해 해외 검사도구를 사용하는 것은 적당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 난독증자를 분류하고 분석하기 위한 난독증 검사도구의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성능평가를 통하여 구현된 검사도구의 특성들을 보인다.

  • PDF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난독증과 학습장애 관련 연구 동향 분석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in the Dyslexia and Learning Disability Trough a Keyword Network Analysis)

  • 이우진;김태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91-98
    • /
    • 2019
  • 본 연구는 난독증과 학습장애 관련 연구 동향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관련 변인의 중심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8년부터 2018년까지 학술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사이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연구 목록을 수집하였다.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407편의 연구 주제는 키워드 클렌징 작업을 거쳐 KrKwi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였고 키워드 간 연결중심성을 시각화를 하기 위해 NodeXL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난독증과 학습장애 연구주제 총 72개의 키워드가 추출되었고 주요키워드에는 학습장애, 읽기장애, 난독증, 중재반응모형 순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둘째, 난독증과 학습장애의 관련 매개 키워드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학습장애가 국내 난독증 및 학습장애 관련 연구에서 주요한 키워드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난독증과 학습장애와 관련해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을 절충한 연구동향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난독증 아동과 읽기이해부진 아동의 음운인출과 음운기억 능력 (Phonological retrieval and phonological memory skills in children with dyslexia and poor comprehension)

  • 윤효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6권2호
    • /
    • pp.83-90
    • /
    • 2024
  • 본 연구는 초등 2-3학년 난독증 아동과 읽기이해부진 아동의 음운인출과 음운기억 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난독증 아동 17명, 읽기이해부진 아동 17명, 일반 아동 24명이 참여하였다. 난독증 아동은 표준화된 읽기검사의 단어해독 검사에서 표준점수 85점 이하인 아동으로 선정하였으며, 읽기이해부진 아동은 단어해독 검사에서는 표준점수 90점 이상이며 읽기이해 검사에서는 표준점수 85점 이하인 아동, 그리고 일반 아동은 단어해독과 읽기이해 검사 모두에서 표준점수 90점 이상인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모든 대상자에게 음운인출 능력을 살펴보기 위해 빠른 이름대기, 음운기억 능력을 살펴보기 위해 비단어 따라말하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난독증 아동은 빠른 이름대기와 비단어 따라말하기에서 다른 두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수행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읽기이해부진 아동과 일반 아동 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각 집단 별로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난독증 아동 집단에서는 빠른 이름대기 능력이 해독 및 읽기이해와 통계적으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아동 집단에서는 빠른 이름대기 능력이 해독 및 읽기이해와 관련이 있었으며, 비단어 따라말하기는 읽기이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읽기이해부진 집단에서는 변인들간에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난독증 아동은 읽기 발달의 토대가 되는 음운인출과 음운기억에서 어려움이 있는 반면, 읽기이해부진 아동은 음운처리 기술에서는 결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독증 아동의 단어해독 어려움은 음운처리 결함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아동 양육 시설의 난독증 고위험군 중·고등학생에 대한 중재 효과: 청각정보처리 개선 중재프로그램 적용 (The effects on intervening of dyslexia high-risk group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hildcare Facilities : Apply the intervention program improves auditory processing)

  • 김은희;송선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1-1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난독증 고위험군으로 판별된 중 고등학생들에 대하여 난독증의 신경학적 요인 중 청각 정보 처리 개선 중재 후에 읽기 능력과 청지각 능력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난독증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수립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의 취약 계층의 학생들이 밀집되어 있는 아동 양육 시설의 중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선별 검사를 통해 난독증 고위험군으로 판별된 총 16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읽기 능력 및 청지각 능력에 대한 심화 검사를 통해 최종 24명을 선정하였고, 언어 정보를 실어 나르는 청각 시스템을 강화시켜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TOMATIS Method에 의한 청지각 자극 훈련과 읽기 유창성 훈련을 20회기를 실시하고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읽기능력과 해독 능력 그리고 청각 정보 처리 능력에서 사전 사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중재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난독증의 진단과 중재 방법의 모색에 있어 신경과학적 접근의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난독증 선별을 위한 RTI 적용: 읽기 유창성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An Application Study of RTI for Identifying Students with Dyslexia: Focused on the Reading Fluency Program)

  • 김동일;김희주;안예지;안성진;임희진;황지영
    • 교육심리연구
    • /
    • 제31권2호
    • /
    • pp.265-28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난독증 고위험군 학생들에게 다층 체계를 기본으로 하는 RTI 교육 서비스 내에서 읽기 유창성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최종적으로 학습 진전도에 따라 난독증 학생을 선별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2016년도 경기도 난독증 우수프로그램 공모사업" 으로 선정된 '경기도 난독증 아동청소년 지원프로그램 대상자' 중 RTI 체계 내에서 읽기 유창성 영역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22명의 초등학생 1-5학년 학생들이다. 연구대상에게 증거기반 읽기 교수 학습 전략에 따른 개별화된 읽기 유창성 프로그램을 약 3개월간 8-10회기 제공하고, 총 3회의 진전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읽기 유창성 중재를 받은 22명의 학생들을 관심군, 향상군, 이중불일치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이중불일치군으로 분류된 3명의 학생들을 잠재적 난독증 집단으로 정의 내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향후 난독증 학생에 대한 교육적 진단과 효과적인 중재 적용에 대한 방향성 및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칼라필터 렌즈(ChromaGenTM)를 이용한 읽기능력 향상에 대한 임상연구 (The Study on Improvement of Reading Ability for Dyslexia Wearing Color filter lens (ChromaGenTM Lens))

  • 이석주;박지훈;이소희;황광하;유근창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5-74
    • /
    • 2011
  • 목적: 본 연구는 시각적 난독증 증상을 나타내는 호소군을 대상으로 칼라필터렌즈인 크로마젠($ChromaGen^{TM}$)렌즈를 착용함으로써 읽기능력의 향상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설문을 통한 난독증 의심 학생 52명을 대상으로 윌킨스 독서속도검사법을 이용하여 난독증 교정렌즈인 크로마젠 렌즈를 착용 전과 후 그리고 3개월 동안 착용한 후 읽기능력의 향상정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1분 동안의 읽은 단어 숫자는 크로마젠 렌즈 착용자가 평균 110.26${\pm}$22.07 단어를 읽었고, 나안 또는 교정안경 착용자는 평균 106.42${\pm}$22.70의 단어를 읽었다. 크로마젠 렌즈 3개월 착용 후에는 평균 114.16${\pm}$21.86 단어를 읽었고, 나안 또는 교정안경을 착용한 학생은 109.96${\pm}$21.67 단어를 읽었다. 크로마젠 렌즈 착용 전과 후에 대한 3개월 동안 크로마젠 렌즈를 착용한 후의 읽기능력은 각각 3.70%${\pm}$0.29(p=0.01, t=2.26), 4.50%${\pm}$0.10(p=0.01, t=2.78)의 향상을 보였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p<0.05). 크로마젠 렌즈의 교정 3개월 후 난독증 증상의 개선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 전체 대상자 중 88.4%가 크로마젠 렌즈에 의해 난독증 증상이 개선되었다고 답하였다. 결론: 시각적 난독증의 증상이 의심되는 대상자에게 난독증 교정안경렌즈인 크로마젠 렌즈는 읽기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05).

국내 아동 및 청소년 난독증 진단을 위한 종합학습능력평가도구-읽기의 표준화 연구 (Standardization of the Comprehensive Learning Test-Reading for the Diagnosis of Dyslexia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 유한익;정재석;이은경;강성희;박은희;최인욱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7권2호
    • /
    • pp.109-118
    • /
    • 2016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mputerized Comprehensive Learning Test-Reading (CLT-R) to evaluate the cognitive processes and achievements related to their basic reading ability and identify dyslexi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outh Korea. We also obtained the normative data and evalua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est. Methods: We developed the CLT-R, including the word attack/nonword decoding, paragraph reading, sound blending, nonword repetition, rapid automatized naming, letter-sound matching, visual attention, orthography awareness, and digit span tests, for the purpose of diagnosing dyslexia. We investiga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ests and gathered the normative data from 399 subjects (male 48.9%), aged 5-14 years, from the last grade in kindergarten to middle school, dwell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Results: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means of the tests and retests of the CAT. The mean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test-retest scores was 0.85. According to the construct validity test calculated by principal constant analysis using the oblique rotation method, 4 factors explained 70.0% of the cumulative variances. In addition, the normative data were obtained for all of the CLT-R subtests. Conclusion: The computerized CLT-R can be used as a reliable and valid tool to evaluate the reading achievement and reading related cognitive process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chools, clinics, and research institu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