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namic Exercise

검색결과 432건 처리시간 0.025초

동적계획법에 기반한 지역예비군 총기, 탄약 분배 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Priority Selection of Firearms and Ammunition for the Local Reserve Forces using Dynamic Programming)

  • 조상준;마정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67-74
    • /
    • 2020
  • 예비군을 관리하는 현역부대의 임무 중 하나는 동원령 선포 시 예비군이 전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신속하게 전투물자를 지급하는 것이다. 후방지역의 현역부대는 대규모의 지역예비군을 지원하지만 운용 할 수 있는 병력이 부족하고, 많은 수량의 총기와 탄약을 부대 내부에서 통합 보관하고 있기 때문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지역예비군은 총기와 탄약을 통합 보관된 장소인 현역부대의 무기고와 탄약고로 이동해서 분배 받는다. 현재 군에서 사용하는 분배계획(기존 계획)은 선입선출 방식으로 분배순서가 일정하지 않다. 분배순서의 변화는 분배 완료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고, 증가된 시간은 지역예비군의 전투력 발휘를 지연시키므로 분배 시간을 최소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예비군의 총기, 탄약 분배모형을 동적계획법에 기반하여 제시하였다. 제시한 모형의 검증을 위해 후방지역 대대급 현역부대에서 수집한 실제 데이터로 현재 군에서 사용하는 분배계획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이 기존 계획보다 분배 완료 시간을 줄이는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강도에 따른 산림 걷기 운동 시 회복방법이 심박수, 혈중젖산농도, 혈중글루코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covery method after forest walking exercise by intensity on heart rate, blood lactic acid and blood glucose)

  • 김기홍;민준원;유정빈;김조은;손재헌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401-409
    • /
    • 2021
  • 이 연구는 천안시 태조산의 산림 경사 트레킹 시 80bpm 및 130+30bpm의 속도로 걷기 운동 후 정적회복 및 동적회복방법이 회복 중 심박수, 혈중젖산농도, 혈중글루코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산림환경의 경사 트레킹 후 효율적인 회복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걷기 운동을 하는데 이상이 없는 20-30대 남자 9명을 대상으로 80bpm 속도와 130+30bpm 속도로 트레킹 후 정적회복방법과 동적회복방법에 따라 얻은 결과를 이원 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repeated ANOVA)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경우 contrast의 repeated 방법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80bpm 조건에서의 심박수는 방법(p=.008)과 시기(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혈중젖산농도는 회복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401), 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 혈중글루코스는 회복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093), 정적회복방법의 시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2). 130bpm+30bpm 조건에서의 심박수는 방법(p=.002)과 시기(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혈중젖산농도는 방법(p=.001)과 시기(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혈중글루코스농도는 방법(p=.721)과 시기(p=090)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8주간 데드리프트 운동 시 전신진동운동이 재활스포츠 선수의 근 기능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in the Muscle Function Following 8-Week Dead-lift training with Whole-body Vibration in Rehabilitation for Sports Players)

  • 오주환;강승록;민진영;권대규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43-351
    • /
    • 2015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in the muscle function following 8-week dead-lift training with Whole-body Vibration(WBV) in rehabilitation for sports players. Method : Twenty young sports players. Each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resistance training with Whole-body vibration group(TG, n=10), a resistance training without Whole-body vibration group(CG, N=10). The measurements which physical fitness test and joint torque test were performed before the randomization and after the 4-week and 8-week. The WBV group performed the dynamic Dead-lift exercise on a vibration platform during one minute. The CG group performed the equal training without vibration. The WBV and CON group repeated 5 set and trained two times weekly for 8-weeks. Paired t-test was used to test for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t baseline and after 4-weeks and 8-Weeks. And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test for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t TG and CG. All analyses were executed using SPSS software 18.0.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p<.050. Results : Following the 8-Weeks training sessions, an increase in the back-muscle strength was found to be greater for the TG compared with the CG group(p<.05). Muscle enduranc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raining than before training only for the CG(p<.05). Isometric Hip/Lumber Extension/Flextion measureme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greater for the TG compared with the CG group(p<.05). The finding indicates that WBV effects as an efficient training stimulus to enhance muscle function by facilitating neural control trail. Following muscle activation in motor unit synchronization of the co-contraction of the muscles. Conclusion : The results imply that the WBV training may have enhanced muscle function in rehabilitation for sports players.

여자 대학생의 신체활동 정도와 관련요인 (Assessing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Level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 김광숙;이정열;김인숙;이태화;조은희;이현경;이경은;김신혜;권석현;문선혜;임사라;김수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66-479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influencing factors in female college students. Method: Cross-sectional survey data including physical activity, exercise self-efficacy, social influences on physical activit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were collected from 213 subjects. Data from 204 subjects were analyzed. Results: The mean level of physical activity was 2,750.97 MET-min/week. Physical activity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exercise self-efficacy as well as social influences, an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ag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 showed that physical activity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was predicted by type of leisure activity, relative health status, social influences, and age.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a program for improvement of physical activity in female college students should include interesting and dynamic leisure activities and strategies for performing together with friends should be developed.

요통환자에 대한 PNF 적용 효과에 관한 고찰 (Review of the effect of PNF application on low back pain patient)

  • 김태호;김은정;정재민;윤영조;한진태
    • PNF and Movement
    • /
    • 제6권1호
    • /
    • pp.33-40
    • /
    • 2008
  • Purpose : When the pliability of the Lumbar is degraded, the kinesiology function undergoes an influence and it receives an overload. Finally, it is connected with a Lumbar muscular injury. When it does the regular exercise treatment the lumbago patient the balance and function of changeover are impro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of effect of the PNF application for lumbago patient Methods : By using internet, we research the PubMed, Science Direct, KISS, DBpia and the article on the effect of PNF. We selected the article between 1970 and 2007. Key words were low back pain, lumbago, PNF. Results : PNF is a therapeutic exercise for central nervous system(CNS) patient and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PNS) patient and it is widely applied from sports medicine in the last. According to research of the Jung Young Jo(2007) and Han Kou Soo(2002), PNF technique improves the pain and a condition of the lumbago patient. And the affection balanced change and dynamic balance change and spontaneous movable scope are improved. And it improved to daily life activity. According to research of Moore and Hutton(1980), Lee Kyoung Hye(1999), PNF stretching where it is one of muscular relaxation is good in lumbar muscle fascia ache solutions, and PNF stretching that muscle is relaxed and increases ROM by Reflective system of the vertebra. These researches is relation all each other. it have appeared many report of research about Pliability, muscular power, balance, mobility improve ADL movement of attendance ability and functional action improved excise therapy put effect about lumbago patient recently, it have appeared research about therapy of lumbago patient through PNF. But PNF technique is not application about lumbago patient in clinic, therefore also it is not enough for case study about this therapy. Conclusion : PNF improve combination operation of muscle, inconvenience decrease from daily life activity, ROM(range of movement) of lumbar is increase and Lumbago reduce. So we suggest that PNF will be applies on the lumbago patient and must do a many research.

  • PDF

체감형 댄스게임이 여성노인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Motion-based dance game's effect on the balance ability of the elderly Women)

  • 이지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73-80
    • /
    • 2018
  • 본 연구는 체감형 댄스게임이 여성노인의 정적 및 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가자들은 무작위 배정하여 체감형 댄스 게임 실험집단(n=10)과 통제집단(n=10)으로 나눈 후 실험집단은 일주일에 세번, 60분씩 6주간의 기간 동안 참여했고 통제집단은 일상생활 외 운동을 진행하지 않았다. 댄스게임의 균형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버그 균형검사(BBS), 기능적 팔 뻗기 검사(FRT),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UG)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데이터는 통계적 유의성을 결정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과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체감형 댄스 게임 그룹의 BBS, FRT, TUG 연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적으로, 체감형 댄스 게임은 여성노인들의 균형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노인들에게 체감형 댄스게임 "댄스센트럴" 프로그램을 규칙적으로 지속한다면 균형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후속적으로 노인에게 적합한 댄스게임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농촌지역 보건소 환경에 있어서의 건강가치관에 관한 일 조사연구 (A Study on Value Orientation of Health of Rural Health Center Milieu)

  • 김순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7-30
    • /
    • 1975
  •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nursing and her role have been changing in accordance with the socio-cultural factors of the initial society. At present, nursing is conceptualized as a health care profession assisting man to restore, maintain and promote health by providing knowledge, wilt strength and resources through various processes of interaction. Man′s behavior, of individual and group activities for health inclusive, is driven by the initial man′s value orie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lue orientation regarding health of rural health center milieu in order to give data for; 1. the planning for the delivery of community nursing service, 2. the health education plan at all level of nursing care activities, and 3. the planning of curriculum for nursing education. A hundred opinion leaders among the labor population residing in rural areas (P-group), hundred and six professional nurses at rural health centers (N-group) were indirectly interviewed through questionaries. And ninety five of N-group were interviewed likewise of their perceptions of P-group (NP-group) from July 15, to October 15, 1974. The result is as follows: 1. Maintenance of health is revealed to be the most valued component for man′s happiness in all the three groups. (P-group: 7.30 S. D.=1.31), (N-group :7.84 S. D. =49), and (NP-group : 5.93 S. D. =2.28) 2. The average value score of the maintenance of health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by P〈.001 level between each of the three groups. (Between N-group and P-group : T= -4.07 P and NP ; T=-6.93, N and NP: T=-9.35) 3. Basic health maintenance activities necessary for maintenance and promotion of personal health were moderately valued by all the three groups, P-group ; 3.74 (S. D. =.43) , N-group: 3.52 (S. D. =.34), NP-group: 3.07 (S. D. :.55) Among the 8 categories of basic health maintenance activities, "food intake" was highly valued by P-group (mean value score; 4.00 S. D=.51) , "exercise and rest" and "personal cleanliness" was highly valued by both P-group (4.02, 4.08) and N-group (4.08, 4.22). 4. The mean value score of basic health maintenance activiti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by P〈.001 level between each of the three groups (between P-group and N-group: T=-4, 07, N-and NP: T=-6.93, P and NP T=-9.35) 5. Among the 30 questionaries, dynamic activities for health maintenance were more valued in comparison to passive activities in an tile three groups. 6. In N-group, correlation between the value of basic health maintenance activities and the personal health status personal revealed moderate significance. Correlation between the value of basic health maintenance activities and the age revealed low significance. 7. In group, correlation between the value of basic health maintenance activities and; perception of personal health status revealed non significance, between the age and sex revealed low sign affiance, and between the educational status revealed moderate significance.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 1. The efforts towards alteration of value orientation concerning health in general in community nursing practice de focussed be that of family Planning. 2. In order to prepare professional nurses competent in understanding individual and group, social science and behavioral science be strength ended in planning nursing curriculum. 3. Milieu of nursing experience during nursing education be Planned to begin at simple nursing problem and move towards complex, f. e. home care towards health crisis situation in order to achieve dynamic role mastery.

  • PDF

지역 거주 노인의 활동 체력과 신체 활동수준의 관련성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level on functional fitness in community-residing older adults)

  • 신소희;김용안;김현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625-634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의 신체 활동(physical activity; PA) 수준과 활동 체력(functional fitness; FF) 변인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피검자(남성:1,645명; 여성:2,394명)의 PA 수준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FF는 상·하지 근력, 민첩성 및 동적 평형성, 유연성, 유산소성 능력, 협응력, 그리고 신체 구성 등 체력 영역을 대표하는 6항목으로 측정, 평가하였다. 피검자는 신체 활동 권장기준에 따라 권장량보다 낮은 그룹(low physical activity; LPA)과 권장량 기준을 충족하는 그룹(PA)으로 나누었고, PA 그룹은 다시 강도 수준에 따라 중강도 그룹(MIPA)과 고강도 그룹(HIPA)으로 분류하였다. 권장량 수준을 충족하는 피검자는 48%였고, 이들은 모든 항목에서 LPA보다 성적이 높았다(p<.001). HIPA 그룹은 MIPA 그룹보다 민첩성 및 동적 평형성, 협응력, 그리고 하지 근력(여성)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결론적으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이 활동 체력을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건강을 위해 권장하고 있는 신체 활동량을 충족시켜야 하며, 특히 낙상 관련 체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강도가 높은 신체 활동을 할 필요가 있다.

케틀벨 훈련이 중학교 야구선수의 기능적 움직임(Functional Movememt Screen)과 균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ettlebell Training on Functional Movement Screen and Balance in Middle School Baseball Players)

  • 김태윤;박우영;변용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96-107
    • /
    • 2022
  • 이 연구는 중학교 야구선수를 대상으로 8주간의 케틀벨 훈련이 기능적 움직임 및 균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중학교 야구선수 14명을 케틀벨 집단(n=8), 통제 집단(n=6)으로 무작위 배정한 후 케틀벨 훈련을 주 2회, 60분간 실시하였다. 그리고, 훈련 전과 8주 훈련 후 FMS, Y-밸런스 테스트 및 스마트 슈즈를 이용하여 정적, 동적 균형성을 검사하였다. 케틀벨 훈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반복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시기와 집단 간 상호작용이 있을 경우 집단 별로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FMS 점수는 IL(Inline Lunge)과 FMS 총점(TS)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FMS의 다른 변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YBT 점수는 왼쪽 AT를 제외한 모든 YBT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Smart shoes를 이용한 균형성 검사에서는 모든 변인에서 집단과 시기 간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중학교 야구선수의 케틀벨 훈련 적용은 기능적 움직임과 기능적 균형성과 관련된 FMS 및 YBT 점수에는 효과가 있었지만, 족압분포로 평가하는 Smart Shoes를 사용한 정적/동적 균형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중학교 야구선수의 훈련 프로그램 작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만성뇌졸중 환자의 웰니스 증진을 위한 신체기능과 낙성전조동작의 관련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Function and Prelusive Movement to Falls to Promote Wellness in Chronic Stroke Patients)

  • 박창식;김진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81-192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낙상 전조 동작과 다양한 신체 기능과의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낙상 연구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뇌졸중으로 편마비 진단을 받고 N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중 연구에 동의한 환자 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낙상 유무에 따른 일반의학적 특성에서 성별, 연령, 신장, 체중, BMI, 진단명, 마비 유형, 유병 기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보행 보조 도구 사용(독립보행, 네발 지팡이, 외발 지팡이)에서는 비낙상군이 1회 낙상군과 다발성 낙상군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상 전조 동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일어서기에서는 STS, FM-하지 운동 기능 순이었으며, 일어서기 시도에서는 FM-하지 운동 기능, STS, 연령, TIS-동적 균형, OLST-마비측 순이었다. 일어선 직후 균형 잡기에서는 FM-하지 운동 기능이 영향을 주었고, 서서 균형 잡기에서는 FM-하지 운동 기능, OLST-마비측, TIS-협응력 순이었다. 살짝 밀기에서는 FM-총합이 영향을 주었으며, 서서 눈 감고 균형 잡기에서는 STS, 연령, OLST-비마비측, FM-하지 운동 기능, TIS-정적 균형, OLST-마비측, TIS-동적 균형 순이었다. 360도 회전하기에서는 TIS-협응력, FM-하지 운동 기능, FM-상지 운동 기능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만성 뇌졸중 환자의 낙상 전조 동작과 다양한 신체 기능과의 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낙상을 예방하기 위한 마비측 하지 근력 강화와 더불어 정상적인 보행 주기 및 체중 부하에 입각한 집중적인 균형, 체간조절, 보행 대칭성 훈련 등이 필요하며, 외적인 자극에 대한 최적의 운동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고유수용성 감각 훈련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