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namic Breast MRI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7초

독립적 검사 방법으로서의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검사 (Diffusion-Weighted Imaging as a Stand-Alone Breast Imaging Modality)

  • 신희정;이수현;문우경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1호
    • /
    • pp.29-48
    • /
    • 2021
  • 확산강조영상은 유방암의 진단과 스크리닝에 있어 독립적 검사 방법으로서의 기대되는 결과를 보여주는 빠른 비조영증강 검사 방법이다.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 유방암 진단에 있어 독립적 검사 방법으로서 확산강조영상의 민감도는 역동적 조영증강 검사보다는 낮으나 유방촬영술보다는 높으며, 이로써 유방암 스크리닝에 대한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확산강조영상의 표준화된 영상 획득과 판독을 통해 영상 화질이 개선될 수 있고, 판독 결과의 다양성도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최신 기법과 후처리 기법을 사용한 고해상도 확산강조영상을 시행함으로써 1 cm 미만의 작은 암의 발견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가음성 및 가양성 결과를 감소시킬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한국에서 진행 중인 고위험군 여성에서의 확산강조영상 스크리닝에 대한 다기관 연구 결과가 나온다면 독립적 검사로서의 확산강조영상의 사용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방자기공명영상에서 추가적으로 발견된 유방 병소에 대한 조영증강 초음파의 정량적 분석을 통한 진단 능력 평가와 동적 조영증강 유방 자기공명영상 결과와의 비교 (Assessment of Additional MRI-Detected Breast Lesions Using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Contrast-Enhanced Ultrasound Scans and Its Comparability with Dynamic Contrast-Enhanced MRI Findings of the Breast)

  • 이세영;우옥희;신혜선;송성은;조규란;서보경;황순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889-902
    • /
    • 2021
  • 목적 자기공명영상에서 추가적으로 발견된 조영증강 병소에 대한 조영증강 초음파의 진단능력을 평가하고 조영증강 초음파의 정량 분석을 사용하여 유방 동적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과 유사한 운동 패턴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단일 센터 전향적 연구로 진행하였고, 총 71개의 자기공명영상에서 추가적으로 발견된 조영증강 병소가 포함되었다. 이러한 병소에 대해 조영증강 초음파를 시행하였고 Breast Imaging-Reporting and Data System (이하 BI-RADS)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리고 모든 병소의 BI-RADS 분류를 조직학적 결과와 비교하여 조영증강 초음파의 민감도, 특이도 및 진단 정확도를 계산하였다. 조영증강 초음파와 동적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의 운동 패턴사이의 일치도는 가중 카파 분석을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결과 조영증강 초음파에서 총 46개의 병소가 BI-RADS 4B, 4C, 5로 분류되었고, 25개의 병소가 BI-RADS 3, 4A로 분류되었다. 자기공명영상에서 추가적으로 발견된 조영증강 병소에 대한 조영증강 초음파의 진단 능력은 84.9%의 민감도, 94.4%의 특이도 및 97.8%의 긍정적 예측값으로 우수하였다. 총 57/71 (80%) 병소는 조영증강 초음파와 동적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 운동 패턴 결과가 일치하였고 가중 카파 값 0.66으로 좋은 일치도를 나타냈다. 부분 군 분석에서 양성 병소는 우수한 일치를 보였고(가중 카파 값 = 0.84), 관내암종은 좋은 일치를 보였다(가중 카파 값 = 0.69). 결론 MRI에서 추가 검출된 유방 결절에 대한 조영증강 초음파의 진단 능력은 우수했다. 양성 및 관내암종 병소에서 동적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과 조영증강 초음파의 운동 패턴 결과는 좋은 일치도를 보였다.

Invasive Lobular Carcinoma: MRI Features and Clinicohistolog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R, PR, and HER2 Statuses

  • Yoo, Eun Young;Nam, Sang Yu;Choi, Hye-Young;Cho, Hyun Yee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9권3호
    • /
    • pp.137-145
    • /
    • 2015
  • Purpose: To investigate correlations of estrogen receptor (ER), progesterone receptor (PR), and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type 2 (HER2) statuses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eatures and clinicohistolog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invasive lobular carcinoma (ILC). Materials and Methods: Data from 64 histologically confirmed ILC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Preoperative breast MRI was reviewed for morphology and dynamic contrast-enhanced kinetics of the tumor. Pathologic reports were reviewed for ER, PR, and HER2 positivity, tumor size, lymph node metastasis, and the number of metastatic lymph nodes. Furthermore, there was an investigation of the MRI features and clinicohistolog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R, PR, and HER2 statuses. Resul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RI features and clinicohistological tumor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only in relation to PR status. Of the 64 ILCs, 10 (15.6%) were PR negative. PR negative cancers, compared with PR positive cancers, were more likely to present as non-mass enhancement (P = 0.027); have a significantly larger mean tumor size ($5.00{\pm}1.05cm$ vs. $2.57{\pm}0.21cm$, P = 0.021); and have significantly more metastatic lymph nodes (P = 0.010). Conclusion: PR negative ILC presented more frequently as non-mass enhancement on MRI, with larger tumors and increased numbers of metastatic lymph nodes. Therefore, the PR status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MRI features and clinico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ILC.

Hyperpolarized Carbon-13 Magnetic Resonance Imaging: Technical Considerations and Clinical Applications

  • Ying-Chieh Lai;Ching-Yi Hsieh;Yu-Hsiang Juan;Kuan-Ying Lu;Hsien-Ju Lee;Shu-Hang Ng;Yung-Liang Wan;Gigin Li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5권5호
    • /
    • pp.459-472
    • /
    • 2024
  • Hyperpolarized (HP) carbon-13 (13C) MRI represents an innovative approach for noninvasive, real-time assessment of dynamic metabolic flux, with potential integration into routine clinical MRI. The use of [1-13C]pyruvate as a probe and its conversion to [1-13C]lactate constitute an extensively explored metabolic pathway. This review comprehensively outlines the establishment of HP 13C-MRI, covering multidisciplinary team collaboration, hardware prerequisites, probe preparation, hyperpolarization techniques, imaging acquisition, and data analysis. This article discusses the clinical applications of HP 13C-MRI across various anatomical domains, including the brain, heart, skeletal muscle, breast, liver, kidney, pancreas, and prostate. Each section highlights the specific applications and findings pertinent to these regions, emphasizing the potential versatility of HP 13C-MRI in diverse clinical contexts. This review serves as a comprehensive update, bridging technical aspects with clinical applications and offering insights into the ongoing advancements in HP 13C-MRI.

유방자기공명영상에서 3 차원 최대 강도 투사 재건 영상의 유용성 (Usefulness of Three-Dimensional Maximal Intensity Projection (MIP) Reconstruction Image in Breast MRI)

  • 김현성;강봉주;김성헌;최재정;이지혜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3권2호
    • /
    • pp.183-189
    • /
    • 2009
  • 목적 : 유방자기공명영상에서 3 차원 최대 강도 투사 (3D MIP) 재건 영상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유방암으로 진단받고 유방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27명의 환자의 54개의 유방을 대상으로 하였다. GE Signa Excite Twin speed (GE medical system, Wisconsin, USA) 1.5 T 기기를 이용하여 기본 영상으로 축면 T2 강조 T1 강조 영상과 시상면 T1 강조 지방 억제 영상, 역동적 조영 증강 영상과 감산 영상을 얻었다. 이후 초기 역동적 조영증강 영상의 감산영상으로 워크스테이견 (GE Medical system)을 이용하여 3D MIP 영상을 얻었다. 3D MIP 영상과 기본 유방자기공명영상에서 발견된 병변을 ACR BI-$RADS^{(R)}$ MRI lexicon에 따라 분석하였다. 각각의 영상에서 발견된 병변의 소견들을 비교하고 3D MIP에서 기본자기공명영상에서 보다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 종괴의 경우 기본 유방자기공명영상에서 보이는 56개 중 43개가 3D MIP 영상에서 발견되었다 (76.8%). 비종괴성 조영 증강의 경우 20개 중 17개가 발견되었다 (85%). 169개의 초점성 조영증강 병변이 3D MIP 영상에서, 109개가 기본 유방자기공명영상에서 확인되었다. 3D MIP 영상에서 60.9%의 category 3병변이 발견되었고(14/23), 68.87%의 category 4 병변 (11/16), 100%의 category 5병변 (28/28)이 발견되었다. 3D MIP 영상에서 분석된 조영증강 병변들의 category가 기본 유방 자기공명 영상의 결과들과 통계적으로 일치하였다(p-value < 0.0001). 기본 유방 자기공명 영상에서 초점으로 분석된 2개의 병변들이 3D MIP 영상에서는 다초점성의 악성 병변으로 발견되었고, 1개의 추가적 병변이 3D MIP 영상에서만 발견되었다. 결론 : 3D MIP 영상은 한계점들을 갖고 있으나, 기본 유방자기공명영상의 분석에 있어 추가적으로 이용 시 유용하다.

  • PDF

The Utility Evaluation of Reconstructed 3-D Images by Maximum Intensity Projection in Magnetic Resonance Mammography and Cholangiopancreatography

  • Cho, Jae-Hwan;Lee, Hae-Kag;Park, Cheol-Soo;Kim, Ham-Gyum;Baek, Jong-Geun;Kim, Eng-Chan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9권4호
    • /
    • pp.365-371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tility of 3-D imag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reconstructed 3-D images from fast spin echo images of MRI cholangiopancreatography (MRCP) images using maximum intensity projection (MIP) with the subtraction images derived from dynamic tests of magnetic resonance mammography. The study targeted 20 patients histologically diagnosed with pancreaticobiliary duct disease and 20 patients showing pancreaticobiliary duct diseases, where dynamic breast MR (magnetic resonance) images, fast spin echo imaged of pancreaticobiliary duct, and 3-D reconstitution images using a 1.5T MR scanner and 3.0T MR scanner were take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ignal-to-noise ratio in the subtracted breast image before and after administering the contrast agent and in the reconstructed 3-D breast image showed a high ratio in the reconstructed image of lesional tissue, relevant tissue, and fat tissue. However,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contrast-to-noise ratio of the two images. In the case of the MRCP image,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ratios of the fast spin echo image and reconstructed 3-D image.

점액암의 영상소견 (Imaging Features of Mucinous Breast Carcinoma)

  • 한혜정;김성헌;차은숙;김현숙;강봉주;최재정;이지혜;이아원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4권1호
    • /
    • pp.21-30
    • /
    • 2010
  • 목적: 점액암의 영상소견에 대해서 알아 보고, 조직학적 분화도에 따른 영상 소견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수술을 통해 점액암으로 확진된 2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유방촬영술과 초음파 검사, 그리고 자기 공명 영상 소견을 BI-RADS에 따라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점액암의 조직학적 분화도를 고분화, 중증도분화, 미분화 등급으로 나눠서 이에 따른 영상소견의 차이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20예의 유방 촬영에서 17예 (85%)가 종괴로 보였고 3예는 정상소견이었다. 총 27예의 초음파 검사에서 점액암은 난원형 (59.2%)의 미세소엽성 변연 (55.5%)을 가지거나 불균일한 등에코 (74%)의 종괴로 보였다. 총 21예의 자기공명영상에서 점액암은 소엽상의 변연(76.2%), 매끄러운 변연(86%)의 종괴로 불균일한 조영증강(61.9%)을 보이는 경우가 흔하였다. 역동성 조영 증가 그래프에서 지연시 유실형 양상 (52.3%)을 보였다. 고분화 점액암이 갑자기 끝나는 종괴의 경계를 보이는 것 외에는 점액암의 분화도에 따른 영상소견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점액암의 분화도에 따른 차이는 중등도 분화 점액암과 비교하여 고분화 점액암이 갑자기 끝나는 종괴의 경계를 보이는 것이었다. 대부분의 점액암은 자기공명영상에서 불균일한 조영증강과 지연시 유실형 양상을 보였다.

유두 종양의 자기공명 영상소견 (MR Findings of Papillary Neoplasms of the Breast)

  • 조예슬;김성헌;강봉주;최병길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8권1호
    • /
    • pp.43-51
    • /
    • 2014
  • 목적 : 유방암을 진단 받은 환자의 자기공명영상에서 추가적으로 발견된 유두상 병변의 자기공명영상 소견과 수술적 절제 후 상향화 비율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원에서 유방암 진단된 환자의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 1729건에서 지표 종양 외에 악성 의심 조영증강을 보인 병변 중 초음파 유도하 핵생검에서 유두 종양으로 진단된 21명의 환자의 22개 병변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수술적 절제를 시행한 병변은 핵생검 결과와 절제 생검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 병변들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BI-RADS MRI lexicon에 따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특징을 알아보았다. 결과 : 자기공명영상에서는 종괴 8예, 비종괴 7예, 초점 7예로 관찰되었고 초점으로 나타난 병변은 병리 조직에서 모두 (100%) 양성 병변으로 진단되었고, 역동적 조영증강 검사에서 고원형과 세척형 양상을 보였다. 양성 유두종 1예 (11.1%), 비정형요소를 가진 유두 종양 3예 (100%), 유두 종양 3예 (60%)가 수술적 절제 후 관상피내암, 침윤성 관상피암, 침윤성 소엽암 등으로 상향화되었다. 결론 : 초음파 유도하 핵생검에서 유두상 병변으로 진단된 병변들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양성과 악성을 예측하기에 특징적인 차이점을 보이지 않아 영상소견만으로 양성과 악성을 구분할 수 없으며 다수에서 수술적 절제 후 조직학적 상향화를 보여 (41.2%, 7/17) 반드시 수술적 절제를 통한 확진이 필요할 것이다.

3T 자기공명영상에서 비특이 침윤성 유방암의 컴퓨터보조진단 인자들과 병리적 면역조직화학 표지자들과의 상관성 (Computer-Aided Diagnosis Parameters of Invasive Carcinoma of No Special Type on 3T MRI: Correlation with Pathologic Immunohistochemical Markers)

  • 정진호;박창숙;이정휘;김기준;김현숙;전선영;오세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149-161
    • /
    • 2022
  • 목적 3-tesla (이하 T) 자기공명영상에서 비특이 침윤성 유방암의 컴퓨터보조진단 인자들과 병리적 면역조직화학 표지자들과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8년 1월부터 2019년 4월까지 비특이 침윤성 유방암으로 진단받은 총 94명의 3T 자기공명영상에서 컴퓨터보조진단 시스템을 통해 얻은 혈관조영부피, 최대 조영증강, 조기 및 지연 조영증강 양상과 면역화학인자와 유방암의 분자형 아형과의 상관성을 Dwass, Steel, Critchlow-Fligner 비교 분석과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혈관조영부피가 큰 비특이 침윤성 유방암이 핵등급과 조직학적 등급이 높고, 림프절 전이가 있고, 에스트로겐 수용체/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음성, 인간 표피성장인자수용체 2/Ki-67 양성이 많았다. Ki-67 양성인 비특이 침윤성 유방암에서 지연기 소실 성분 비율이 높고 지연기 지속 조영증강 비율이 낮았다. 이항회귀분석에서는 컴퓨터보조진단 시스템의 요소 중 혈관조영부피 인자가 독립적으로 핵등급, 조직학적 등급, 림프절 전이,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인간 표피성장인자수용체 2와 Ki-67과 상관성이 있고, 지연기 소실 및 지속 조영증강 인자가 Ki-67과 상관성이 있었다. 결론 조영증강 유방 MRI 컴퓨터보조진단 시스템 인자 중 혈관조영부피 요소와 지연기 소실/지속 조영증강 비율이 예후 예측 인자로 알려진 면역화학인자들과 연관성이 높아 임상적 예후 예측 인자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