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salted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1초

감압 및 절임방법에 따른 돔배기의 품질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hark Meat (Dombaegi) during Salting Using Vacuum and Conventional Salting Methods)

  • 김도훈;이신호;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69-874
    • /
    • 2009
  • 새로운 돔배기 절임공정을 개발하고자 상압과 감압하에 직간법과 물간법으로 염절임한 돔배기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무게 감소율은 물간법으로 상압하에서 절임 하였을 때 12.23%로 높았으며, 수분함량은 감압상태에서 물간법으로 절임한 돔배기가 65.46%로 높았다. 염함량은 직간법으로 감압상태에서 절임 하였을 때 3.02%로 높았으며, 보수력은 직간법으로 감압상태에서 절임한 돔배기가 60.2%로 높았다. 수분활성도는 상압상태에서 직간법으로 절임 하였을 때 0.926으로 낮았으며, 색차는 감압상태에서 물간법으로 절임한 돔배기가 9.75로 가장 낮았으며, 탄력성은 직간법으로 감압상태에서 절임한 돔배기가 91.7%로 높았다. 상압과 감압상태에서 절임한 돔배기을 비교하였을 때, 감압상태에서 절임한 돔배기의 품질특성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감압상태에서의 절임법은 새로운 절임 가공 기술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Effect of Particular Breed on the Chemical Composition, Texture, Color, and Sensorial Characteristics of Dry-cured Ham

  • Seong, Pil Nam;Park, Kuyng Mi;Kang, Sun Moon;Kang, Geun Ho;Cho, Soo Hyun;Park, Beom Young;Ba, Hoa V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8호
    • /
    • pp.1164-1173
    • /
    • 2014
  •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e impact of specific breed on the characteristics of dry-cured ham. Eighty thighs from Korean native pig (KNP), crossbreed (Landrace${\times}$Yorkshire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LYD), Berkshire (Ber), and Duroc (Du) pig breeds (n = 10 for each breed) were used for processing of dry-cured ham. The thighs were salted with 6% NaCl (w/w) and 100 ppm $NaNO_2$, and total processing time was 413 days. The effects of breed on the physicochemical composition, texture, color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assessed on the biceps femoris muscle of the ham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highest weight loss was found in the dry-cured ham of LYD breed and the lowest weight loss was found in Ber dry-cured ham. The KNP dry-cured ham contain higher intramuscular fat level than other breed hams (p<0.05). It was observed that the dry-cured ham made from KNP breed had the lowest water activity value and highest salt content, while the LYD dry-cure ham had higher total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 than the Ber and Du hams (p<0.05). Zinc, iron and total monounsaturated fatty acids levels were higher in KNP ham whil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evels were higher in Du ham when compared to other breed hams (p<0.05). Additionally, the KNP dry-cured ham possessed higher Commission International de l'Eclairage (CIE) $a^*$ value, while the Du dry-cured ham had higher $L^*$, CIE $b^*$ and hue angle values (p<0.05). Furthermore, breed significantly affected the sensory attributes of dry-cured hams with higher scores for color, aroma and taste found in KNP dry-cured ham as compared to other breed hams (p<0.05). The overall outcome of the study is that the breed has a potential effect on the specific chemical composition, texture, color and sensorial properties of dry-cured hams. These data could be useful for meat processors to select the suitable breeds for economical manufacturing of high quality dry-cured hams.

여대생의 피부유형에 따른 식생활습관 및 식품기호도 (The Dietary Habits and Preference of Foods on Skin Types of Woman College Students)

  • 서동희;박금순;신영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5-20
    • /
    • 2005
  • This study seeks to classify the skin types and determined the relation between the dietary habit and preference of foods targeting college women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Skin types of the subjects were 31% of combination skin, 25% of dry skin and 22% of normal, oily skin. College women mostly had two meals a day, and those who had less frequent meals developed more combination skin. Many of them did not exercise, and women with normal skin who did not exercise showed the lowest at 13.9%, supporting the significance (p<.05). It was exposed that don't have breakfast and have irregular meal and don't have easy meal in all skin types. Instant foods was exposed that ingested the most in dry skin and the least in oily skin, supporting the significance(p<.05) and fruit or vegetable ingested much in dry skin. It was exposed that considered atmosphere at meal and meal helps in health in all skin types, normal skin type considered balanced diets the most and supporting the significance(p<.01) Food preference in all skin types showed the strongest in drinks and showed strong in greenish yellow vegetables, fruits, confectioneries, drinks, milk and dairy goods. On the other hand, it showed low in nuts and salted fishes. In sum, regular and balanced meals give the skin a healthy status, and intake of protein, vitamins and minerals has impact on the skin status. Thus, sufficient quality nutrition is crucial in staying a healthy skin.

염장(鹽藏)미역의 가공(加工) 및 저장조건(貯藏條件) (Improving the Processing and Storage Conditions of Salted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 이강호;유병진;정인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66-72
    • /
    • 1983
  • 염장미역의 최적가공조건과 저장조건을 얻기 위한 생미역의 열처리, 포화식염수내의 침지 살염탈수(撒鹽脫水) 및 저장온도 등의 가공조건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미역의 blanching은 chlorophyll 색소의 변화로 볼 때 안정제 첨가없이 끊는 물에 20초간의 처리가 좋았다. 2. 포화식염수에 침지탈수할 때 20시간에 최대 염도 35%에 달하였고 수분함량은 75%였다. 3. 살염탈수시(撒鹽脫水時) 63% 이하의 수분(水分)함량으로 탈수(脫水)되는 시간(時間)은 염(鹽)첨가 8%(w/w)일 때 20시간(時間), 18%일때는 8시간(時間)이였다. 4. 염장미역 저장중의 색소변화에 있어서 chlorophyll은 40% 잔존율 이하는 퇴색을 나타내었고 이에 도달하는 저장기간은 식염첨가 8% 또는 18%의 경우 실온에서 30일 $4^{\circ}C$$-20^{\circ}C$에서 60일이었다. Carotenoid는 chlorophyll 보다 감소율이 컸으며 퇴색의 한계로 삼은 잔존율 30%에 달하는 저장 기간은 8%와 18% 식염첨가 시료에 있어서 실온 저장에서 20일, $4^{\circ}C$에서 25일, $-20^{\circ}C$에서 60일이었다. 5. 관능적으로 평가한 염장미역의 저장중의 품질변화는 8% 및 18%염 첨가시료에 있어서 실온저장 때 28일, $4^{\circ}C$때 38일, $-20^{\circ}C$에서 60일 이내는 조체의 연화나 부패취의 발생은 없었으나 퇴색을 동반하였다. 이 결과는 색소변화의 결과와 잘 부합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염장미역의 가공은 생미역을 20초간 끊는 물에 처리하여 포화식염수에 약 20시간 침지하고 탈수(脫水)하여 다시 분말염(粉末鹽)을 8%이상 첨가하여 10~20시간 염장탈수하여 $4^{\circ}C$에서 저장한다. 이 경우의 품질은 색소의 잔존율 30~40%로 판정할 때 50~60일 보존될 수 있다.

  • PDF

배추의 가공에 따른 glucosinolates 및 isothiocyanates 함량 변화 (Glucosinolate and isothiocyabate contents according to processing of Kimchi cabbage (Brassica rapa L. ssp. pekinensis))

  • 장미란;김건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67-373
    • /
    • 2017
  • 본 연구는 두 품종 배추(봄맛노랑 및 춘광)의 가공조건(신선배추, 절임배추, $4^{\circ}C$ 저장 김치 및 $20^{\circ}C$ 저장 김치)에 따른 GSL 및 ITC의 정성 정량 분석을 하였다. HPLC와 HPLC/MS분석 결과 봄맛노랑 및 춘광 배추에는 4종류의 GSL(sinigrin, gluconapin, glucobrassicanapin, 4-methoxyglucobrassicin)가 확인되었다. 신선배추의 총 GSL 함량은 봄맛노랑; $21.37{\pm}1.06{\mu}g/g$ DW, 춘광; $20.96{\pm}3.33{\mu}g/g$ DW에서 절임공정을 거쳐 봄맛노랑, 춘광이 각각 39%, 52% 감소하였다. 또한 김치로 가공하여 $20^{\circ}C$에 저장하였을 때 신선배추 대비 봄맛노랑, 춘광이 각각 83%, 56% 감소하여 GSL의 함량은 절임공정 및 숙성과정에서 크게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C/MS분석 결과 봄맛노랑 및 춘광 배추에는 3종류의 ITC(2-phenylethyl ITC, 3-butenyl ITC, 4-pentenyl ITC)가 확인되었다. 2-Phenylethyl ITC는 봄맛노랑, 춘광에서 절임공정에 의하여 증가하였다가 $20^{\circ}C$에 저장하며 숙성되는 동안 다량 소실되었다. 3-Butenyl ITC은 절임공정에서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김치로 저장하는 동안에는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4-Pentenyl ITC는 신선배추에서만 발견되었다가 가공처리에 의해 완전히 소실되어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향후 산업체에서 배추 가공식품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깍두기의 절임방법이 발효숙성 중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ting Method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akdugi Fermentation)

  • 장명숙;김나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1-67
    • /
    • 1999
  • The effects of salting methods on Kakdugi (cubed radish kimchi) fermentation were evaluated. Kakdugi was prepared with various salting methods, salt concentrations, and settling times, and fermented at 10$^{\circ}C$ for up to 52 days. Radish (Raphanus sativus L.) cubes (2 cm size) were salted by using the following methods salt concentration of about 1.5% which was known appropriate for the organoleptic quality of Kakdugi: 1) Treatment S-1: applying dry salt uniformly onto the radish cubes, with a salt concentration of about 1.5% (w/w) and cured for 1 hr, 2) Treatment S-5: applying dry salt uniformly onto the radish cubes, with a salt concentration of about 1.2% (w/w) and cured for 5 hr, 3) Treatment B-1: brining radish cubes in a 8.5% (w/v) salt solution for 1 hr, 4) Treatment B-5: brining radish cubes in a 4.0% (w/v) salt solution for 5 hr. As the fermentation continued, the initial high decrease in pH has been retarded in all the treatments, of which the delaying extent was more significantly noted from B-1 and B-5 than S-1 and S-5. The pH of the Kakdugi which showed a good eating quality dropped to 4.3∼4.8 with the accumulation of total acids. Total vitamin C increased sharply at the palatable period of Kakdugi during the initial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following a sigmoidal changing pattern. The reducing sugar levels were also influenced by salting methods and fermentation as sugars are converted into acids. High initial contents of reducing sugars and their subsequent rapid decrease were observed in “S” group than “B” group during fermentation. For nonvolatile organic acids, lactic acid increased consistently throughout the fermentation while malic acid, which was high at the initiation of fermentation, decreased rapidly afterwards at the palatable period of Kakdugi.

  • PDF

전자동 자반건조기 제작에 이용할 Water Jet의 유동해석 모델 (Development of a Model for Fluid Analysis of Water Jet Using Automatic Javan(Salted-dry Seaweeds) Dryer Machine)

  • 김일수;박창언;정영재;손준식;남기우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53-58
    • /
    • 1998
  • This paper concentrates on the development of a computational design program to determine nozzle size in water jet, combing the numerical optimization technique with the flow analysis code.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 a two-dimensional model was developed for investigating the fluid flow in water jet and calculating the velocity and pressure distributions. The mathematical formulation as a standard ${k}-\varepsilon$ model was solved employing a general thermo fluid-mechanics computer program, PHOENICS code, which is based on the Semi-Implicit Method Pressure Linked Equations(SIMPLE) algorithm. The developed code was applied to water jet design to determine the nozzle size,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change of nozzle location. Calculated results showed that the flow pattern is not changed as the change of nozzle location.

  • PDF

소금과 아질산염 처리수준이 자연숙성 건염햄의 지방산 조성, 유리아미노산, 미생물수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alt and NaNO2 on Fatty Acid Composition, Free Amino Acids, Microbial Coun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ry-cured Ham Processed under Korean Environment)

  • 성필남;김진형;조수현;강동우;강근호;박범영;이종문;정재홍;김동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35-442
    • /
    • 2010
  • 자연환경에서 건염햄 제조 시 소금 처리 수준과 아질산염 처리 유무가 지방산 조성, 유리아미노산, 미생물수 및 관능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기 위해 HS(뒷다리 kg 당 92 g 소금 처리), HS+$NaNO_2$(뒷다리 kg 당 92 g 소금+100 ppm 아질산염 처리), LS(뒷다리 kg 당 62 g 소금 처리), LS+$NaNO_2$(뒷다리 kg 당 62 g 소금+100 ppm 아질산염 처리) 등 4개 처리구에 돼지 뒷다리 3개씩을 배치하여 조사하였다. 지방산 조성에서 SFA는 HS+$NaNO_2$ 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고, USFA는 HS+$NaNO_2$ 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비율을 나타내었다(p<0.05). 유리아미노산 분석결과, 우리나라 환경에서 제조된 건염햄의 경우 glutamate(228.26-427.11 mg/100 g), alanine(356.03-579.47 mg/100 g), lysine (377.88-685.06 mg/100 g) 등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proline을 제외한 모든 유리아미노산들은 소금 처리수준과 아질산염 처리 유무에 유의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관능평가 결과, HS 처리구 보다 LS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발효취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p<0.05), 총균수는 $2.3{\times}10^2-1.11{\times}10^4$ 수준이었고, E. coli, Staphylococcus aureus, E. coli O157, Salmonella spp.는 검출되지 않았다.

Alginate의 Na 흡착효과와 다시마 첨가 김치의 개발 (Na-binding Capacity of Alginate and Development of Sea Tangle Added Kimchi)

  • 하정옥;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95-1002
    • /
    • 2000
  • 본 연구는 in vitro에서 여러 식이섬유의 Na흡착효과를 측정하였고 다시마내의 alginate의 Na 흡착능을 측정하고 다시마 첨가김치의 소금(Na) 흡착기능으로 저염 기능성 김치를 개발하려고 하였다. 여러 식이섬유의 표품으로 Na흡착효과를 시험한 결과, alginate와 sodium alginate, 그리고 다시마에서 추출한 alginate가 가장 큰 효과가 있었다. Sodium alginate는 산에서도 용해된 상태로써 위장에서부터 Na를 흡착하여 (29.9%) 소장까지 내려가지만(33.8%) alginate와 다시마에서 추출한 alginate는 소장의 알칼리 상태에서 32.3%와 27.4%의 Na 흡착능을 보였다. 다시마내의 alginate함량은 건다시마의 경우 건조물당 22.2%, 염장다시마는 21.9%, 30분 침지 후3회 세척한 염장다시마는 19.8%였다 관능검사를 통하여 염장 다시마를 세척한 다시마를 0.5$\times$3 cm 형태로 절단하여 김치레시피의 30%첨 가한 김치를 제조하였다. 다시마김치의 이화학적 특성, 젖산균의 변화 그리고 관능검사를 통해 그 특성을 살펴 본 결과 대조김치에 비해 환원당 함량과 젖산균이 많았으며 발효속도는 다소 빨랐고 특히 다시마첨가 김치는 대조김치와 다시마젓갈첨가 김치보다 탄산미가 많고 군덕내가 적은 것이 특징이었다. 다시마첨가김치는 대조김치에 비해 수용성 식이섬유의 양이 건조물당 6.2%에서 9.2%로 증가되었다.

  • PDF

멸치젓에서 추출한 칼슘이 흰쥐의 칼슘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lcium Extracted from Salted Anchovy (Engraulis japonicus) on Calcium Metabolism of the Rat)

  • 김향숙;최은옥;김만도;최영현;김병우;김수연;황혜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82-187
    • /
    • 2013
  • 멸치젓으로부터 추출한 칼슘이 체내의 칼슘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를 대상으로 칼슘급원을 달리하여 섭취시킨 후 체내의 골격대사에 관련된 지표를 비교 평가하였다. 식이구성은 탄산칼슘군(calcium carbonate, CC), 젖산칼슘군(calcium lactate, CL), 해조칼슘군(seaweed calcium, SC), 멸치칼슘(anchovy calcium, AC), 저칼슘(low calcium, LC)군으로 총 5군으로 구성하였으며,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 종료까지의 체중은 탄산칼슘을 섭취한 CC군과 AC군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LC군에서 체중 증가가 낮았고 식이섭취량도 LC군에서 가장 낮았으며, 정상칼슘군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칼슘 섭취량은 LC군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정상칼슘군들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칼슘 흡수율은 LC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식이 칼슘수준이 적을수록 흡수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칼슘 보유량은 저칼슘군에서 가장 낮았으며, CC군, CL군, AC군은 S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혈중 ALP 수준은 LC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반면 정상칼슘군에서는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CC군과 AC군에서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칼시토닌 농도는 LC군에서 정상칼슘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p<0.05) 요중 DPD수치는 LC군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CC군과 AC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대퇴골의 체중 100 g당 습윤무게는 실험군간에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건조무게는 정상칼슘군보다 LC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5). 대퇴골의 골밀도는 LC군에서 정상칼슘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p<0.05), 동일한 정상수준의 칼슘이 공급된 실험군 사이에서는 CL군에서 AC, CC, SC보다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지만 감소경향을 보였다. 실험동물의 칼슘대사에 관련된 호르몬의 변화나 대퇴골의 골밀도 결과로 보아 멸치젓에서 추출한 칼슘은 기존에 사용해오던 탄산칼슘 수준으로 칼슘대사에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고, 멸치 부산물을 활용한 칼슘제 개발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