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 chemical extinguisher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분말소화기의 내부압력 변화에 따른 제3종 분말소화약제의 침강도 시험 (Analysis of the Sedimentation Status Test for Type-3 Dry Chemical Powder with Changes in Internal Pressure of the Dry Chemical Extinguisher)

  • 손주달;김서영;공하성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7-74
    • /
    • 2023
  • This study aims to measure sedimentation status change with the changes in internal pressure for dry chemical extinguishers of various use periods and analyze the suitability of the fire extinguishers' performance criteria.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er is 0%, 2 out of 10 new dry chemical powders for the 5 elapsed years were noted to be suitable, including 3 recycled dry chemical powders with 5 elapsed years that were found eligible. One out of 10 new dry chemical powders for 10 elapsed years was shown as suitable. Also, one new dry chemical powder for 13 elapsed years was suitable.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er was 50%, all 10 out of 10 new dry chemical powders for 5 years, recycled one with 5 elapsed years, and a new one with 10 elapsed years were found to be suitable, while 9 new dry chemical powders for 13 years were shown as suitable.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er was normal, new ones with 5 elapsed years, recycled ones with 5 elapsed years, new ones with 10 elapsed years, and new ones with 13 elapsed years were all 10 out of 10 samples noted as suitable. In summarizing the experiment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sedimentation status, one of the fire extinguisher's physical properties experiments, affects the fire extinguisher's performance criteria rather than the change with use periods.

분말소화기의 내부압력 변화에 따른 제3종 분말소화약제의 겉보기비중 실험 분석 (Analysis of the Apparent Specific Gravity for Type-3 Dry Chemical Powder with the Changes in the Internal Pressure of Dry Chemical Extinguisher)

  • 손주달;김서영;공하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607-617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내부 압력 변화의 변화와 소화기 사용연한 기간을 5년 신생, 5년 재생, 10년 신생, 13년 신생으로 산정하여 소화기의 성능이 겉보기비중 물성 시험 기준에 적합한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실험 결과 소화기 내부 압력이 0%일 때, 사용연한 기간에 따른 분말소화기의 1차, 2차, 3차 산술 평균 분석 결과 모두 부적합으로 나타났다. 소화기의 내부 압력이 50%일 때 시료번호 12-8-신생에서 130ml로 측정되어 부적합으로 분석되었으며, 13년 신생 분말소화기의 시료번호 09-9-신생에서 145ml로 측정되어 부적합으로 분석되었다. 그 외 분말소화기는 모두 적합으로 분석되었다. 소화기의 내부 압력이 정상일 때 모두 적합하다고 분석되었으나, 13년 신생 분말 소화기의 시료 번호 09-06 신생에서 실험값이 131ml로 측정되어 부적합하다고 분석되었다. 실험을 분석한 결과 사용연한 10년부터 13년까지 분말소화약제 겉보기비중 시험에서 일부가 괴상화 현상으로 소화기 성능에 부적합 판정이 나왔기 때문에 분말소화기의 사용 연한을 기존 10년에서 7년 이하로 내구연한을 줄이는 방안을 고려해봐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동식 미분무수 소화장비의 소화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Extinguishing Capacity of Mobile Water Mist Equipment)

  • 공하성;김종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5-26
    • /
    • 2009
  • This research has so far found out problems including the second damage of extinguishant and the short time of emission when using the existing dry chemical extinguisher and gas type extinguisher, and impossibility of constant extinguishing due to the inability of recharge at the field. To solve such problems, a mobile water mist system was developed and used. However, it is judged that more improved mobile water mist system is necessary because the force of the fire changed diversely and remote villages in mountains or islands where the force of fire extinguishing is short or delayed, require high capacity of fire extinguishing. Therefore a new equipment was developed and tested focusing on the improvement of extinguishing capacity and the performance of extinguishing was found out to be improved, compared to the existing mobile water mist system. It also showed a superior extinguishing capacity to dry chemical extinguisher or gas type extinguisher. Afterward an additional research is required of simplification of equipment, price cutting and the development of additive to enable high performance even with just small extinguishant.

노후 분말소화기의 폭발사고 원인과 예방대책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the Precautionary Measures and Causes on Explosion Accidents of a Old Dry Chemical Powder Extinguisher)

  • 이의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91-99
    • /
    • 2012
  • 분말소화기를 조작하거나 해체하는 과정 중에 아주 드물게 사상자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부식된 분말소화기는 조작 중 또는 해체(폐기)과정 중에 폭발하면 로켓과 같이 위쪽으로 솟아오르면서 소화기 조작자나 해체과정 중인 사람의 머리나 가슴, 목 부위 등을 쳐서 사상사고를 발생하게 한다. 이 논문에서는 분말소화기파열사고사례를 알아본 후, 파열사고의 원인과 파열로 인한 반동력, 예방대책에 대해 알아보았다. 소화기 파열사고의 예방대책으로 훈련이나 교육에 부식된 소화기의 사용 자제, 부식된 소화기에 대한 위험성 교육 및 홍보, 기설치 가압식분말소화기에 파열위험성 표시, 내용연수 표시 의무화, 일정기간 경과 소화기에 대한 수압검사 제도의 도입 검토, 폐소화기 회수시스템 구축, 폐소화기의 재활용시스템 구축, 노후소화기관련 상담창구 운영 등을 제안하였다.

아파트 지하주차장 소화기의 유지관리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Method of Fire Extinguisher Maintenance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f the Apartment)

  • 이영삼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8
    • /
    • 2016
  • The definition of an apartment is a building more than 5 stories high and which is the standard law. Currently, the number of apartments is increasing much faster than detached houses. Owning an apartment is a normal trend these days. However, the increasing number of apartments has been increasing the number of apartment fires which also has been making social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fire extinguisher among other fire facilities because it is important for initial fire suppression. The research subject is on the fire extinguisher that is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f 40 apartment complexes which are more than 10 stories. Survey and analysis were conducted for 80 fire extinguishers. There are two fire extinguishers for each apart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all installed fire extinguishers are ABC dry chemical type, 92% of them is 3.3kg and that meet the legal height(less than 1.5m). However, the condition such as appearance, inspection, manufactured year, appearance of signs, material of signs, size of signs, etc. was insufficiency. So improvement of law and system that are fire facility construction, maintenance implementation and additional designation of type approval about sign will be needed in my opinion.

GS1을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소화기구 모니터링 시스템 (Smart Fire Fighting Appliances Monitoring System using GS1 based on Big Data Analytics Platform)

  • 박흠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57-68
    • /
    • 2018
  • This paper presents a smart firefighting appliances monitoring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tics platform using GS1 for Smart City. Typical firefighting appliances are fire hydrant, fire extinguisher, fire alarm, sprinkler, fire engine, etc. for the fire of classes A/B/C/D/E. Among them, the dry chemical fire extinguisher have been widely supplied and 6 millions ones were replaced for the aging ones over 10 years in the past year. However, only 5% of them have been collected for recycling of chemical materials included the heavy metals of environment pollution. Therefore, we considered the trace of firefighting appliances from production to disposal for the public open service. In the paper, we suggest 1) a smart firefighting appliances system using GS1, 2) a big data analytics platform and 3) a public open service and visualization with the analyzed information, for fire extinguishers from production to disposal. It can give the information and the visualized diagrams with the analyzed data through the public open service and the free Apps.

소방용품 내용연수 제도화 정책방안 (Policy Direction for Fire Products Life Expectancy Legislation)

  • 백창선;박인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111-120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외의 소방용품 내용연수 제도와 소방안전관리자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소방용품 내용연수 제도화에 대한 정책 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일본, 미국, 한국의 소방용품 내용연수 제도를 분석하여 권장 내용연수를 도출하고, 전국 17개 시도권역 소방안전관리자 660명을 대상으로 소방용품 내용연수 제도화 필요성, 32종의 소방용품의 내용연수 관리 및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를 분석한 후 소방용품 내용연수 정책실행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소방안전관리자 설문 조사 결과, 소방용품 법제도화에 대하여 79.3% 소방안전관리자가 찬성하였으며 소방용품 품목별 제도화 필요성에 대해서는 분말소화기(77.3%), 감지기(44.6%), 소방호스(44.4%), 가스계소화기(40.6%), 완강기(36.2%), 유도등(35.9%), 공기호흡기(35.9%), 주거용주방자동소화장치(33.9%), 자동확산소화장치(33.9%), 비상조명 등(31.2%), 가스누설경보기(30.7%) 등이 30%를 상회 수준으로 내용연수 관리가 필요하고, 특히 분말소화기(60.0%), 감지기(20.0%), 소방호스(18.8%)는 최우선 도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소방용품 내용연수는 대부분 10년 전후 경과하면 교체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내용연수 제도화 소방용품 품목을 선정하고 단계적 정책 도입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