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ug monitoring

검색결과 611건 처리시간 0.029초

Antiepileptic Drugs in Children : Current Concept

  • Lee, Jeeh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2권3호
    • /
    • pp.296-301
    • /
    • 2019
  • An epileptic seizure is defined as the transient occurrence of signs and/or symptoms due to abnormally excessive or synchronous neuronal activity in the brain. The type of seizure is defined by the mode of onset and termination, clinical manifestation, and by the abnormal enhanced synchrony. If seizures recur, that state is defined as epilepsy. Antiepileptic drugs (AEDs) are the mainstay of treatment. Knowledge about initiating and maintaining adequate AEDs is beneficial for the clinician who treats children with epilepsy. This article will delineate the general principles for selecting, introducing, and discontinuing AEDs and outline guidelines for monitoring adverse effects. In general, AED therapy following a first unprovoked seizure in children is not recommended. However, 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after a second seizur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f they are seizure-free for at least 2 years, attempts to withdraw medication/s should be made, taking into account the risks vs. benefits for the individual patient. The decision on when and what AED to use should be tailored according to the patient. For optimal treatment, the selection of adequate AEDs can be achieved by considering the precise definition of the patient's seizure and epilepsy syndrome. Continuous monitoring of both therapeutic and adverse effects is critical for successful treatment with AEDs.

폐이식 환자에서 tacrolimus와 itraconazole 혹은 voriconazole 병용 시 tacrolimus의 혈중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oriconazole or Itraconazole on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Tacrolimus in Lung Transplant Recipients)

  • 정유진;이영숙;안지현;손은선;박민수;이장익;장민정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6-311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hanges in the blood concentrations of tacrolimus when either itraconazole or voriconazole is together with tacrolimus to prevent or treat invasive aspergillus pneumonia (IAP) in patients with lung transplants. Therefore we can compare the degree of drug-drug interactions between tacrolimus and itraconazole against tacrolimus and voriconazole. Methods: Patients who were admitted and had lung transplants in a territory referral hospital from September 2012 to May 2015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effects of itraconazole and voriconazole on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tacrolimus were analyzed. Results: Mean tacrolimus concentrations was $10.49{\pm}2.35ng/mL$ vs. $10.95{\pm}2.98ng/mL$ (p=0.722), and mean concentration of tacrolimus over the dose of tacrolimus per day was $8.510{\pm}5.890(ng/mL)/(mg/d)$ vs. $15.45{\pm}28.47(ng/mL)/(mg/d)$ (p=0.947) in itraconazole vs. voriconazole group each. The ratio of the number of the results out of target tacrolimus concentrations to the total number of tacrolimus concentration results was $18.0{\pm}13.3%$ vs. $24.4{\pm}18.5%$ (p=0.185).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traconzaole and voriconazole to have influences on mean concentrations of tacrolimus over tacrolimus dose per weight per day. However voriconazole tended to raise tacrolimus plasma concentrations more than itraconazole. Safer and more effective drug management to prevent and treat fungal infections should be done by therapeutic drug monitoring not only of tacrolimus but of itraconazole and voriconazole in lung transplant patients.

LC-MS/MS를 이용한 돼지고기 중 총아플라톡신 및 오크라톡신 A 동시분석법 확립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flatoxins and Ochratoxin A in Pork by LC-MS/MS)

  • 백옥진;박송이;박기훈;김신희;서세정;윤혜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4-200
    • /
    • 2016
  • 돼지고기 중 5종의 곰팡이독소(아플라톡신 $B_1$, $B_2$, $G_1$, $G_2$ 및 오크라톡신 A)를 분석하기 위해 0.1% 개미산을 함유한 50% 아세토니트릴용액으로 추출한 후 고체상추출칼럼을 이용하여 정제하고, LC-MS/MS로 동시 정량할 수 있는 시험법을 마련하였다. 분석조건으로 측정한 5종의 곰팡이독소 matrix-matched 표준곡선식에서 모두 상관계수 0.998이상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5종의 곰팡이독소 2배의 정량한계에서 10배의 정량한계로 첨가한 시료에서 평균 회수율은 72.1~109.9%로 실험 결과들이 EU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유효성 확인을 위한 기준을 만족함으로써 시험법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충청지역 유통되고 있은 돼지고기 20건에 대한 총아플라톡신 및 오크라톡신A에 대한 오염도 조사결과 정량한계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데이터마이닝 분석을 이용한 노인약물유해반응과 원인약물의 연관성연구 (Study for Association between Adverse Drug Reactions and Causative Drugs in the Elderly Using Data-mining Analysis)

  • 이미우;이정선;한옥연;최인영;정승희;임현우;이동건;나현오;박영민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9-44
    • /
    • 2014
  • Purpose: To investigate adverse drug reactions (ADR) and causative drugs in the elderly 65 years of age or older, using Korean spontaneous reporting adverse events reporting database from June 2009 to December 2010. Methods: We estimated the association between ADRs and implicated medications by calculating a proportional reporting ratio (PRR), reporting odds ratio (ROR), and information component (IC). We reexamined the most frequently implicated medications and ADRs, and the seriousness of ADRs. Then, we assessed reports and concordant rate of ADRs due to medications designated as "high-risk" in elderly by 2012 healthcare effectiveness data and information set (HEDIS) or "potentially inappropriate" by 2012 American Geriatrics Society updated Beers criteria for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 (PIMs). Results: Among 15,484 elderly reports, data-mining analysis by PRR, ROR and IC showed that 421 drug-ADR pairs were detected as signals (3,189).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ADR and causative drug were urticaria (470) and contrast media agents (647), respectively. One hundred eighty nine ADR cases were graded as serious. Twenty-two kinds of high-risk medications were shown to be implicated in only 0.9% of ADRs. Only thirty-nine cases were consistent with 2012 Beers criteria or HEDI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nagement of the other medications including contrast media agents as well as close monitoring of PIMs are necessary for reducing ADRs in the elderly.

경인지역 유통식품 중 타르색소 실태 조사;학교주변 어린이 기호 식품을 중심으로 (Tar Colors in Foods Distributed throughout the Gyeong-In Region;Monitoring Favorite Food Items of Children Near Elementary Schools)

  • 김희연;남혜선;정용현;이진하;하상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43-250
    • /
    • 2008
  • 경인지역내 초등학교 주변에 유통되고 있는 어린이 기호식품 총 6종 439개를 대상으로 국내허용 타르색소 9종의 사용실태를 분석한 결과, 어린이 기호식품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색소는 황색제4호, 청색제1호, 적색제40호, 황색제5호 순으로 나타났다. 껌, 빙과류, 청량음료, 건과류는 단일 또는 두 가지의 타르색소를 사용하였으며, 캔디류와 초코릿류는 주로 2-3가지의 색소를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타르색소의 검출농도 범위는 캔디류 0.11-1169.58mg/kg, 초코릿류 0.73-468.02 mg/kg, 껌 0.10-602.46 mg/kg, 빙과류 0.25-162.32 mg/kg, 건과류 0.11-753.68 mg/kg, 청량음료 0.21-69.45mg/kg으로 나타났다. 검출농도가 50.0 mg/kg 이하에는 71.2%가 분포하였으나, 300.1 mg/kg 이상 검출된 것도 1.5%였다. 초콜릿과 껌에서의 타르색소 평균함량이 높았고, 청량음료와 빙과류에서는 낮았다. 황색 제4호와 황색 제5호의 평균함량이 다른 색소보다 높았다. 7-12세 아동의 각 식품에 대한 총 EDI는 0.004-1.017mg/day/person이었고, 각 타르색소의 총 EDI는 0.04-3.98 mg/day/person이었으며, 색소의 총 ADI에 대한 총 EDI의 비율은 0.02-5.98%이었다.

마약남용자 11명의 타액 중 메스암페타민의 분석 (Analysis of Methamphetamine and Amphetamine in Oral Fluid of Eleven Drug Abusers)

  • 김은미;이주선;최혜영;최화경;정희선
    • 약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419-425
    • /
    • 2008
  •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 was developed for detection of methamphetamine (MA) and its main metabolite amphetamine (AM) in oral fluid. Oral fluids of eleven drug abusers were provided by Police, specimens were collected by stimulation with a cotton swab treated with 20 mg of citric acid ($Salivette^{(R)}$; Sarstedt, USA). As the preliminary test, oral fluid samples were screened for amphetamines by Fluorescence Polarization Immunoassay (TDxFLx, Abbott Co.). Extraction for MA was performed using solid-phase extraction (SPE) by $RapidTrace^{TM}$ (Zymark, USA) with mixed mode cation exchange cartridge, CLEAN $SCREEN^{(R)}$ (130 mg/3 ml, UCT) after dilution with phosphate buffer. Samples were evaporated and derivatized by pentafluoropropionic acid anhydride (PFPA). Quantitation of MA and AM was perform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using selective ion monitoring (SIM), the quantitation ions were m/z 204 (MA), 208 (MA-$D_5$), 190 (AM) and 194 (AM-$D_5$). The selectivity, linearity of calibration, limit of detection (LOD) and quantification (LOQ) within- and between day precision, accuracy and recoveries were examined as parts of the method validation. All oral fluid samples gave positive results to immunoassay for MA (cut-off level, 50 ng/ml as d-amphetamine). Concentrations of MA and AM by GC-MS in eleven samples were ranged 104.2${\sim}$4603.3 ng/ml and 32.4${\sim}$268.6 ng/ml, respectively. Extracted calibration curves of MA and AM were linear over the two concentration range of 1${\sim}$100 and 50${\sim}$1000 ng/ml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of above 0.999. LOQ of MA and AM was 1 and 3 ng/ml, respectively. The intraand inter-day run precisions (CV) for MA and AM were less than 10%, and the accuracies (bias) for MA and AM were also less than 10% at the two different concentrations 5 and 100 ng/ml at low calibration range, 50 and 1000 ng/ml at high calibration range. The absolute recoveries of MA and AM at low and high calibration ranges were more than 82% and 75%,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 of MA in oral fluid was established. Oral fluid testing may detect drug use in past hours because of its shorter detection window than urine, and be useful in post-accident situations. So oral fluids will be most useful for testing drug abuse in the driving under the influence of drug (DUID) as the alternative specimens of urine.

소아에서 보리코나졸 치료적 약물 농도 모니터링의 임상적 의의 (Voriconazole Therapeutic Drug Monitoring is Necessary for Children with Invasive Fungal Infection)

  • 강현미;강수영;조은영;유경상;이지원;강형진;박경덕;신희영;안효섭;이현주;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1권1호
    • /
    • pp.9-21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소아 환자들에서 voriconazole 치료적 약물 농도 모니터링의 임상적 의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7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 입원한 18세 이하의 소아 환자들 중, 침습성 진균감염증에 대해 voriconazole 치료를 받은 증례를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총 28명의 환자 중 14명이 약물 농도 모니터링을 받았으며, 143개의 혈중 농도 측정 값을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들에게서 치료 효과 및 독성 증상 발현 여부를 파악하였다. 결과: 143개의 혈중 농도 측정 값 중 53.1%에서 치료적 범위(1.0-5.5 mg/L) 내에 들었고, 같은 용법으로 치료받았더라도 높은 혈중 농도 변동성(high variability)을 보였다. 약물 농도 모니터링을 받았던 군(TDM 군)과 받지 않았던 군(non-TDM 군)에서 각각 14명 중 9명(64.3%)이 독성 증상을 나타냈는데, TDM 군에서 신경학적 증상(n=2, 14.3%) 및 간기능 장애(n=8, 57.1%)는 높은 voriconazole 혈중 농도(>5.5 mg/L)를 보인 환자들에게서 나타났다. 반면, 시각 장애는 혈중 농도가 치료적 범위 내에 있을 때 발현하였다(1.18 mg/L, 3.9 mg/L). TDM 군에서 non-TDM 군에 비하여 독성 증상으로 인하여 약물을 중단했던 빈도가 낮았다(0.0% vs. 18.2%, P =0.481). 치료 시작 6주 후 치료 효과를 분석해본 결과 TDM 군의 57.2%에서 치료에 대한 반응을 보였으나, non-TDM 군에서는 14.3%에서 치료 반응을 보였다(P =0.055). 최종 치료효과 분석에서는 TDM 군의 21.4%에서 치료 반응을 보였으나, non-TDM 군의 14.3%에서 치료 반응을 보였다(P =0.664). TDM 군에서 치료 시작 첫 6주 동안 혈중 약물 농도를 분석했을 때 67.0% 이상에서 치료적 범위 내에 들었으나, 치료 기간 전체를 봤을 때에는 45.5%에서 치료적 범위 내에 들었다. 결론: 소아에서 voriconazole 사용 시 치료적 약물 농도 모니터링을 통하여 치료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독성이 나타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Lead and Cadmium in Various Agricultural Products Collected from the Korean Market

  • Chang, Eun Jung;Park, Sung Hee;Lee, Kyung Jin;Choe, Jee su;Kim, Mee hye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0-24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중인 농산물 9품목(n = 578)에 대한 납과 카드뮴 함량을 조사하고 이들의 섭취로 인한 위해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납과 카드뮴의 함량은 마이크로웨이브 분해 후 ICP-MS로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농산물의 납 평균 함량은 각각 보리 0.014 mg/kg, 완두콩 0.010 mg/kg, 강낭콩 0.008 mg/kg, 녹두 0.006 mg/kg, 파인애플 0.008 mg/kg, 살구 0.016 mg/kg, 매실 0.015 mg/kg, 자두 0.021 mg/kg, 대추 0.019 mg/kg이었고, 카드뮴 평균함량은 보리 0.017 mg/kg, 완두콩 0.004 mg/kg, 강낭콩 0.007 mg/kg, 녹두 0.005 mg/kg, 파인애플 0.001 mg/kg, 살구 0.002 mg/kg, 매실 0.002 mg/kg, 자두 0.002 mg/kg, 대추 0.003 mg/kg이었다. 모든 시료의 납, 카드뮴 함량은 EU, CODEX 및 국내 기준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조사 대상 농산물에 대한 납, 카드뮴의 인체노출량을 산출한 결과, 납은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 $25{\mu}g/kg$ b.w./week)의 0.067%, 카드뮴은 월간잠정섭취허용량(PTMI, $25{\mu}g/kg$ b.w./month)의 0.28%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조사 대상 농산물의 납, 카드뮴 오염도와 이들의 섭취에 의한 위해성이 모두 낮은 수준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LC-MS/MS를 이용한 벌꿀 중 grayanotoxin 분석법 연구 및 실태조사 (Determination and Monitoring of Grayanotoxins in Honey Using LC-MS/MS)

  • 이숙연;최윤주;이강봉;조태용;김진숙;손영욱;박재석;임성임;최희정;이동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8-14
    • /
    • 2008
  • 본 연구는 야생꿀을 비롯한 벌꿀, 벌집채꿀 등 국내산 및 수입산 꿀의 안전관리를 위한 grayanotoxin(GTX)의 시험분석법 확립 및 실태조사를 위하여 수행하였다. GTX 표준품 I, II, III는 LC-MS/MS로 분자량을 확인한 후, 시판품인 III를 제외한 I과 II는 NMR을 이용하여 구조를 확인하였다. 총 111건(국내산 벌꿀25건, 국내산 야생꿀 21건, 벌집채꿀 13건, 수입산 벌꿀 44건, 수입산 야생꿀 8건)의 벌꿀시료는 메탄올을 사용하여 벌꿀-메탄올 용액을 만들어 tC18 cartridge에 loading 한 후, 여과된 액을 동량의 증류수로 희석하여, 이온화장치로 ESI를 장착한 triplequadrupole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LC의 용리액은 1% 포름산이 첨가된 "메탄올-물"을 사용하는 것이 10분 이내의 분석시간대에 나타나는 피크의 모양과 감도가 우수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방법을 이용하여 검체 중의 GTX I, II, III의 함유량을 조사한 결과 총 111건 중 수입산 야생꿀 3건(2.7%)에서 GTX I, II, III가 검출되었고, 수입산 야생꿀 1건에서 GTX I, III가 검출되었다. GTX I의 검출량은 최소 $3.13{\pm}0.00mg/kg$에서 최고 $12.93{\pm}0.01mg/kg$으로 나타났고 GTX II는 $0.84{\pm}0.01mg/kg$, $0.92{\pm}0.00mg/kg$, $1.08{\pm}0.01mg/kg$의 함량을 나타내어 GTX I 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GTX III는 최소 $0.25{\pm}0.01mg/kg$에서 최고 $3.29{\pm}0.74mg/kg$으로 함량에 큰 차이를 보였다. 본 방법을 이용한 총 111건의 벌꿀 시료의 GTX분석시 수입산 야생꿀 4건에서만 GTX가 검출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비 휘발성 또는 극성 때문에 GTX 분석시 GC 및 GC-MS에서 분석이 어려운 벌꿀시료를 대상으로 전처리 시간의 단축을 모색함과 동시에 LC-MS/MS를 이용한 시험분석법을 개발할 수 있었고, 모니터링을 통하여 네팔, 터키 등 특정 지역의 야생꿀의 섭취를 제한하는 과학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었다.

가공식품 중 중금속 함량 및 안전성 평가 (A Study on Heavy Metal Contents in Processed Foods and Their Safety Evaluations)

  • 이효정;심지연;오현숙;장미란;이윤애;이륜경;김민아;이상민;조태용;강호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1-2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주요섭취 가공식품(우유, 식용유지, 마가린) 3개 품목에 대한 납, 카드뮴, 비소의 기준 규격 설정을 위해 가공식품 총 287건을 전국 8개 권역(강원, 경기, 경남, 경북, 충청, 전남, 전북, 경남, 제주)에서 수거하고 각 시료를 microwave 분해법으로 전처리 하였다. 시료의 산분해 전처리 시 보다 객관화된 시료 전처리 방법의 확립을 위해 잔여 $^{12}C$ intensity를 ICP-MS로 측정하여 가장 분해정도가 우수한 조건(검체량, 질산량, 과산화수소량)을 선정하였다. 최적조건에서 전처리한 시료의 납, 카드뮴, 비소 함량은 ICP-MS로 분석하였다. 정량한계(Limit of quantification, LOQ)는 납의 경우, 우유 0.3 ${\mu}g/kg$, 식용유지, 마가린 0.61 ${\mu}g/kg$ 이었고, 카드뮴의 경우, 우유 0.15 ${\mu}g/kg$, 식용유지, 마가린 0.31 ${\mu}g/kg$이었다. 비소의 경우, 우유 0.45 ${\mu}g/kg$, 식용유지, 마가린 0.91 ${\mu}g/kg$이었다. 납, 카드뮴, 비소의 회수율은 납 92.6-98.0%, 카드뮴 91.2-98.9%, 비소 97.9-105.6% 수준 이었다 모니터링 결과, 가공식품의 납의 평균함량은 우유 2.395 ${\mu}g/kg$, 식용유지 7.656 ${\mu}g/kg$이었으며, 카드뮴의 평균함량은 우유 0.483 ${\mu}g/kg$, 식용유지 0.380 ${\mu}g/kg$이었다. 비소의 평균함량은 우유 0.781 ${\mu}g/kg$, 식용유지 1.241 ${\mu}g/kg$이었다. 가공식품의 Codex 납 기준 0.02-0.1 mg/kg, 카드뮴 0.1 mg/kg, 비소 0.1 mg/kg 수준과 비교해 볼 때, 모든 검체에서 기준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2005년 국민건강조사 DB에서 조사대상 인구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위해평가 한 결과 대상 식품들의 납, 카드뮴, 비소의 인체노출수준을 JECFA의 납, 카드뮴, 비소의 잠정주간섭취허용량으로 나누어 위해지수를 산출한 결과, 1.0 보다 훨씬 낮게 나타남으로 위해도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