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nking Problem

검색결과 376건 처리시간 0.023초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외상경험과 재발위험성의 관계에서 문제중심대처, 정서중심대처, 음주기대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Problem Focused and Emotion Focused Coping, Drinking Anticipation Between the Female Alcoholics Traumatic Experienced and Their Warning of Relapse)

  • 우재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30-238
    • /
    • 2013
  • 본 연구는 신체적, 성적 학대의 외상경험이 있는 여성알코올중독자들의 외상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초점을 맞추어 알코올중독 재발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을 파악하여 여성알코올중독자들을 재발에 이르게 하는 스트레스대처와 음주기대의 심리적 요인을 이해하고, 알코올중독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구대상자의 신체적, 성적 외상경험관련 특성은 18세 이전 지인에 의한 신체적 성적 학대경험이 18세 이후의 경험보다 많았다. 둘째, 연구모형의 분석에서 총 10개의 직접경로 중 8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셋째, 매개변수를 통한 간접영향에 대한 검증결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문제 중심 대처, 정서 중심 대처, 음주기대를 매개로 하는 6개의 간접경로 중 4개의 경로가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알코올중독자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적 방안과 함의를 제시하였다.

성인의 폭음 관련요인: 성별, 연령별 차이 (Risk Factors for Heavy Episodic Drinking among Korean Adults: Differences by Gender and Age)

  • 임미영;이소영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65-279
    • /
    • 2015
  • Purpose: Most research on risky drinking among adults in Korea has focused on problem drinking and high-risk drinking.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of heavy episodic drinking_(HED) among adults and seek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HED by analyzing differences by gender and age. Method: Participants were 3,886 adults aged 19-64 years from the database of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KNHANES-V, 2010).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the Rao_Scott chi-square test, an ANCOVA, and logistic analysis with SAS 9.2. Results: Individuals between 19 and 29 years of age had the highest HED among all age groups. Individuals between 40 and 49 (male adults) and those between 30 and 39 (female adults) showed HED associated with stress, suicidal ideation, smoking, and other health behavior-related variables. Risk factors that affected HED in male adults were age, educational status, and current smoking, while for female adults, the factors were age, educational status, employment, marital status, and current smoking.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ppropriate intervention programs that abate negative emotions and lessen the risk of HED in adults with consideration to gender and age differences.

우리나라 청소년에서 흡연 및 음주상태와 치은증상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of smoking and drinking status with gingival symptoms among the adolescents in Korea)

  • 이미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865-874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smoking and drinking status with gingival symptoms among the adolescents in Korea. Methods:We used the data from the web-based survey of the National Korean Youth Risk Behavior of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in 2016. The study subjects were 65,528 adolescents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Data were analyzed by SPSS Ver. 19.0.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ssess the factors related to gingival symptoms. Results: We observed 1.52 of odds ratio (OR) for gingival symptoms for those who smoked only without drinking in middle schools. In addition, we had ORs of 1.29 or 1.69 for those who drank only without smoking, or who smoked and drank in the middle schools, respectively, compared to nonsmoking nondrinkers. Risk of gingival symptoms for those who drank only or who smoked and drank in high schools were 1.18 or 1.17 times higher than nonsmoking nondrinkers. Conclusions: Smoking and drinking status among the adolescents are the risk factors to develop gingival symptoms. The problem of smoking and drinking in the adolescents should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the policies and institutions to improve oral health targeting the adolesc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Diabetes in Korean Adults

  • Gi Tae Kim;Jae Woong Sull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59-167
    • /
    • 2023
  • The prevalence of diabetes continues to increase worldwide, and the problem is also important in Korea, and about 14% of Korean adults have diabetes. Alcohol consumptions are increasing rapidly around the world and are recognized as one of the major problems in the country. Alcohol consumption is an environmental factor previously known to be associated with the risk of developing diabetes. Alcohol consumption can cause problems in the endocrine system and gastrointestinal function, and oxidative stress of acetaldehyde, an ethanol metabolite, can damage beta cells in the pancreas. In the present study, we found the effect of alcohol intake on fasting blood sugar and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risk of diabetes according to alcohol intake. In men, the high-drinking group had a higher risk of diabetes than the non-drinking group (OR, 1.41; P=0.058). In women, the Moderate-drinking group had a lower risk of diabetes compared to the non-drinking group (OR, 0.42; P=0.039). The high-drinking group had a higher risk of diabetes than the non-drinking group (OR, 2.97; P=0.034). The group that consumed more than the WHO's daily alcohol intake risk standard tended to have a higher risk of diabetes than the group that did not (OR, 5.48; P=0.001). This study suggest that moderate alcohol consumption reduce the risk of developing diabetes, and high alcohol consumption increase the risk of developing diabetes.

Cyanobacterial Toxins, Drinking Water and Human Health

  • Wickramasinghe Wasantha A.;Shaw Glen R.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2-198
    • /
    • 2005
  • The occurrence of toxic cyanobacterial blooms has been reported worldwide and poses a threat to human health through drinking water exposure. The toxins they produce are highly water soluble and can leach into the water body. To eliminate any risk of drinking water exposure, removal of these toxins is essential before the water is consumed.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techniques such as chlorination, if managed well, can be effectively used to remove some of these toxins, however, saxitoxin and its derivatives pose a problem. Little toxicological data are available to evaluate the real threat of these toxins.

음주 동기, 문제음주 및 음주 가족력과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Motivation for Alcohol Use, Problem Drinking, Family Alcohol Use and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 서경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9권2호
    • /
    • pp.61-7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의 음주 행동과 데이트 폭력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이성과의 데이트 경험이 있는 440명의 대학생이었는데, 남학생이 184명이고 여학생이 256명이었다. 이들의 연령 분포는 17세에서 30세까지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0.08세(SD=1.89)였다. Straus의 갈등 책략척도(CTS), 알코올장애분류검사(AUDIT), Cooper의 음주동기 설문지(DMQ), 및 음주가족력목록(IFAU)을 참여자에게 주었다. 주요 통계분석은 2(성별) × 2(데이트 폭력 가해 경험) 이원변량분석 이었다. 분석 결과, 일주일에 한번 이상 술을 마시는 대학생이 그렇지 않은 대학생보다 데이트를 하면서 이성친구에게 폭력을 행할 가능성이 높았다. 여학생보다는 남학생들이 음주에 더 동기화가 되어 있었으며, 데이트 폭력 가해 경험이 있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대처동기를 가지고 술을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문제음주, 즉 위험음주, 의존음주, 유해음주를 더 하고, 데이트 폭력 가해 경험이 있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문제음주를 더 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데이트 폭력 가해 경험이 있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음주 가족력 검사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의존음주와 유해음주에는 성별과 데이트 폭력 가해 여부의 유의한 이원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다. 단순주효과 분석 결과, 데이트 폭력 가해 여부에 따른 의존음주 혹은 유해음주의 차이는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더 현저하게 나타났다.

  • PDF

대학생들의 음주습관에 따른 문제음주 및 우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rinking Problems and Depression for Drinking Habits of the College Students)

  • 최진;김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138-1146
    • /
    • 2012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음주습관이 문제음주와 문제행동을 발생시키고, 문제음주에 대한 우울과의 관련성 여부를 파악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2011년 12월12일부터 2011년 12월 23일까지 충청남도에 소재한 전문대학의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무작위 표집을 하였다. 연구도구는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재구성한 설문지로 질문지 조사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회수된 설문지는 총 262부였다. 조사결과, 대학생들의 음주습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먼저 음주 후 술버릇 여부에 있어서는 38.2%가 술버릇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의 음주습관에 따라 우울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먼저 술버릇 여부에 따라서는 술버릇이 있는 경우가 술버릇이 없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음주습관이 문제음주와 우울로 이어지는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 음주습관의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음주문제예방전략과 프로그램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지원을 기대해 본다.

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과 건강행위 (Sex Role Identity and Health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

  • 박은옥;박영숙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362-378
    • /
    • 1999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x role identity and health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during the late of 1999. The instruments for data obtainment were KSRI of Kim(1994), and Health Style : A Self-Test provided by ODPHP National Health Information Center. These instrument were reliable, showing Cronbach $\alpha$ .98 and .77. Frequency, t-test, $x^2$-test, stepwise regression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using SAS 6.12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For female student. Androgeny(34.0%)type was most common and subjects of feminity type were 28.7%. In contrast, Masculinity type(41.8%) was most prevalent. and undifferentiated type was 30.1% among male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 in the type of sex role identity. 2. 89.6% of all subjects were included in risk group for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86.4% for diet habit, 43.2% for alcohol drinking and drug use, 35.6% for stress control, 32.8% for safety behavior, 24.8% for smoking. The big health risk behavior problem of male students were smoking, drinking, diet habit, and exercise. The important health risk behavior problem were diet habit and exercis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moking, drinking, exercise between sex. 3.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by sex role identity type and health behavior revealed that subjects who were undifferentiated typed group had high risk behavior in stress control, safety, exercise, drinking. Smoking and drinking were more problematic for masculinity typed group had high risk behavior in diet and exercise. The data showed that androginy typed group had more healthy behavior, compared with other sex role identity typed group for all of health behavior. Further research is need to understand the role of sex role identity in health behavior,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m. And sex role identity has to be considered in research and practice about health promotion.

  • PDF

부모의 고위험 음주 행동이 자녀의 건강행동에 미치는 영향 (Impact on the Health Behaviors of Children by High Risk Alcohol Drink Behavior of Parent)

  • 장주동;한송이;이무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858-3865
    • /
    • 2013
  • 이 연구는 2009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부모의 고위험 음주행동이 자녀의 건강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가족의 건강문제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 졌다. 대상은 19세 이상의 자녀를 둔 세대 중 고위험 음주에 노출된 16,383명을 선택하여 각 ID별로 부모가 고위험 음주자인 916명을 분류하여 빈도분석, 카이제곱 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고위험 음주 부모의 자녀가 정상인 음주부모의 자녀에 비해 고위험 음주행동이(p<0.01)이 높았으며 부정적 건강행태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고위험음주들에 대한 가족형 보건교육이 제도적으로 필요함을 고려하여 음주로 인한 문제의 해결이 가정에서부터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음주 이유와 문제음주 관련요인 (A Comparison of Alcohol-related Problems between Men and Women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 Sung, Ki-Wol;Kim, Mi-Han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85-95
    • /
    • 2009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일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라 음주 이유와 문제음주 관련요인의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472명의 한국 대학생이며 사용한 측정도구는 Reasons for Drinking Questionnaire(RFDQ),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AUDIT)이다. 결과: 남자 대학생의 평균 AUDIT 점수는 9.6(${\pm}5.4$), 여자 대학생은 6.4(${\pm}4.7$)이었으며 AUDIT 점수와 음주 이유에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남자 대학생의 AUDIT 점수 관련요인으로는 나이, 처음으로 흡연한 나이, 음주 이유가 사회적 관계를 위한 것이었다. 여자 대학생의 AUDIT 점수 관련요인은 종교, 처음으로 흡연한 나이, 음주 이유가 부정적인 감정 때문으로 서로 차이가 있었다. 결론: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음주 이유와 문제음주 관련요인이 다름을 확인하였고 따라서 성별에 따른 다른 접근법의 대학생 음주 예방 프로그램이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