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uble Mediating Effects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3초

사회복지 전공대학생의 정보보안 태도와 정보보안 행위와의 관계에서 개인의 낙관적 편견과 정보보안 의도의 이중 매개효과 (A Study on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Individual Optimistic Bias and Information Security Int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Security Attitude and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of Social Welfare College Students)

  • 윤일현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45-153
    • /
    • 2021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전공대학생의 정보보안 태도와 정보보안 행위와의 관계에서 개인의 낙관적 편견과 정보보안 의도의 이중 매개효과가 있는지 실증 검증하는 데 있다. 사회복지 전공대학생 2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부트스트랩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변인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정보보안 태도와 정보보안 행위의 관계에서 개인의 낙관적 편견과 정보보안 의도는 각각 단순 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정보보안 태도와 정보보안 행위의 관계에서 개인의 낙관적 편견과 정보보안 의도를 동시 투입하였을 때 각각 단순 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개인의 낙관적 편견과 정보보안 의도는 이중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 전공대학생들의 정보보안에 대한 정보보안 태도, 개인의 낙관적 편견, 정보보안 의도, 정보보안 행위를 활용한 모델의 확장성과 사회복지 정보보안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유기불안이 심리적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과 관계중독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Abandonment Anxiety on Psychological Dating Viol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Relationship Addiction)

  • 박미소;이지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248-261
    • /
    • 2021
  • 본 연구는 유기불안과 심리적 데이트폭력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관계중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성인남녀 400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유기불안 척도(AAS), 거부민감성 척도(RSQS), 관계중독 질문지(RAQ-30), 심리적 데이트폭력은 갈등 관리 척도-2(CTS-2)와 통제행동척도(APCS)을 합산한 척도가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기불안, 거부민감성, 관계중독, 심리적 데이트폭력은 모두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유기불안과 심리적 데이트폭력의 관계에서 직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유기불안이 거부민감성과 관계중독을 이중 매개 하여 심리적 데이트폭력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기불안이 심리적 데이트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경로를 확인하고, 가시적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부정적인 대인관계패턴에서 치료적 개입과 교육적 접근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Mattering and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 최유정;홍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59-270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총 40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에 사용된 도구는 사회부과 완벽주의 척도, 사회불안 척도, 대인존재감 척도, 자기수용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고, Mplus 7.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과 매개효과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사회불안과 정적상관을 보였으나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에 대하여 부적상관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은 서로 정적상관이 확인되었으나 사회불안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과 자기수용의 이중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모바일 지각적 사용 용이성과 유용성 매개효과를 통한 인지적 나이가 소비자 혁신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효과 연구 (The Study on the Structural Effects of Cognitive Age on Consumer Innovativeness by Mediating Perceived Usefulness and Easy of Use of Mobile)

  • 손영석;나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140-148
    • /
    • 2022
  • 본 연구는 모바일의 지각적 사용 용이성과 지각적 유용성을 매개효과로 인한 소비자들의 인지적 나이가 소비자 혁신성에 영향을 주는 구조적 효과를 밝히는 것에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구조화된 설문을 통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의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병렬 이중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의 인지적 나이가 젊다고 지각할수록 소비자 혁신성이 높게 지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바일의 지각적 사용 용이성과 모바일 지각적 유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분석에서도 모바일의 지각적 사용 용이성은 소비자 혁신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를 통해서 소비자들의 인지적 나이가 소비자 혁신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모바일의 지각적 사용 용이성과 지각적 유용성 간의 구조 관계를 분석하였다는 점에 본 연구의 기여점을 둘 수 있다.

노인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이 조직의 맥락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태도와 조직풍토의 이중매개효과 (A Study on the Impact of Caregivers' Job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Contextual Performanc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 윤일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675-681
    • /
    • 2024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 시설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과 조직의 맥락적 성과에 관한 매개효과를 실증 검증한 연구로서 직무태도, 조직풍토의 이중매개효과를 실증분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노인장기요양 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2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한 자료 분석은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나왔다. 먼저,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 직무태도, 조직풍토, 맥락적 성과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과 맥락적 성과 사이에 직무태도, 조직풍토는 이중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과 맥락적성과 사이에 직무태도와 조직풍토는 유의한 매개효과 경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의 직무성과를 향상할 수 있는 심리적인 자발적인 직무역량 방안 마련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버츄얼 인플루언서의 조형성이 광고 주목도와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매력성과 적합성의 병렬 이중 매개효과 (The Impact of Virtual Influencer Formativeness on Advertising Attention and Attitude Toward Advertising: The Dual Parallel Mediating Effects of Attractiveness and Suitability)

  • 김은희;이노미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21-31
    • /
    • 2024
  • 본 연구는 광고 모델로 활동하고 있는 버츄얼 인플루언서의 예술적 형상을 창조하는 조형성과 광고 주목도, 광고 태도와의 관계에서 매력성과 적합성의 관계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확인하고자 연구 대상자는 SNS 이용률이 높은 MZ세대와 X세대로 설정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 통계 27.0과 SPSS 프로세스 매크로 버전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형성과 광고 주목도와의 관계에서 매력성과 적합성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형성과 광고 주목도의 경로에서 총 효과가 직접 효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버츄얼 인플루언서의 조형성과 광고 주목도의 관계에서 매력성과 적합성에 의해 병렬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조형성이 매개변수인 매력성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매력성은 광고 태도에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형성은 적합성에 적합성은 다시 광고태도에 영향이 미치기에 이들 변인 간에는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조형성과 광고태도와의 관계에서는 매력성과 조형성에 의한 병렬 매개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는 버츄얼 인플루언서의 제작 측면에서 고려되는 조형성이 광고 주목도와 광고 태도 변인 간의 관계에서 매력성과 적합성의 병렬 이중 매개효과를 살펴보면서 학문적 함의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부사관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간의 관계 : 동료 지지와 정서적 안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for Noncommissioned Officer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Coworker Support and Emotional Stability)

  • 이자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243-249
    • /
    • 2018
  • 본 연구는 부사관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동료의 지지, 정서적 안정성 그리고 소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에서 동료의 지지와 정서적 안정성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부사관 총 21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자료에 대해 상관과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사관의 직무스트레스는 동료의 지지와 정서적안정성과 부적 상관을, 소진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동료의 지지와 정서적 안정성은 소진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부사관의 동료 지지와 정서적 안정성은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에서 각각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간을 관계를 종합하여 살펴보기 위해 부사관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에 동료의 지지와 정서적 안정성의 이중 매개를 살펴본 결과, 부사관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 때 정서적 안정성은 소진을 직접적으로 부분 매개하였지만, 동료의 지지는 정서적 안정성을 통해서만 소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부·모의 양육참여시간이 양육스트레스와 일과 규칙성을 통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Time on Preschool Children's Self-Regulation Through Parenting Stress and the Regularity of Daily Routines)

  • 김재희;김지연;김현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5-124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stress and the regularity of children's daily routin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time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Methods: A total of 235 preschool children aged 4-5 years and their mothers and fat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Parenting time,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were assessed using both mothers' and fathers' reports, but the regularity of daily routines was assessed using mothers' reports onl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EM in Mplus 8.2. Results: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stress appeared to have cross-spousal mediated effects of their parenting time on children's self-regulation. Higher levels of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time predicted higher levels of children's self-regulation through only a lower level of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a higher level of the regularity of daily routines. Conclusion/Implications: Findings indicated that parents' parenting time played a significant protective factor in reducing parenting stress and increasing the regularity of daily routines among family members. This cross-spousal influence on parenting process can inform the development of prevention programs and parenting education to promote self-regulation skills among preschool children.

패션점포 판매원 메시지의 측면성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판매원 신뢰와 인지노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Message Sidedness of Fashion Salespersons on Consumer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alespersons' Trust and Cognitive Effort-)

  • 권기용;추호정;이미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8-103
    • /
    • 2018
  • Message sidedness of fashion salespersons on consumer behavior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mediating roles of trust and cognitive efforts, and the moderation of a regulatory focus of consumers. Two scenarios were devised, a single message in which a salesperson explains only the advantages of a product to customers, and the second with a double message that explains both the advantages and drawbacks of the product.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trusted a fashion salesperson more and perceived stronger cognitive effort for two-sided messages. The two-sided messages mediated the consumer's trust in the salesperson and cognitive effort, and influenced consumers' buying behavior. This study also found that salesperson trust was stronger in the two-sided messages scenario than in the one-sided message scenario, regardless of consumers' focused preference, and that it was more effective for promotion focus customer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n consumers' cognitive effort indicated that prevention focused customers did not exhibit any difference in cognitive effort concerning two-sided messages. However, promotion focused customers exhibited an increased cognitive effort in the two-sided message scenario than in the one-sided message scenario. Marketing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미디어스포츠와 스포츠산업 발전을 위한 방안 모색 (Finding Ways to Develop Media Sports and Sports Industry)

  • 박장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45-356
    • /
    • 2019
  • 본 연구는 미디어스포츠를 통하여 직접적인 스포츠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미디어스포츠 접촉동기가 직접적인 스포츠 참가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연구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소비자의 운동몰입과 운동지속이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연구함으로써 미디어스포츠와 스포츠 참가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19년 4월 1일부터 4월 31일 까지 G광역시와 J도에 거주하며 스포츠에 참가한 경험이 있고, 미디어스포츠를 접촉한 경험이 있는 성인 남·여를 대상으로 모집단을 선정하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스포츠 접촉동기, 운동몰입, 운동지속, 스포츠참가에 대한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IBM사의 SPSS Ver. 21.0과 AMOS Ver. 21.0의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접촉동기, 운동몰입, 운동지속, 스포츠참가에 대한 직접적은 효과를 살펴보면, 미디어스포츠 접촉동기는 운동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지속에도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포츠참가에도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동몰입은 운동지속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지속은 스포츠참가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타났다. 둘째, 접촉동기, 운동몰입, 운동지속, 스포츠참가에 대한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미디어스포츠 접촉동기와 스포츠참가의 관계에서 운동지속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디어스포츠 접촉동기와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몰입과 스포츠참가의 관계에서 운동지속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디어스포츠 접촉동기는 스포츠참가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디어스포츠 접촉동기와 스포츠참가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미디어스포츠 접촉동기와 스포츠참가의 관계에서 운동몰입과 운동지속은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