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nation satisfaction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7초

기부자의 기부만족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관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Donors' Satisfaction on Donation Intention - Mediating Effect of Institutional Trust -)

  • 최형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06-214
    • /
    • 2021
  •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의 기부자들의 기부만족과 기관신뢰가 기부자의 기부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개인기부자들이 기부의도를 높여 기부연속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대구 경북 사회복지기관에 등록된 개인기부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374부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부자의 기관만족은 기부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부만족과 기부의도의 관계에서 기관신뢰는 유의미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기관의 중요한 자원이라고 할 수 있는 잠재적 기부자들의 기부의도를 증대시키고 개인기부자들의 기부연속성을 높이고 기부참여자들의 기부연속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부과정을 통한 만족도를 높이는 것과 기부기관에 대한 신뢰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기관들의 안정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개인기부자들의 기부만족과 기부신뢰를 높이기 위한 실천적인 방안을 논의하였다.

미용재능기부 참여여부에 따른 개인역량이 직무몰입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sonal Capability on Job Commitment and Satisfaction in Beauty Talent Donation)

  • 안서리;임순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375-388
    • /
    • 2019
  • 최근 자신만의 재능과 기술을 기부함으로써 개인역량을 높이고, 자신의 직무몰입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여가활동으로 미용재능기부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미용재능기부 참여에 따른 개인역량이 직무몰입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응답은 374명의 미용재능기부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재능기부 참여형태별 개인역량이 재능기부 만족도, 직무몰입, 직무만족도와 높은 유의수준의 상관성을 나타냈으나 재능기부 만족도와 직무만족도는 부분적으로는 유의하나 영향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능기부 참여형태별 직무몰입은 직무만족도와 높은 유의수준을 갖는 상관성을 나타냈다. 이로써 재능기부참여는 미용인의 개인역량에 영향을 받으며, 미용사의 개인역량 향상을 위해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기부금 사용 내역 피드백과 기부인식이 기부지속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onations Feedback and Donation Awareness to Donation Continuity Intention)

  • 서문식;오대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129-143
    • /
    • 2018
  • 본 연구는 비영리단체의 마케팅 활동에서 지속적인 기부를 위해 기부금 사용내역의 효과와 기부금 사용내역의 공개에 따른 인식 전환의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2(기부금 사용 내역 피드백: 유vs무) ${\times}$ 2(기부인식: 지출vs교환)를 $2{\times}2$ 집단 간 요인 설계에 따라 구성하였고,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부금 사용내역을 공개한 상황(M=5.125, SD=0.437)에서 더욱 높은 기부만족을 보였고, 기부금 사용내역을 공개한 상황(M=5.328, SD=0.459)에서 보다 높은(p<0.01) 관계지속 의도를 나타냈다. 추가적으로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여 주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전체모형 검증 결과 만족과 신뢰(${\gamma}=0.843$, p<0.01), 만족(${\gamma}=0.267$, p<0.01)과 신뢰(${\gamma}=0.691$, p<0.01)가 유의한 정(+)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비영리 단체들이 기부자들의 기부금 사용 내역을 투명하고 자세하게 공개하는 노력을 기울인다면 기부자들로 하여금 신뢰를 쌓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피드백의 방법 유형 등에 따라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헌혈자의 헌혈기록정보의 인식도 및 만족도 연구 (The Study of Health Information on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Their Blood Donation)

  • 최희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405-415
    • /
    • 2014
  • 본 연구는 헌혈 참여자들의 헌혈에 대한 지식과 인식 및 만족도,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홍보방안에 대해 살펴보고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헌혈인구의 확대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3월 9일부터 3월 24일까지 16일간이었고, 자료의 수집방법은 설문조사로 총 700부를 배포하여 636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 t-test, ANOVA를 시행한 결과 첫째, 남성, 20~29세의 범위 연령층에서, 학생, 대졸이상의 집단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다. 둘째, 헌혈에 대한 지식과 인식도는 모른다는 내용이 많았으며, 만족도는 헌혈행위에 대한 만족보다는 헌혈과 관련된 서비스 만족도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헌혈 홍보에서는 홍보교육이 필요하며 홍보매체와 수단으로는 TV, 거리광고, 전철광고 방법 순의 결과를 보였으며 지속적인 헌혈을 위하여 헌혈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헌혈인구 확대를 위해서는 헌혈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홍보를 통하여 대국민 인식변화를 유도하고 헌혈자에 대한 다양한 보상 이벤트제공 등으로 헌혈에 대한 더욱 적극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개인기부자들의 관계의 질과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f the Elements Effecting on Individual Donators' Relationship Quality and Donation Will)

  • 김준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7호
    • /
    • pp.129-139
    • /
    • 2012
  • 본 연구는 개인기부자들의 기부기관에 대한 관계지속성에 관한 연구로서 개인기부자들의 기존경험만족과 일체성, 친밀도가 관계의 질과 기부의도 및 충성도를 변수로 해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기부행위에 대한 기존연구 고찰을 통해서 기부행위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간에 관계성을 기초로 기부자와 기부기관의 관계지속의도 모형을 도출해 보고 그 모형을 바탕으로 비영리기관의 관계성을 증대하기 위한 마케팅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서울 및 경기지역에 비영리기관에 물질적 또는 시간적기부를 하고 있는 242명을 대상으로 8개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 기부기관의 기부의도 및 충성도는 관계의 질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있다. 또한 관계의 질인 신뢰와 몰입은 기존경험만족과 기부기관의 친밀도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기부기관의 기부 경험자들에 만족도를 높이는 노력과 기부자들과 기부기관의 친밀도를 높일 수 있는 노력과 활동이 필요하다.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통해서 기부자들에 기부만족도를 높이는 방법과 친밀도를 높일 수 있는 마케팅 활동이 필요하다.

A Study on Efficient Software Education Donation Ecosystem

  • Kil, Hyunyoung;Lee, Won Joo;Lim, Chuns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75-182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oftware education ecosystem model for activating software education donation. First, in order to investigate current software education donation status, we will conduct a survey on software education donors and analyze the results. 39.6% of the software education donors responded that they were introduced to software education donation activities through their affiliated companies, institutions, organization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promotion of software education donation activities is the most effective by promoting through software companies, organizations, and organizations and using human networks. The subjects of software education donation activities were the highest at middle school students (73.9%), and the contents of software education donations were the highest at programming practice (63.3%). Donors' satisfaction with software education donation activities was 57.9%. The social support for SW education donors was in the order of software education contents support, activity cost support, equipment and network support, and place sponsorship. 87.4% of donors were willing to continue to donate to software education. The reason why they did not want to continue donating software education was 'lack of personal time' (65.4%).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ppropriate social support and incentive system to overcome shortage of personal time in order to activate software education contribution. In order to promote sustainable software education donations,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virtuous circle of software education donation ecosystem based on cooperation and solidarity with various organizations such as government, corporations, institutions, universitie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 Study on Software Education Donation Model for the Social Care Class

  • Lee, Won J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239-246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ective software education donation model for the social care class. The types of software education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or the social care class are in the order of after school classes, club activities, creative experiences, and regular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effective to precede visual programming education based on block coding and to conduct curriculum convergence with SW and HW at the beginning,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carrying out text programming education like Python. Software education for social care class The contribution activity model can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such as geographically difficult area, multicultural family areas, orphanage, reformatory, and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 In addition,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interest in software education and their satisfaction are all very high at 96%. Effective software education for the social care class In the donation model, the lecturers consist of responsible professors, lecturers, and assistant instructors. Software training for the social care class is effective on a year-by-year basis, so that students can feel authenticity and trust. Software education contents focus on visual programming and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in elementary or middle school, and text programming and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in high school.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software education donor matching system that helps efficient management of software education donations by efficiently matching schools (consumers: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software education donors(suppliers).

간호대학생의 죽음태도, 영적건강 및 장기기증 인식 간의 관련성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Attitude toward Death, Spiritual Well-being and Awareness about Organ Donation of Nursing Students)

  • 최동원;임정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65-273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영적건강 및 장기기증에 대한 인식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대상은 일 대학 간호학과 학생 214명이었다.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PASW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기기증에 대한 인식은 죽음 태도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영적건강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장기기증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죽음태도(${\beta}=-.159$)와 영적건강(${\beta}=.132$), 뇌사자의 조직기증에 대한 생각(${\beta}=.314$), 전공만족도(${\beta}=.134$)로 나타났으며, 모형 설명력은 20.5%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 인식 함양을 통한 장기 이식률 향상을 위해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영적건강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간호사 대상의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통한 돌봄노인의 생활변화가 돌봄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통합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the Elderly's Change of Life on the Satisfaction of Care Service through the Donation Bank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Integration)

  • 최미영;장영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54-263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통한 돌봄대상 노인의 생활변화와 사회통합감이 돌봄서비스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궁극적으로는 사회적가치 및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돌봄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50개 기관의 돌봄서비스 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34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5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돌봄노인의 생활변화는 돌봄서비스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통합감은 돌봄노인의 생활변화와 돌봄서비스 만족도 간의 영향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통합감 및 돌봄서비스 만족도 증진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대안을 논의하였다.

신 공여자 경험의 현상학적 연구 (The Phenomenological Study of Kidney Donors학 Experiences)

  • 김정화;유인숙;김명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22-243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basic data in the nursing practice for the management of living kidney donor by understanding the nature and meaning of kidney donors, experienc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11 living kidney donors who had donated from Mar 1991 to Feb. 1994 and discharged from the 3 hospitals in Pusan. Data has been collected by Intensive interview with donors. The data analysis has made by phenomenological method of Van Kaam for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and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The experiences of kidney donors were analyzed into the 4 situations, that is,'motivation of kidney donor', 'decision time to make kidney donation', 'pre-opperation','after donation'. The descriptive expression and common elements were drawn from original data of each situation on the basis of subjects' own words. From each situation, the com-mon elements of kidney donors' experiences were integrated, summarized and described as follows 1. Motivation of kidney donation They wanted to donate their kidney because of empathy of pain on the groung of love to the recipient and with exppectation of successful kidney transplant or as a solution of economic difficulty. 2. Experiences in deciding to make kidney do-nation In deciding to make kidney donation, donors had love toward the recipients. But they experienced conflict too. 3. Experiences before being operated on donated kidney In experiences from deciding to make kidney do nation to preoperation, donors had love toward the recipients. But they also felt anxiety or dissatisfaction. Therefore, they controlled their mind by their faith, support of medical staff or support of society. And they experienced regret for the sociological cognition or financial apprehension. 4. Experiences after kidney donation After kidney donation, donors experienced satis-faction and accompplishment in spite of mental and physical discomfortness, while they felt sense of loss / disappointment, repentance, regret, and apprehension of progress toward their condition. Thus, kidney donors donated their kidney on the ground of empathy and love to the recipient and with expectation of successful kidney transplant. But during the process of kidney donation, they ex perienced conflict, love, anxiety, regret, apprehension of economy. And after donation, they felt sense of satisfaction and accomplishment, while they felt sense of discomfortness, loss / disappointment, re-gret, repentance, or apprehension of progress toward their condition. This result contribute to nurses' role not only for the management of living kidney donors but also for the management of cadaver donors' fami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