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lsan leaf mustard Kimchi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3초

전처리 돌산갓 추출물의 첨가에 따른 김치의 보존효과 (The Preservative Effects of the Pretreated Leaf Mustard Dolsan(Brassica junces) Extract on Kimchi)

  • 박석규;서권일;이상원;강갑석;손미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5-70
    • /
    • 1997
  • To investigate the food preservative effects of leaf mustard Dolsan(Brassica juncea), the pretreated extract of leaf mustard Dolsan were added to Kimchi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pH of Kimchi added leaf mustard Dolsan extracts were lower than that of control at initial stage, but after 6 days of fermentation, pH was higher in order of Kimchi added the pretreated extract of leaf mustard Dolsan (hydrolyzed at 3$0^{\circ}C$ for 24 hours, PEM), the unpretreated extract of leaf mustard Dolsan(UEM) and control. The total number of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increased rapidly at the initial stage of fermentation and reached plateau at 2 days of fermentation. The number of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of Kimchi added leaf mustard Dolsan extracts were lower than that of control ,a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EM in Kimchi was higher than that of UEM. After 2 days fermentation, sensery value of Kimchi added PEM was more excellent than that of control.

  • PDF

절임조건에 따른 돌산갓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lsan Leaf Mustard under Salting Conditions)

  • 배상옥;위성돌;임현수;최명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02-507
    • /
    • 2011
  • 돌산갓의 최적 절임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절임시간, 수세방법, 저장온도에 따른 돌산갓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최적조건에서 절임된 돌산갓을 50일 동안 저장하는 동안 유산균의 균수변화를 측정하였다. 절임돌산갓의 관능평가와 아삭거림의 결과로부터 장기간 보존을 위한 최적조건은 8시간 절임 후 염농도를 단계적으로 수세한 방법으로 나타났다. 절임돌산갓은 $4^{\circ}C$에서 저장되는 동안 유산균의 증가에 의해 pH가 감소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절단력은 천천히 증가하였으나, 염농도를 단계적으로 수세하였을 때는 절단력이 초기값과 비슷하게 유지되었다. 40일 저장된 절임돌산갓의 색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50일이 지나면서 갈변현상이 나타나 김치제조는 불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 결과들은 김치제조를 위한 절임돌산갓의 최적 절임조건과 저장기간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돌산갓 김치와 돌산갓 피클의 Glucosinolates의 LC-PDA/MS/MS분석 (LC-PDA/MS/MS Analysis of Glucosinolates in Dolsan Leaf Mustard Kimchi and Dolsan Leaf Mustard Pickles)

  • 오선경;;김기웅;최명락
    • KSBB Journal
    • /
    • 제31권1호
    • /
    • pp.1-7
    • /
    • 2016
  • Changes in the concentrations of glucosinolates and related compounds in different extracts of Dolsan leaf mustard kimchi (DLMK) and Dolsan leaf mustard pickles (DLMP) were during storage investigated. Samples were kept at 0oC for 35 days and collected at 7 day intervals. The leaves and stems of DLMK and DLMP were refluxed for 24 h with 50% acetonitrile, and the extracts were analyzed by LC-PDA/MS/MS. The main glucosinolates detected in DLMK were sinigrin, gluconapoleiferin, glucobrassicanapin, and gluconapin, whereas those in DLMP were sinigrin, gluconapoleiferin, glucobrassicanapin, glucobrassicin, and glucoerucin. Sinigrin concentrations were quantified by UV absorption at 228 nm. Sinigrin concentrations in the leaves and stems of DLMK on the day of preparation were 2.14 mg/g and 2.25 mg/g, respectively, and those on day 35 after preparation were 1.25 mg/g and 1.00 mg/g, respectively. DLMP showed a similar trend: the concentrations in the leaves and stems on the day of preparation were 2.04 mg/g and 0.29 mg/g, respectively, whereas those on day 35 after preparation were 0.59 mg/g and 0.41 mg/g, respectively. Thus, sinigrin concentrations decreased during storag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ological Activity and Cell Number in Dolsan Leaf Mustard Kimchi (Brassica juncea)

  • Park, You-Young;Yoo, Eun-Jeong;Lim, Hyun-Soo;Kang, Dong-Soo;Naoyuki Nishizawa;Park, Myeong-Ra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2호
    • /
    • pp.117-121
    • /
    • 2001
  • Changes in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 inhibitory activity in juice prepared from Dolsan leaf mustard kimchi (DLMK) ar various fermentation temperatures were investigated. Antioxidative activity of juice from optimally ripened DLMK at 20 and 3$0^{\circ}C$ showed 80 and 83%, respectively. Juice from 10-day fermented DLMK at 3$0^{\circ}C$ showed 62%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ACE. In the juice fermented DLMK at 2$0^{\circ}C$~3$0^{\circ}C$, physiological activit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4~1$0^{\circ}C$. In particular, optimally ripened DLMK at 3$0^{\circ}C$ showed the highest physiological activity. The physiological activity in DLMK juice at the fermentation period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n increase in the growth of microbes. Consequently, a maximum physiological activity was shown at the maximum cell numb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icroorganisms in DLMK juice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hysiological activity.

  • PDF

갓김치 발효 중 Sinigrin 함량 변화 (The Study for Contents of Sinigrin in Dolsan Leaf Mustard Kimchi during Fermentation Periods)

  • 임현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23-52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발효에 따른 돌산 갓김치 즙액내의 미생물량의 항산화 효과와의 관계, 발효 중 sinigrin 함량 변화와 일반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돌산 갓김치는 돌산 갓, 파, 마늘, 생강 그리고 고추가루를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2$0^{\circ}C$, 50일간 발효하였다. 갓김치 즙액내의 미생물의 수는 적숙기인 10일째까지 상승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항산화 효과도 비슷한 앙상이어서 갓김치 발효 중 미생물에 의한 대사산물이 항산화 효과 증가와 같은 생리기능성에 큰 영향을 주었으리라 사료되며, sinigrin 함량도 발효가 진행되면서 적숙기에 최대로 나타나서 기능성 물질중 하나로 사료된다. 또한 일반성분 변화 중 조단백질의 양이 후숙기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이는 각종 미생물의 증가로 인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Cytotoxic, Antioxidative, and ACE Inhibiting Activities of Dolsan Leaf Mustard Juice (DLMJ) Tre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 Yoo Eun-Jeong;Lim Hyun-Soo;Park Kyung-Ok;Choi Myeong-Rak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0권1호
    • /
    • pp.60-66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know whether there is any change of physiological activity in DLMJ which is inoculated by lactic acid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Dolsan leaf mustard Kimchi (DLMK) at $20^{\circ}C$. In the optimum ripening period, the population of Leuconostoc and Lactobacilli in the DLMK were found to be high. The Leuconostoc, Lactobacilli and Lactococci strains were identified as Leuconostoc mesenteroides, Leuconostoc gelidum, Weissella confusa,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raffinolactis, Lactococcus lactis and Weissella confusa using the Biolog system. The most predominant strain which was isolated from DLMK was Weissella confusa. As the results of the phylogenetic analysis using 16s rDNA sequence, the Weissella confusa turned out to be Weissella kimchii, with 99.0% similarity. To investigated the change of physiological activity in DLMJ by lactic acid bacteria, 7 predominant strains inoculated to DLMJ (Dolsan Leaf Mustard Juice). The cytotoxicity was found to be under $19.55\%$ all cases. Also,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DLMJ tre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was very low, which might have been due to the reduced antioxidative phytochemicals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sterile sample. The ACE inhibiting activity of DLMJ by inoculation with Weissella kimchii was shown to be the highest ($94.0\%$). This could be that the degradation of sulfur containing materials in DLMJ by Weissella kimchii gave rise to ACE inhibiting activity.

돌산갓의 Myrosinase 분리 정제 및 갓김치 숙성 중 Myrosinase 활성도의 변화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yrosinase in Dolsan Leaf Mustard(Brassica juncea) and Changes in Myrosinase Activity during Fermentation of Leaf Mustard Kimchi)

  • 박정로;박석규;조영숙;전순실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7-142
    • /
    • 1994
  • 돌산갓의 독특한 향미와 잠재된 항균성을 김치의 맛과 저장성 향상에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갓의 myrosinase를 분리 정제하여 그 특성을 밝히고, 갓김치 숙성 중 myrosinase 활성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갓의 myrosinase를 DEAE Sephadex, chromatofocusing 및 Con A Sepharose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정제한 결과 비활성은 7107배 증가하였고 수율은 18.8%였다. 정제된 효소의 최적 pH는 5.9였으며, 등전점은 4.6, 분자량은 약 129 kD, Km은 0.206 mM, Vmax는 $2.039\;{\mu}M{\cdot}min^{-1}{\cdot}mg\;protein^{-1}$로 나타났다. 또한 myrosinase의 activator인 ascorbic acid는 0.6 mM에서 최대 효소활성을 보이다가 그 이후는 점차 효소활성의 감소를 보여 2.0 mM 이상의 농도에서는 효소활성을 거의 완전히 상실시켰다. 갓김치의 저장 중 myrosinase 활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 김치 제조 직후에 약 70 nmol/min/mg protein이던 것이 $20^{\circ}C$에서 3일 이상 저장으로 급격히 그 활성을 잃어 4일 후에는 50% 이상의 활성을 손실하고 10일 후에는 거의 활성이 없었다.

  • PDF

돌산갓김치 제조를 위한 유산균 처리한 조미료의 생리적 효과 (Physiological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Treated Condiments on Dolsan Leaf Mustard Kimchi)

  • 오선경;센징;최명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67-376
    • /
    • 2021
  • 본 연구는 Weissella kimchii (W.k.), Leuconostoc gelidum (L.g.) 및 Leuconostoc mesenteroides (L.m)의 3가지 유산균을 각각 첨가한 돌산갓김치의 양념소를 4℃에서 50일 동안 pH, 산도, 유산균 및 총균수,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3가지 종류의 유산균을 첨가한 돌산갓김치의 양념소에 2% 소금 용액을 첨가한 pH 값의 범위는 5.12~5.62, 산도 값 범위는 0.62~3.77를 나타냈다. 유산균 수의 전체 추세는 발효 10일에서 20일 동안 빠르게 감소하였고, 총균수는 50일 동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돌산갓김치의 양념소에 2% 소금 용액을 첨가하지 않은 pH값의 범위는 5.22~5.61, 산도 값 범위는 0.91~4.41를 나타냈다. 유산균의 수는 전체적으로 20일까지 감소한 후 증가하였고, 총균수도 20일까지 감소 후 50일까지 증가추세를 나타냈다. 관능적 특성은 2% 소금 용액을 첨가한 양념소와 2% 소금 용액을 첨가하지 않은 양념소는 발효시간이 지날수록 외관, 향, 염도, 매운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는 점점 감소하였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2% w. k.와 2% L. m.에서 높게 나타났고, ACE 억제활성은 10℃에서 8일간 발효된 양념소에서 70.3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양념소 생산은 돌산갓김치 제조 및 다른 김치제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돌산 갓 김치 숙성 중 매운맛 성분의 변화 (Changes in Pungent Components of Dolsan Leaf Mustard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전순실;최옥자;조영숙;박석규;박정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4-59
    • /
    • 1995
  • 돌산 갓(Brassica juncea) 김치 개발의 일환으로 갓 김치 숙성 중의 휘발성 성분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매운 맛 성분인 glucosinolate의 함량변화를 분석하였다. 돌산 갓 김치의 숙성 중의 주요 휘발성 성분은 3-isothi-ocyanate-1-propene(Allyl isothiocyanate)이었으며, 그 외 di-2-propenyl disulfide, 1-methoxy1-2-butanol, 4-isothiocyanate-1-butene, di-2-propenyl disulfide 그리고 dimethyl-trisulfied 등 이었다. 갓 김치가 발효됨에 따라 AITC와 4-isothiocyanate-1-butene은 점차 감소하였지만, dimethyl trisulfide는 발효 저장 중에 다소 증가 하였다. Di-2-propenyl disulfide는 5일 까지 감소되었다가 10일 이후에는 다소 증가하였다. 갓 김치 숙성 중의 매운맛 성분인 총 glucosinolate 함량은 3일 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발효기간에 따른 돌산갓김치의 glucosinolates 함량변화와 항산화, 항고혈압 및 항당뇨활성과의 상관관계 (Changes in Glucosinolate Content of Dolsan Leaf Mustard Kimchi during Fermentation and Correlation with Antioxidant, Antihypertensive, and Antidiabetic Activities)

  • 오선경;김기웅;최명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1290-1300
    • /
    • 2018
  • 돌산갓김치의 조추출물을 이용하여 glucosinolates함량, 항산화활성, 항고혈압 및 항당뇨활성을 측정하였다. Glucosinolates 함량은 DLMK의 잎과 줄기에서 6.41, 7.92 mg/g으로 발효기간 중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Total polyphenol과 total flavonoid함량은 줄기보다 잎에서 발효기간 동안 2배 이상의 함량을 나타냈다. ABTS라디컬 소거활성과 EDA은 발효 14일째 대조군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냈고, FRAP는 발효 14일째 잎에서 대조군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그리고 항고혈압 활성(ACE 저해활성)은 잎에서 대조군인 0.01% captopril과 비슷하거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항당뇨활성(${\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대조군인 0.05% acarbose보다 잎, 줄기에서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glucosinolates 함량과 ABTS 및 EDA, ACE 저해활성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의 상관관계는 줄기 추출물 보다 잎 추출물이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발효기간 중 glucosinolates는 sinigrin, glucobrassicin, glucotropaeolin, progoitrin 검출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돌산 갓김치 추출물은 항산화, 항고혈압 및 항당뇨활성에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냈기에 기능성 식품으로서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