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vide

검색결과 2,149건 처리시간 0.159초

정보격차의 패러다임 전환과 지적 정보격차 (Paradigm Shift of Digital Divide and Intellectual Digital Divide)

  • 이승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91-114
    • /
    • 2020
  • ICT 환경의 정착 및 넷 미디어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인해 정보접근성에 기반한 양적 정보격차는 정보활용 중심의 질적 정보격차의 형성으로 진화해 왔으며, 인터넷 상에 엄청난 양의 정보가 존재하는 현재의 정보환경에서는 기존의 양적, 질적 정보격차와는 다른 보다 심화된 지적 정보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환경의 진화에 따른 정보격차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지적 정보격차의 형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지적 정보격차는 기존의 양적, 질적 정보격차와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정보격차의 요인들을 기반으로 정보에 대한 지적 능력의 차이로 인해 발생함을 실증하였다. 특히 정보격차의 핵심 요인으로 인식되어 온 교육수준과 경제적 수준은 여전히 양적, 질적 정보격차를 형성하고 있으며, 지적 정보격차의 형성에 있어서도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Overcoming the Digital Divide in Rural Areas: Focusing on the Mobile Divide

  • Lee, Jongtae;Park, Myeong-Cheol
    •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제3권2호
    • /
    • pp.33-42
    • /
    • 2011
  • Although the diffusion of mobile services appears to be occurring much more rapidly than the spread of wired services, there are risks of a new type of digital divide: the mobile divide. The mobile divide, which refers to a specific digital divide that involves the unbalanced diffusion of mobile technologies, must be concretely studied. Thus, this study focuses on the mobile divide with respect to disadvantaged populations. Although various studies suggest that the diffusion of mobile devices may reduce the digital divide, somestudies argue against the positive effect of mobile devices in addressing traditional digital devices. Low and O'Connell (2006) insisted that equity of access to mobile technologie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ntextof the traditional digital divide; they argued that there may be socio-economic barriers to accessing mobile devices and the mobile Internet that are similar to the socio-economic barriers to accessing stationary computers and the stationary use of the Internet. Focusing on the smartphone divide, this study suggests that emphasizing utilization is an appropriate manner in which to bridge the mobile divide rather than focusing on other factors, such as accessibility and capability, thatprevious studies have used to measure the traditional digital divide.

  • PDF

A Follow-up Study on Smart Divide Issues in Korean Rural Area

  • Lee, Jongtae
    •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제8권1호
    • /
    • pp.27-32
    • /
    • 2016
  • Digital divide commonly means the gap among diverse stakeholders, businesses, physical areas, and individual people in terms of opportunities, accessibilities, and usabilities (Acilar, 2011). Lee and Park (2011) and Barzilai-Nahon (2006) suggested that the digital divide issues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public issue because proper public response may enhance or reduce the information gaps by the digital divide.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the study of Lee and Park. This study's main aim is to clarify the changes of the digital divide in the rural areas during five years and to find out meaningful factors to reduce the gaps between the rural area and urban area. To achieve the research aim, this study analyzes the public data by ITSTAT and previous studies on the digital divide. Also this study follows the system thinking approach to model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diverse factors on the digital divide. With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actors to measure the digital divide should be re-designed including smartphone penetration and accessibilities. Especially, current digital divide scoring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way of social welfare.

국제 정보격차(digital divide)해소를 위한 국내외 사업유형 (The Foreign and Domestic Projects for Bridging the International Digital Divide)

  • 최석범;이정민;정재우
    • 통상정보연구
    • /
    • 제5권2호
    • /
    • pp.159-184
    • /
    • 2003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rought neck-breaking speed of changes to the global society in 20th century. The more the speed of change accelerated, the more widened the digital divide between the developed countries and the developing countries.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solving digital divide, the current situation and status of projects for bridging the international digital divide around the world is not fully research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foreign and domestic projects for bridging the international digital divide and to suggest the efficient ways of domestic projects for solving the international digital divide.

  • PDF

Towards alleviation of the digital divide and poverty through land information

  • Liou, Jae-Ik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29-43
    • /
    • 2002
  • Accesses to lands, houses, the Internet and other utilities are regarded as basic human needs to escape poverty and are required to recogni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igital divide and socio-economical inequality. The digital divide might not be a single technical disparity, but stems from a complicated mixture of economic and socio-technical symptoms of inequality. There is growing awareness of scrutinizing causal mechanisms between the digital divide and poverty since combating poverty could be a primary step to mitigate the digital divide. In this paper, the Hexad model is proposed to explicate poverty interpretation by using 6 parameters as a major tool for partly assisting in poverty monitoring system in connection with land information. A solution model of the Internet is suggested to break the digital divide. It expounds a conceptual framework and new idea for poverty management to notify spatio-temporal locations of poor actors and geography of the digital divide when efforts of poverty eradication hinge on understandings of geographic location of digital disadvantaged groups through parcel-based land information.

  • PDF

디지털 정보격차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 Analysis of Digital Divide in South Korea)

  • 고정현;강우진;이종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179-20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정보격차 관련 국내 연구의 주요 이슈와 경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20년까지의 관련 논문 488건을 대상으로 연도별 논문 건수과 학술지 주제 영역을 분석하였으며, 추가적으로 토픽모델링과 단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 주제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2007년까지 논문 건수가 증가하다가 이후 10년간 증감을 반복한 후 2019년부터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사회과학, 복합학, 공학, 예술체육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연구가 이뤄지고 있으나, 최근 연구를 주도하는 분야는 사회과학과 복합학 분야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토픽모델링과 단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의 주제는 '지역 간 디지털 정보격차', '장애인 디지털 정보격차', '디지털 정보격차의 기술적 환경', '디지털 정보 활용과 영향 격차', '디지털 정보격차의 법·제도적 환경', '노인 디지털 정보격차' 등 6개로 분류되었다. 넷째, 최근 들어 '디지털 정보 활용과 영향 격차', '디지털 정보격차의 기술적 환경'에 관련된 주제가 관심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사회에서 스마트 기기가 정보격차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s of Smart Devices on Digital Divide in America)

  • 이승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9-52
    • /
    • 2012
  • 스마트 기기의 활용으로 인해 정보격차의 전통적인 의미가 변화하고 있으며, 기존의 정보격차가 해소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반면, 스마트 기기의 보급이 보다 심화된 새로운 차원의 정보격차를 생성하고 있다는 주장 또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반된 현상의 원인을 파악하고, 현재 정보환경에서의 정보격차 현황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Pew Research Center의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기존의 정보격차 생성요인들과 스마트 기기 보유 사이의 관련성을 상관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스마트 기기가 정보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활용의 범위를 측정하여 스마트 디바이드의 발생여부를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정보격차 연구에 대한 비판적 논의 (Critical Discussion for Digital Divide Research)

  • 서형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657-666
    • /
    • 2014
  • 오늘날의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정보화 사회를 모바일 환경이 중요시되는 스마트 사회로 변모시키고 있다. 단지 기술적 측면만이 아닌 사회 및 경제의 전반적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야기할 정도로 정보화의 영향은 사회의 동인에 필수불가결한 요인이라 점은 어느 누구도 부정 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ICT의 발전에 따른 부정적 영향도 간과할 수 없는데, 대표적으로 사회적 배제를 야기하는 정보격차 문제는 중요한 연구주제중 하나이다. 정보격차와 관련된 다양한 선행연구들이 이어지고 있으나 이들 연구는 주로 물리적 접근성에 초점을 두거나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근간으로 정보격차문제를 다루고 있다. 또한 기존의 정보격차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기술의 패러다임을 반영하지 못하여 오히려 정보격차해소를 대안으로써 많은 미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정보격차 연구의 한계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논의를 확장시켜 새로운 정보격차 개념의 필요성에 대해 시론적 논의를 진행하였다.

대한민국 정보 격차 현황과 대책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Divide in Korea and the Countermeasure)

  • 최충현;이구연
    • 산업기술연구
    • /
    • 제33권A호
    • /
    • pp.81-88
    • /
    • 2013
  • In this paper, we study the current situation of digital divide caused by accessibility disparity to information in Korea. We investigate leading causes and classes of people of digital divide, and also investigate phenomena which arise from such digital divide. In the investigation, we survey related works and additionally carry out questionnaire study in which we make questionnaire items ourselves. Finally, we discuss various measures to resolve digital divide in Korea based on the study results.

  • PDF

Smart Divide and the Paradigm Shift of Social Capital

  • Lee, Seungmi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9권3호
    • /
    • pp.1-13
    • /
    • 2021
  • In the current smart device-based inform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utilization is closely related to social capital. Additionally, the smart divide that occurs owing to the differences in use of smart device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capital.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empirically analyzed how the smart divide affects social capital construction. The study found that the level of and proficiency in using smart devices and diversity of the information formats used through smart devices affect social capital construction. Further, people who fully utilize smart devices can enhance their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social networks, and reciprocal activities, leading people to construct social capital in a wider range. Contrarily, those who are unable to use smart devices adequately may be disadvantaged in terms of the opportunity to construct social capital and share public interests. Thus, to maximize the intrinsic value of social capita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actors of the smart divide as a complicated and multi-faceted digital divide and the ways to utilize social capital as a driving force for integrating society, and not as a mechanism for dividing members of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