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vergent thinking skills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초

액션러닝 기반 간호관리학 강의 및 실습 운영의 효과 (Effects of Action Learning Approaches on Learning Outcomes in Nursing Management Courses)

  • 장금성;박순주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42-451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action learning approaches on learning outcomes of students taking nursing management courses. Methods: The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mpleted between March 2011 and June 2012 by 109 undergraduate seniors in the nursing department of C University. Survey data were obtained 3 times: before, in and after the study of nursing management. The course consisted of lectures and clinical practices. Learning outcomes were measured through problem solving skills, team efficacy, and class satisfact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with the SPSS 20.0 program Results: Scores for problem solving skills (F=13.67, p<.001) and team efficacy (F=4.49, p=.012)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after the course. The score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lectures for 5 of 9 problem solving skill subscales: analysis skill, divergent thinking, decision making, assessment, feedback, and after the clinical practices for 2 subscales: divergent thinking, and execution and risk taking. Class satisfaction score also increased after both the lectures and the clinical practices.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an action learning approaches for nursing management courses would be a usefu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achieve learning outcome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and Engineering for Non-Majors Convergence D-SteamRobot(DSR) Educational Model

  • Kibbm Lee;Seok-Jae M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312-319
    • /
    • 2023
  •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engineering education for non-majors by incorporating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addressing the need for education that responds to climate and ecological changes. The study uses robot programming as a tool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global citizens. Non-majors often struggle with producing more than just motionless forms or solid productions,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mechanisms and coding. The study proposes the use of the Convergence D-SteamRobot (DSR) to address this issue by blending humanities and engineering. This is achieved by presenting problems through books to increase empathy, integrating simple machine mechanisms, and creating prototypes to solve self-defined problems. Through this process, learners determine the SDGs topic they want to solve and learn about the simple mechanical mechanism involved in producing the prototype. The educational model provides a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that emphasizes empathy and exploration, encourages peer-learning, and improves divergent think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가정과 교육에서의 창의성 교수를 위한 이론적 고찰 (The Theoretical Inquiry for Teaching Creativity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류상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15-224
    • /
    • 2001
  • Creativity is a trait necessarily demanded in highly industrial and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Accordingly, we should develop creativity through schoo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a conceptual model and teaching method for developing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which can work at a platform for the curriculum developer. Although many definitions of creativity consider cognitive aspect more, personal or affective aspect is heavily involved with creativity. Therefore, creativity is a dynamic system which cooperates many contrasting and dialectic components in personal and cognitive aspects. The function of creativity is dependent on diverse environmental system. Environments influence on the extent of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Thus, the person-situation interaction model devised by Woodman and Schoenfeldt, integration of cognitive, affective, and situational aspects, is suggested as a conceptual model for teaching creativity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practical reasoning teaching model is suggested as a teaching method for developing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componen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which involved with practical reasoning process are general knowledge and skills, specific knowledge and skills, divergent thinking skills, motivation and motives,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 PDF

디자이니어 양성 커리큘럼 및 캡스톤 디자인 응용 사례연구: 로봇청소기의 디자인적 사고 프로세스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Designeer Education Program and Application of Capstone Design - Focusing on Design Thinking Process of a Robot Vacuum Cleaner)

  • 임덕신;안정현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61-70
    • /
    • 2019
  • This paper deals with a 'Designeer' education program that has a specific objective of educating design to undergraduate students in mechanical engineering with the aim of enhancing their ability of collaboration with designers when they are going to work in the field after graduation. The entire curriculum of the Designeer education program is introduced first, the end of which two-semester Capstone Design Courses for senior students is offered to let them practice all the knowledge and skills in a project-based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specific matters such as sketching & visual thinking, prototyping and user experience design is one thing and practicing those knowledge and skills into a Capstone Design project is another. At this point, design thinking process needs to be in place to give students a foresight of one-year journey and to ensure that they will produce a desirable, feasible and viable product at the end of the year when they define the right problem at the beginning. Their frustrations and discoveries while applying design thinking throughout the year is explained by taking an example of a Robot Vacuum Cleaner design project. Finally, we provide real examples of effective methods to practice divergent and convergent phases.

통합형 마인드맵 활동이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grated Mind Map Activities on the Creative Thinking Skills of 2nd Year Students in Junior High School)

  • 윤현정;강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9권2호
    • /
    • pp.164-178
    • /
    • 2015
  • 본 연구는 융합 인재 교육의 다양한 목표 중에서 인지적 측면 특히 창의적 사고력의 신장에 초점을 맞추고 창의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수 기법으로서 '통합형 마인드맵'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통합형 마인드맵이란, 융합 인재 교육 지향 마인드맵으로서 기존의 마인드맵 특징을 유지하면서, 과학 주제를 중심으로 뻗어나가는 아이디어 발산의 범주를 과학(S), 기술(T)&공학(E), 예술(A), 수학(M)의 측면으로 해보도록 교사가 의도적으로 유도하는 특징을 지닌다. 그럼으로써 학생들은 학습한 과학 개념이 다른 분야(기술, 공학, 예술, 수학)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지속적으로 인식하게 되고 관련 지식을 넓힐 수 있으며, 이는 융합 인재에게 요구되는 창의적인 융합적 사고를 할 수 있는 밑거름으로 작용하게 된다. 통합형 마인드맵은 첫 번째 가지가 포함하는 핵심어의 범주에 따라 STEAM형, STEA형, STEM형, STE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교사의 안내 정도에 따라 안내형, 중간 개방형, 개방형의 세 수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통합형 마인드맵 활동은 개인 별 뿐만 아니라 모둠 및 학급 토론을 통한 협동 학습 형태로 이루어지는 모둠 별, 학급 공유 활동의 형태로도 진행될 수 있다. 개발한 교수 기법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적용하였으며, 실험반 학생들은 한 학기 동안 개인 별 통합형 마인드맵 활동 10회, 모둠 별 통합형 마인드맵 활동 10회, 학급 공유 통합형 마인드맵 활동 3회로, 총 23회의 통합형 마인드맵 활동을 경험하였다. 그 결과 실험반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은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을 협의로 정의하여 발산적 사고라고 정의하였으며, 그 하위 범주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모두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p<.05).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통합형 마인드맵 교수 기법은 창의적 사고력의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창의적 사고력에 대하여 교수 기법과 인지 수준, 학업 성취도 수준, 성 별과의 상호 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p<.05).

그룹치료가 실어증자들의 언어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The Effects of Group Therapy on the Language Performance of Aphasics: 4 Cases)

  • 이옥분;권영주;정옥란
    • 음성과학
    • /
    • 제9권3호
    • /
    • pp.113-12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roup therapy on the language performance of aphasic patients. Four aphasic subjects participated in group therapy. Their aphasic types were TCMA (transcortical motor aphasia), conduction, anomie, and Broca's aphasia. The focus of the therapy was to stimulate cooperative learning skills. For this purpose, categorization tasks, semantic association tasks, convergent thinking, and divergent thinking tasks were employed. The results showed that all of the aphasic subjects demonstrated some improvement in writing ability, categorization ability, and speaking ability in sentences.

  • PDF

초등학교 교사의 시스템 사고를 적용한 과학 교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ystem Thinking-based Science Teaching Experiences)

  • 김형욱;이효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8-85
    • /
    • 2019
  • 이 연구는 시스템 사고 기반 과학 탐구 수업을 진행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경험을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이해하는 것이다. 4명의 초등 교사가 참여했으며,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사용한 질문은 Seidman(1998)과 Schuman(1982)이 제시한 면담법을 재구성하였으며, Giorgi(1985)의 현상학적 체험 연구 방법 4단계를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수업 중에 시스템 사고를 증진시키는 확산적 발문을 많이 하였고, 학생 중심의 물리적, 심리적인 환경을 조성하여 시스템 사고를 향상시켰다. 둘째, 교사들은 시스템 사고 기반 과학 탐구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교수학습 예시 자료의 부족과 수업 주제 선정의 어려움을 언급하였다. 또한, 평가 도구와 측정 방법이 부족하여 학생들의 학습 내용과 과정을 올바르게 평가하는 것이 어렵다고 지적하였다. 초등학생들의 탐구 활동 능력 부족으로 시스템 사고를 기반으로 한 과학 탐구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교사들은 시스템 사고 기반 과학 탐구 수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여러 역할을 수행하고,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더 나은 수업의 방향을 찾고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앞으로 초등학교 수업 현장에서 시스템 사고를 적용하는 데에 가치 있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터부 게임을 활용한 지리수업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ography Class Using Taboo Games on Student's Learning)

  • 최정숙;조철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30-244
    • /
    • 2014
  • 이 연구는 터부 게임을 활용한 지리수업이 학생들의 학습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터부 게임은 한 모둠이 금기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주제어를 설명하면, 다른 모둠들은 그 주제어를 유추하여 답변하는 것이다. 각 모둠이 작성한 터부 게임 학습지를 분석하고, 심층면담을 토대로 터부 게임이 학생들의 학습에 미친 영향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기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주제어를 설명해야 하는 모둠의 경우, 다른 모둠들이 쉽게 알아 맞힐 수 없도록 내용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주로 확산적 사고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제어를 설명하는 모둠에 비해 그 설명을 듣고 주제어를 유추해야 하는 다른 모둠들의 경우, 확산적 사고보다 수렴적 사고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학생들은 주제어를 설명하는 모둠의 역할과 주제어를 맞추는 모둠의 역할을 모두 경험하기 때문에, 수렴적 사고와 확산적 사고를 함께 학습하였다. 넷째, 터부 게임은 금기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주제어를 설명하거나 그러한 설명을 듣고 주제어를 유추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의사결정력, 비판적 사고력, 메타인지 등의 고차사고력 함양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생들은 문제해결을 위해 교과 지식은 물론, 다른 교과에서 학습한 지식, 일상생활을 통해 경험한 직접적 지식, 그리고 미디어를 통해 간접적으로 획득한 지식 등 다방면의 지식을 함께 활용 하였다.

  • PDF

과학영재 선발을 위한 교사 추천의 타당성 분석 (The Validity of Teacher Nominations for the Selec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 윤초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4호
    • /
    • pp.679-701
    • /
    • 2014
  • 영재선발을 위한 교사 관찰 추천의 타당성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이 연구는 과학영재 선발을 위한 교사 추천(지명)의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타당성의 준거변인으로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태도와 같은 영역 특수적 변인과 확산적 사고, 창의적 인성, 내재적 동기, 리더십과 같은 영역 일반적 변인이 사용되었다. 현재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과학영재 학생, 영재교육을 받은 적은 없지만 교사에 의해 영재로 판단되어 추천된 잠재영재 학생, 그리고 일반학급의 학생들이 연구대상으로 참여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하위 변인인 독창성과 확산적 사고의 하위 변인인 유창성과 독창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영재학생/추천학생과 일반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즉, 영재학생/추천학생은 이들 변인에서 일반학생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판별분석 결과, 영재학생/추천학생을 일반학생과 유의하게 판별해주는 함수가 도출되었으며, 판별함수에 부하된 변인은 독창성을 제외한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효능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가 과학영재 학생을 추천할 때 논리적 사고나 문제해결력, 과학수행, 그리고 이로 인해 강화되는 과학효능감과 같이 보다 '적응' 지향적인 학문적 탁월성을 고려하는 반면, 다양한 새로운 반응들을 신속하게 생성해내는 '혁신' 지향적인 속성(유창성이나 독창성으로 나타나는)은 덜 고려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한 교사추천의 기준은 학문적 탁월성을 지향하는 과학영재교육기관의 선발기준과도 부합하며, 이러한 기준으로 영재를 판별할 때는 교사추천만으로도 영재판별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초등 영재의 페르미 추정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분석 (Elementary Gifted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Through Fermi Estimate)

  • 허정인;노지화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40권2호
    • /
    • pp.167-181
    • /
    • 2024
  •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combining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their work on Fermi estimation problems. The analysis revealed that gifted students exhibited strong logical validity and breadth but showed some weaknesses in divergent thinking abilitie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