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solved Organic Carbon(DOC)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18초

최적 응집을 위한 Streaming Current의 기준값 설정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Set Point of Streaming Current for Optimum Coagulation)

  • 유명진;장미정;박귀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4-4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원수의 수질 변화 중 SC에 대한 영향 인자와 이런 인자가 streaming current(SC) 및 set point(SP)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조사하였다. 서울시 구의 취수장의 전염소 처리되지 않은 원수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Pilot scale 실험을 통하여 원수 수질 변화에 따른 SC의 변화와 응집제인 poly aluminium chlorides(PACs)의 변화에 따른 SC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탁도와 용존유기탄소(dissolved organic carbon, DOC)의 처리 효율에 대한 인자들의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실제 한강 원수를 대상으로 일정 기간 동안 원수의 수질과 SC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SC와 전기전도도가 높은 상관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SC를 기준으로 응집 처리한 결과, 최적 응집 조건으로 대표되는 SC, 즉 SP가 연구기간 동안 우기에서 건기로 변화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원수의 수질이 저탁도 일 때, 탁도에 비해 전기전도도가 SC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전도도가 SC와 SP 그리고 응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전기전도도가 증가할수록 SP는 감소하였고, 단위 SC 증가를 위해 주입된 응집제의 양은 점점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볼 때, 응집 공정의 최적 제어를 위해 SC를 이용한 응집 제어는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으며, 특히 SP 설정을 위해서는 원수의 수질 특히 전기전도도의 실시간 측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초제 Propanil 및 그 분해산물인 DCA(3,4-dichloroaniline)와 Humic Monomer들과의 산화적 짝지움반응 (Oxidative Coupling of Herbicide Propanil and Its Metabolite, DCA(3,4-dichloroaniline) to Humic Monomers)

  • 권태동;김장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5호
    • /
    • pp.384-389
    • /
    • 1998
  • 제초제 propanil(3',4'-dichloropropionanilide)과 그 분해산물인 DCA(3,4-dichloroaniline)가 laccase, horseradish peroxidase(HRP) 및 birnessite에 의하여 중개된 oxidative coupling에 의하여 토양 유기물의 구성성분에 병합될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하여 토양 유기물의 monomer들과의 반응성을 조사하였다. Propanil 또는 DCA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반응조건에서는 산화환원촉매들에 의하여 이들의 전환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humic monomer들이 있을 때 laccase와 HRP의 경우 propanil은 syringic acid와 DCA는 catechol과 높은 전환율을 나타내었으며, birnessite의 경우 DCA는 protocatechuic acid와 높은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DCA의 전환율은 laccase의 경우 catechol과 pH 8.0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킬 때, HRP의 경우 catechol과 pH 3.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킬 때 가장 높았고, birnessite의 경우 protocatechuic acid와 pH 5.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킬 때 가장 높았다. Humic monomer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DCA의 전환율도 증가하였다. Humic monomer 대신 dissolved organic carbon(DOC)이 있을 때 laccase는 DCA를 거의 전환시키지 못 하였으나, HRP는 DCA의 전환율을 크게 증가시켰고, birnessite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DCA의 전환율은 laccase 단독으로 있을 때 보다 birnessite와 공존할 경우 약 5배 가량 증가된 반면, HRP와 birnessite가 공존할 경우에는 증가되지 않았다.

  • PDF

혼합응집제에 의한 자연유기물질 제거에 미치는 영향 인자 (Influencing Factors on NOM Removal using Blended Coagulants)

  • 명복태;우달식;최종헌;문철훈;이윤진;조영태;조관형;남상호
    • 환경위생공학
    • /
    • 제16권3호
    • /
    • pp.96-103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ajor factors for the removal of NOMs (Natural Organic Matters) by alum ferric chloride and blended coagulants that consisted of alum and ferric chloride. Investigated factors were pH, the dosage of coagulant, alkalinity, hardness and bloc strength. The particle size contained in the test water came from the Han River was also measured. DOC(Dissolved Organic Carbon) removal at pH 6 was two to three times higher than at pH 8.5. The blended coagulant showed 9 to 10 percent higher DOC removal efficiency and 2 to 4 percent higher turbidity under the same condition. Alkalinity consumption of alum, ferric chloride and blended coagulant was 81%, 90% and 86% of theoretical value, respectively. The limit concentration of alkalinity to avoid pin floe was 10 mg $CaCO_3/L$ when alum was used. Hardness had no apparent effect on coagulation. The residual turbidity and $UV_{254}$ showed a tendency of increasing with floc strength($sec^{-1}$) increase. The order of floe strength was the following; alum >blended coagulant > ferric chloride. The particle counter test showed 89 percent of the small particle size(SPS, $1~5{\;}{\mu}textrm{m}$) and 11 percent of the medium to large particle size(M.LPS, $5~125{\;}{\mu}textrm{m}$). At PH7.85, the particle removal efficiencies of SPS($1~5{\;}{\mu}textrm{m}$) and M.LPS($5~125{\;}{\mu}textrm{m}$) in the coagulation process were 81% and 95%, respectively.

  • PDF

진해만에서 부유생물을 이용한 해양생태계 건강성평가 예비조사 (A Prelimiary Study for Marine Ecosystem Health Assessment Using the Planktonic Organism in Jinhae Bay)

  • 백승호;최현우;김영옥
    • 환경생물
    • /
    • 제28권3호
    • /
    • pp.125-132
    • /
    • 2010
  • 하계 진해만 16개의 정점에서 해양생태계의 오염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플랑크톤 건강 지수를 살펴보았다. 해양생태계 건강지수 산출은 부유성 플랑크톤 생물 엔테로박테리아 Escherichia coli, HB, ANF, HNF, HABs 그리고 섬모충류 등과 더불어 무기와 유기 오염원인 DOC, COD, 그리고 Chl.a 등을 각각 조사하였다. 그 중 플랑크톤 지수 산출은 오염압력의 반응에 민감한 Chl.a, HABs, HB, E. coli 등 4개의 지표를 시범적 선정하였다. 또한 점수산정기준은 과거자료를 바탕으로 통계학적 기법으로 해석하였으며, 그들 건강지수 등급도 4개로 나누었다. 그 결과 진해만 해역은 전반적으로 "좋음"의 B등급을 받았다. 본 연구에서 산출한 플랑크톤 건강지수는 진해만의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하기 위한 좋은 방법 중 하나로 고려하여도 될 것이다.

아미노산 성분에서의 염소 소독부산물 생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Chlorination Byproducts Formation of Amino Acid Compounds)

  • 손희종;최영익;배상대;정철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32-340
    • /
    • 2009
  • 20종의 아미노산 성분들에서의 염소 소독부산물 생성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단위 DOC당 THM 생성능은 Br 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tryptophan과 tyrosine에서 높게 나타났고 나머지 18종에서는 매우 낮은 생성능을 나타내었다. 단위 DOC당 HAA 생성능 조사결과, tryptophan, tyrosine, asparagine, aspartic acid 및 histidine에서 Br 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높은 생성능을 보였으며, asparagine, aspartic acid 및 histidine은 DCAA 생성능 조사결과, aspartic acid, histidine, asparagine, tyrosine 및 tryptophan에서 Br 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높은 생성능을 나타내었으며, aspartic acid는 660.2 ${\mu}$g/mg으로 나타나 다른 아미노산 성분들에 비해 월등히 높은 HAN 생성능을 나타내었으며, 반응성이 높은 6종의 아미노산 성분에서 생성되는 HAN 구성종의 대부분은 DCAN으로 나타났다. 단위 DOC당 chloral hydrate 와 chloropicrin의 생성능을 조사결과에서 chloral hydrate는 asparagine, aspartic acid, histidine, methionine, tryptophan 및 tyrosine에서 생성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chloropicrin의 경우는 20종의 아미노산에서 전체적으로 1${\mu}$g/mg 이하의 아주 낮은 생성능을 보였다. 아미노산의 작용기별 소독부산물 생성 특성은 THM의 경우 방향족(aromatic) 화합물인 tryptophan과 tyrosine에 반응성이 높았고, HAA는 aromatic, neutral, acidic, basic 순으로 반응성을 보였으며, HAN은 acidic, basic, neutral, aromatic 순으로 반응성을 나타내어 방향족 화합물보다 지방족 화합물이며 친수성인 물질에서 반응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철 천수만 해수에서 담수 대량 방류에 따른 영양염, 유기물 및 미량금속의 변화 (Effect of Freshwater Discharge on the Seawater Quality (Nutrients, Organic Materials and Trace Metals) in Cheonsu Bay)

  • 이지윤;최만식;송윤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4호
    • /
    • pp.519-534
    • /
    • 2019
  • 여름철 인공호수(간월호, 부남호)로 부터의 담수방류시 천수만 수질(영양염, 유기물, 미량금속)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2011년 6, 7, 8, 10월에 평상시와 담수방류 시기 각 2회씩의 해수를 채취하였다. 담수가 방류되면 용존 무기 질소(DIN)의 농도가 만내의 모든 수층에서 약 3-4배 증가하였고, 평상시 암모니아성 질소(NH4+-N)가 우세하다가 담수방류시 질산성 질소(NO3--N)가 우세하였다. 용존 무기인(DIP)의 경우 내만 표층에서 절반으로 감소하였고 저층에서는 1.5배 증가하였으며 규산염(Si(OH)4)은 내만 저층에서 2배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Redfield ratio는 담수 방류시 인 제한 환경으로 바뀌었다. 용존 유기 탄소(DOC) 및 질소(DON)는 약 2배 증가하였고, 입자상 유기 탄소(POC), 질소(PON), 인(POP) 및 생물기원 규소(Bio-SiO2)는 내만 표층에서 약 2배 이상 증가했다. 용존 금속(Fe, Co, Ni, Cu)은 내만의 표층에서 증가하였으나, 용존 Cd의 경우 만의 표층에서 절반으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영양염, 유기물 및 금속 농도가 높은 인공호수의 물이 만으로 유입되면, 천수만 내의 영양염 및 용존 유기물, 금속농도가 증가하고, 식물플랑크톤 대증식이 발생하여 표층에서 산소 과포화, 저층에서 빈산소를 발생시킨다. 빈산소와 함께 내만의 저층에서는 매우 높은 농도의 영양염(DIN, DIP, Si(OH)4) 농도가 존재하였다. 수질 평가 지수값을 통해 천수만의 부영양화 정도를 평가한 결과, 평상시에는 3등급 이하로 나타나다가 방류시 5등급으로 바뀌게 됨을 알 수 있었다.

2-Methylisoborneol(2-MIB)제거를 위한 산화 및 흡착공정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Oxidation and Adsorption Processes for 2-Methylisoborneol(2-MIB) Removing)

  • 최근주;김상구;류동춘;신판세;손인식;오광중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41-246
    • /
    • 2002
  • One of the Musty and earthy smell compounds in raw water is generally attributed to 2-methylisoborneol (2-MIB). It is well known that activated carbon and oxidants such as $O_3$, Cl $O_2$, are effective ways to control 2-MIB. In isotherm equilibrium experiments, 2-MIB in distilled water was much more adsorbed to the activated carbon(A/C) than raw water containing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The Freundlich constants(k) of distilled water and raw water were 3.36 and 0.049, and 1/n values were 0.80 and 0.42, respectively. The 2-MIB residual rate were Y = $e^{-0}$.55x/~ $e^{-0}$.54x/ with Ozone( $O_3$) dose by 5 minutes contact time at the 241 and 353 ng/L initial concentrations. The 2-MIB residual rate were Y = $e^{-0}$.32x/~ $e^{-0}$.35x/ with Chlorine dioxide(Cl $O_2$) dose by 15 minutes contact time at the 89 and 249 ng/L initial concentrations. 2-MIB was decreased from 1911 ng/L to 569ng/L by post-ozonation(70%removal efficiency) and removal efficiencies of 2-MIB by the following 4 kinds Granular Activated Carbon(GAC) process such as coal base, coconut base, wood base and zeolite+carbon base were 95.8, 89.5, 88.4, and 93.7% respectively.ely.

수문생지화학적 접근을 통한 광릉 산림 유역의 물과 탄소 순환 이해 (Hydro-Biogeochemical Approaches to Understanding of Water and Carbon Cycling in the Gwangneung Forest Catchment)

  • 김수진;이동호;김준;김승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9-120
    • /
    • 2007
  • 한국 산악 경관에서의 물과 탄소의 순환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물과 탄소의 유역 내 이동 경로, 저류, 체류시간 및 상호작용에 대한 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HydroKorea 및 CarboKorea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연구 방법들과 현재까지의 주요 결과를 소개한다. 유역 내 다양한 수문순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지하수위 변동, end-member mixing model, 교차상관 분석, 대기 기원의 천연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였다. 광릉 산림 유역에서는 지표유출의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강수량과 강수강도 및 패턴의 변화가 물의 유출경로와 체류 시간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몬순으로 인한 강수형태와 유역 내 수문과정의 변화가 탄소 순환에 영향을 미쳤는데, 지속적인 강우의 유입이 산림토양의 표층에 분포하는 고농도의 용존유기탄소의 유출을 증가시켰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시도된 수문순환과정에 대한 정량적인 규명은 기후 변화가 수자원 관리와 산림유역 탄소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한 과학적 방법론을 확립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석탄계 활성탄의 재생 횟수 증가에 따른 세공 구조 변화가 수중의 NOM과 THM 흡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re Structure Change on the Adsorption of NOM and THMs in Water Due to the Increase of Reactivation Number of Coal-based Activated Carbon)

  • 손희종;류동춘;장성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965-97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석탄계 활성탄 신탄과 재생탄들을 이용하여 재생 횟수의 증가가 이들의 세공 구조 변화 및 수중의 유기성 오염물질들의 흡착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신탄과 비교하여 1~3차 재생탄들에서 재생회수의 증가에 의해 $15\;{\AA}$ 이하의 미세세공은 감소한 반면 $20{\sim}100\;{\AA}$ 정도의 중간세공은 증가하였다. 재생횟수의 증가할수록 비표면적과 세공용적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세공용적의 감소폭은 신탄에 비해 크지 않았다. 신탄과 1~3차 재생탄들에서의 $CHCl_3$와 DOC에 대한 최대 흡착능(X/M)은 신탄의 경우 $964.6\;{\mu}g/g$ 및 19.5 mg/g인데 반해, 1~3차 재생탄들에는 $255.6{\sim}399.5\;{\mu}g/g$과 18.0~18.7 mg/g이였으며, 1차~3차 재생탄들의 THM 구성종들에 대한 흡착능은 신탄 보다 2~3배 정도 감소하였으나, DOC에 대한 흡착능은 신탄과 거의 동일하였다.

토양 공극수 내 Cu의 존재형태가 terrestrial biotic ligand model을 이용한 보리의 급성독성 예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 Species Distribution in Soil Pore Water on Prediction of Acute Cu Toxicity to Hordeum vulgare using Terrestrial Biotic Ligand Model)

  • 안진성;정부윤;이병준;남경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2권5호
    • /
    • pp.30-39
    • /
    • 2017
  • In this study, the predictive toxicity of barley Hordeum vulgare was estimated using a modified terrestrial biotic ligand model (TBLM) to account for the toxic effects of $CuOH^+$ and $CuCO_3(aq)$ generated at pH 7 or higher, and this was compared to that from the original TBLM. At pH values higher than 7, the difference in $EA_{50}\{Cu^{2+}\}$ (half maximal effective activity of $Cu^{2+}$) between the two models increased with increasing pH. As Mg concentration increased from 8.24 to 148 mg/L in the pH range of 5.5 to 8.5, the difference in $EA_{50}\{Cu^{2+}\}$ increased, and it reached its maximum at pH 8. The difference in $EC_{50}[Cu]_T$ (half maximal effective concentration of Cu) between the two models increased as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concentration increased when pH was above 7. Thus, for soils with alkaline pH, the toxic effect of $CuOH^+$ and $CuCO_3(aq)$ are greater at higher salt and DOC concentrations. The acceptable Cu concentration in soil porewater can be estimated by the modified TBLM through deterministic method at pH levels higher than 7, while combination of TBLM and species sensitivity distribution through the probabilistic method could be utilized at pH levels lower than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