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play Design

검색결과 2,492건 처리시간 0.03초

적정 스마트공장: 산업안전 기술로의 적용 가능성 실증 (Appropriate Smart Factory : Demonstration of Applicability to Industrial Safety)

  • 권귀감;정우균;김형중;전영준;김영균;이현수;박수영;박세진;홍성진;윤원재;정구엽;이규화;안성훈
    • 적정기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96-205
    • /
    • 2021
  • 산업안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최근 제조현장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되고 있는 스마트공장 기술을 활용한 산업재해 방지 기술도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산업재해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소기업에서 이러한 스마트공장 기술의 적용을 통한 산업재해 방지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재해 유형별 맞춤형 모니터링 및 경보 시스템을 개발하고 실제 현장에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소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적정 스마트공장 기술을 통한 산업재해 방지 기술을 실증하였다. 작업자 신체 접근, 누전 및 과전류, 고온에 의한 화재 및 화상, 유해물질 배출이라는 네 가지 주요 재해 유형에 대해 비전센서, 전류센서, 온도센서 및 가스센서를 활용하여 맞춤형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더불어 모니터링 된 위험요소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작업환경에 맞는 알림 방안을 적용하고,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디스플레이를 활용하여 작업자와 관리자가 재해 위험을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적정 스마트공장 기술의 적용 및 실증을 통한 효과를 확인하고 이러한 산업안전 기술의 확산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3D virtual clothing simulation을 활용한 여자 중학생의 브랜드교복 패턴비교 및 체형별 교복 패턴개발 (Comparison of Brand-name School Uniform Patterns for Middle School Girls and Development of School Uniform Patterns by Students' Body Shape, Using 3D Virtual Clothing Simulation)

  • 신장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7-129
    • /
    • 2022
  • In terms of junior high school girls' growth patterns during early adolescence, unlike childhood when relatively balanced growth patterns are found and high school years in which the normal adult body type is almost reached, junior high school girls display imbalanced and rapid growth. In fact, diverse size changes by body part occur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individuals. Therefore, it has been difficult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o select their exact size when buying a school uniform.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winter blouse and skirt patterns reflecting the latest comfortable and active school uniform trends, using middle school girl avatars of various body shapes. Skirt and blouse pattern-drawing methods and margins differed. Based on such results, research prototypes were prepared. Then, virtual wear prospective drawings, clothing pressure, and appearance were assessed by body shape. Skirts were assessed with 22 factors while blouses were analyzed with 25 factors. Then, correlations between skirts and blous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reason why the dart & pleats position and margin were rated low was confirmed. In a virtual wear assessment on skirt patterns by body shap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ll categories except for position of the hip circumference, margin of the hips, width of the skirt, and appropriateness of waist line position. The virtual wear assessment on the blouse patterns by body shape also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categories but fit and shape pf the back part. In blouse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round shoulders and waist in type 1 and around the belly in type 2. On the contrary, for skirt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round the hips and waists in type 1 and type 2. Therefore,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making blouses and skirts. The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skirt and blouse patterns should vary by body shape. It is anticipated that there should be further studies comparing brand-name school uniforms for high school girls and school uniforms by body shape.

대학생을 위한 정신건강 자가관리 어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Mental Health Self-Care App for University Student)

  • 강광순;노선식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5-34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자가관리를 위한 모바일 앱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 대상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개발하기 위해 사용자 중심 설계를 이용하였다. 사용자 중심설계란 대상자에게 적합하게 적용하기 위해 대상자 요구도 사정-분석-설계-개발-평가-수정 및 보완-적용하는 연구설계이다. 대학생들의 정신건강 자가관리를 위해 이들의 주요 정신건강 문제인 음주·수면·우울·스트레스 등 4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각 영역별 현재 상태에 대한 자가테스트 콘텐츠, 점검 결과 분석 및 알림, 현재 상태에 대한 관리 방안 제시 등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안드로이드 기반 정신건강 자가관리 앱을 개발하였다. 대상자가 자신의 정신건강 상태자료를 입력함으로써 각각의 결과에 대한 정상 혹은 위험 정도를 설명하고 이에 따라 대상자는 자신이 수행할 수 있는 적절한 중재법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4가지 영역에 대한 현재 상태를 일자별로 나타낼 수 있는 정신건강자가관리 캘린더와 현재상태를 애니메이션과 상태바를 통해 통합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자 중심으로 다가갈 수 있는 정신건강 중재로, 지속적이고 더 향상된 프로그램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정신건강 자가관리 앱 개발의 기초적인 연구로서 시도하였다.

설계과정을 통해 본 정원박람회 작가정원의 전통재현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Representation in the Artist's Garden of the Garden Exposition seen through the Design Process)

  • 이송민;소현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01-110
    • /
    • 2020
  • 본 연구는 정원박람회에 출품한 작품 중에서 전통을 테마로 설정한 작가정원 14개소의 사례연구로서 문헌 분석과 현장 조사로 진행하였다. 전통재현을 결정하는 설계과정에 주목하고 작품마다 설계목표 수립, 전통재현의 대상 선정, 재현의 방법 결정, 경관구성요소 디자인 단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전통재현 특성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다수의 작가정원에서 전통구조물을 재현 대상으로 선정한 양상은 좁은 부지에 적합하고 주제 전달성이 좋다는 장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들은 작품명에 마당, 울, 부뚜막, 장독대, 취병과 석가산 등 전통구조물의 명칭을 넣어 설계의도를 직접 전달하였는데, Wall, 한국정원, 수원, 서울 장인처럼 간접적으로 표현한 작품들은 주제 전달성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선비, 여백, 풍류와 같이 재현 대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작품도 있었다. 둘째, 한옥마당을 재현하면서 잔디와 석재로 포장한 정원, 수원화성 성곽과 망루 서북공심돈(西北空心墩)을 분리하고 연계성 없는 용연(龍淵)을 미니어처 형태로 배치한 정원과 낙안읍성을 모티브로 하여 휴게공간에 낮은 장식담장으로 재현한 정원은 전통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반면 전통정원의 입지 선택, 주변 환경과 유기적 배치가 중요함을 보여준 한국정원, 한옥 중정이 가진 여백의 미와 선비가 누렸던 느림의 미학, 달밤 뱃놀이라는 풍류 문화를 재현한 작품들은 전통구조물 모사를 넘어 전통에 대한 이해가 정원문화와 정서로 확산된 양상이다. 셋째, 디자인과 관련하여 실제 크기의 전통구조물을 직설적 방법으로 재구성한 작품이 많았다. 취병으로 정원을 구획하고, 담장안에 부뚜막, 굴뚝, 텃밭 등으로 생활공간을 꾸미고, 경복궁, 소쇄원, 서석지를 대표하는 시설들을 유기적으로 배치하였다. 하지만 규모가 큰 수원화성과 낙안읍성을 추상적 방법으로 재현한 작품들로부터 핵심이 되는 디자인 요소의 취사선택, 구조물의 입면 구성, 공간의 스케일감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해체적 방법을 선택한 정원 중에는 원형 이미지와 멀어진 한옥 마당과 바자울의 사례가 있는 반면에 정육면체를 구성한 프레임만으로 표현한 여백의 정원과 많은 전통구조물로 달빛 스며든 선비의 사랑방을 재구성한 정원은 긍정적 사례이다. 현대적으로 디자인한 경관구성요소들을 전시한 서울 장인 정원, 직지심체정원, 풍류정원은 작가의 의도를 이해할 수 있는 설명이 필요하다.

리챠드 마이어의 미술관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useum Projects by Richard Meier)

  • 김용립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231-241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리챠드 마이어 미술관의 설계방식과 형태요소를 분석하는 데 있으며 분석을 통해 미술관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리챠드 마이어의 미술관은 전시공간으로서 미술품을 효과적으로 전시하고 있을 뿐 아니라 문화공간으로서 방문자에게 건축이라는 예술을 경험하게 한다. 마이어는 자신의 미술관을 설계하기 위하여 미스 반 데르 로에와 르 꼬르뷔제로부터 배운 설계방법과 형태언어를 지혜롭게 활용하였다. 그는 구조격자를 기초로 하는 합리적인 사각형 형태는 전시공간을 위하여 역할을 하게 하는 한편, 원, 부분원과 같은 기하학적 형태언어는 조형적 공간을 위하여 사용함으로써 기능적 공간과 조형적 공간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였다. 그의 미술관에서 구조와 분리된 유리벽과 램프는 중요한 표현수단이 된다. 램프는 건축적 산책로로서 건축물의 내.외부공간을 감상하게 할 뿐 아니라 전시통로로서 다양한 거리와 각도에서 미술품을 반복해서 보게 하며 커다란 유리벽은 변화로운 미술관의 실내를 외부로 전달해 준다. 두 사람의 거장으로부터 계승된 설계방법과 언어와 비교하여 마이어에 의해 발전된 설계원칙과 요소는 주로 미술관의 배치와 전시계획, 입면구성에 적용되어 독창성을 발휘하게 된다. 부지 주변의 도시적 짜임과 역사적 건물로부터 이끌어진 배치원칙은 그의 미술관을 주변환경과 조화되게 하였으며 비틀어진 축의 도입은 배치계획에 변화와 전환의 효과를 가져다 주었다. 미술관의 전시공간은 질서있게 배치된 전시집기에 의해 활기를 띠게 된다. 간막이와 전시선반, 니체, 스테이지 등의 요소를 융통성있게 결합시킨 형식의 전시집기는 공간을 분할하는 간막이로서, 미술품을 진열하는 가구로서, 형태를 창조하는 형태요소로서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정연하게 배치된 전시집기는 또한 여러개의 시각적 축과 중심을 발생시켜 사람들로 하여금 다양한 각도에서 투시적 시각으로 미술품을 감상하게 하는 독특한 환경을 창조하게 된다.

  • PDF

모바일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Mobile Device Description Repository System)

  • 이영일;이승윤;이강찬;인민교;이원석;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819-822
    • /
    • 2008
  • 모바일 단말의 성능 향상으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이기종 모바일 단말간의 콘텐츠 표현 성능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콘텐츠의 적응화(Adaptation) 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적응화 과정의 기본 정보가 되는 모바일 단말정보를 프로파일(DDL : Device Description Language)로 기술하게 되는데, 이 모바일 단말정보 표현 언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단말정보를 저장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의 요청사항에 따라 검색 재조합 등의 과정을 거쳐 최적화된 형태의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독립된 형태의 단말정보 저장소(Device Description Repository)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최적화된 큐 기반의 NMEA 프로토콜 멀티플렉서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NMEA Protocol Multiplexer Simulation on the based optimizing Queue)

  • 박시형;정성훈;김창수;임창묵;임재홍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19
    • /
    • 2004
  • 현재 국내에서는 NMEA 프로토콜 멀티플렉서를 개발한 사례 및 제품이 없어, 외국의 고비용 장비를 수입하여 사용하거나, 멀티 포트를 이용하여 NMEA 프로토콜을 전송하는 프로그램을 소프트웨어 적으로 구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고비용이 지출되거나, 각 응용프로그램마다 별도의 처리 부분을 작성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NMEA 프로토콜을 출력하는 각각의 장비들은 제조 회사 및 플랫폼이 다르므로 이중의 자원낭비 및 손실 등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신뢰성 있는 처리방법과 고성능의 단일 하드웨어 모듈로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고 최적화된 큐의 설계를 이용하여 모듈의 메모리 효율을 높이며, 주요 입력 센서 장비인 자이로콤 파스, 에코 사운드, GPS 등의 장비들과 실시간 통신의 높은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NMEA 프로토콜 멀티플렉서를 구현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PDF

금속수소화물 수소 저장 용기 내부의 수소방출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f Hydrogen Desorption in a Metal Hydride Hydrogen Storage Vessel)

  • 강경문;남진무;유하늘;주현철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363-371
    • /
    • 2011
  • In this paper, a three-dimensional hydrogen desorption model is developed to precisely study the hydrogen desorption kinetics and resultant heat and mass transport phenomena in metal hydride hydrogen storage vessels. The metal hydride hydrogen desorption model, i.e. governed by the conservation of mass, momentum, and thermal energy is first experimentally validated against the temperature evolution data measured on a cylindrical $LaNi_5$ metal hydride vessel. The equilibrium pressure used for hydrogen desorption simulations is derived as a function of H/M atomic ratio and temperature based on the experimental data in the literature. The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agree well with experimental data and the 3D desorption model successfully captures key experimental trends during hydrogen desorption process. Both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 display an initial sharp decrease in the temperature mainly caused by relatively slow heat supply rate from the vessel external wall.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heat supply becomes influential at the latter stages, leading to smooth increase in the vessel temperature in both simulation and experiment. This numerical study provides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detailed heat and mass transfer phenomena during hydrogen desorption process and further indicates that efficient design of storage vessel and heating system is critical to achieve fast hydrogen discharging performance.

대단면 스킨팀버의 용재 가능성과 이를 활용한 생활용품 디자인 개발 (Manufacturing Life articles and a Possibility of Materials Using the Structural Size Skin-Timber)

  • 임승택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0-69
    • /
    • 2013
  • Timber is an eco-friendly material that is suitable for low carbon and green growth, and recently, studies on utilization and manufacture of timber are increasing. Thus, we need a stable supply of wood working materials for the formative element and widespread function of timb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use of timber because it enhances the added value of this material by making the most of it. In this way, skin-timber is an appropriate material for life articles because skin-timber has a variety of functions including the ability for storage use, the beauty of structure, the ability to maintain heat and insulation, and the capability to control humidity. In this study, I developed household items using skin-timbers that are made up of circular columns and square columns of pine, larch, and yellow popular. The circular and square columns have an inner hole that is approximately 90% of the external structure's width. I intended for the concept of these designs to display creativity considering functionality and productivity. These items are life articles and furniture for modern people. They are eco-friendly products that are varnished with traditional lacquer and natural oil.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skin-timbers are made of domestic pine, larch, and yellow popular and are resource of furniture, household items, and woodcraft. I believe skin-timber is not only a useful material for processability and design applicability, but it also has the capability to be a multifunctional and high value-added material. Also, if the standards, such as cortex thickness, outside diameter, and length, of skin-timber are producted diversely, I believe skin-timber can be have more the possibility of industrial products' development.

  • PDF

Effects of treadmill training with real optic flow scene on balance and balance self-efficacy in individuals following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Kang, Hyungkyu;Chung, Yijung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권1호
    • /
    • pp.33-39
    • /
    • 2012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eadmill training with real optic flow scene on functional recovery of balance and balance self-efficacy in stroke patients. Design: Single 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Nine patients following stroke were divided randomly into the treadmill with optic flow group (n=3), treadmill with virtual reality group (n=3), and control group (n=3). Subjects in the treadmill with optic flow group wore a head-mounted display in order to receive a speed modulated real optic flow scene during treadmill training for 30 minutes, while those in the treadmill with virtual reality group and control group received treadmill training with virtual reality and regular therapy for the same amount of time, five times per week for a period of three weeks. Timed up and go test (TUG) and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 (ABC scale)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TUG in the treadmill training with optic flow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compared with the treadmill training with virtual reality group and control group (p<0.05).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in the ABC scale was observed in the treadmill training with optic flow group and the tread mill training with virtual reality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5). Conclusions: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readmill training with real optic flow scene can be helpful in improving balance and balance self-efficacy of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nd may be used as a practical adjunct to routine rehabilitation therap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