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infectant effect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19초

이산화염소의 해산어류 병원세균 살균효과 (Disinfection Effect of Chlorine Dioxide on Pathogenic Bacteria from Marine Fish)

  • 박경희;오명주;김흥윤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8-123
    • /
    • 2003
  • 이산화염소($ClO_2$) 처리에 의한 어병 세균의 살균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감염어 유래 분리주인 Vibrio anguillarum, Edwardsiella tarda, Streptococcus sp. 및 Streptococcus sp.를 대상으로$ClO_2$유효 농도 0.455, 0.246 및 0.129 ppm에 30초, 1분, 3분, 5분 및 10분간 처리하여 ClO$_2$의 살균효과를 조사하였다. V. anguillarum과 E. tarda는 ClO$_2$ 0.246 ppm에서, 30초 이 상의 처리에 의하여 세균의 증식이 완전히 저해되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저농도인 0.129 ppm에서는 5분 이상의 염소처리 조건이 필요하였다. Streptococcus sp.는 실험에 사용된 어병 세균 중 $ClO_2$의 살균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0.455 ppm에서 Streptococcus sp.는 30초 반응 후 그 증식이 완전히 저해되었고, 0.246 ppm과 0.129 ppm의 ClO$_2$에서는 각각 배양 3시간, 8시간 이후부터 그 생잔에 의한 증식이 확인되어졌다. Streptococcus sp.는 본 실험에서 설정한 최저농도인 0.129 ppm 에 30초간의 반응으로 균이 사멸됨으로서 실험에 사용된 세균 중 ClO$_2$에 가장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Streptococcus sp. 는 0.455 ppm, V. anguillarum과 E. tarda는 0.246 ppm, Streptococcus sp. 는 0.129 ppm의$ClO_2$농도로 30초 전후로 처리하는 조건이 가장 효과적임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차아염소산나트륨용액의 양잠소독약제로서의 응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I) 누에 경화병원균에 대한 생물학적검정 (Studies on the Applicability of Sodium Hypochloride Solution to Silkworm Rearing Industry as a Useful Disinfectant (I) Effect of Sodium Hypochloride Solution on the Disinfection of Silkworm Larvae for the Control of Yellow Muscardine Disease)

  • 임종성;이영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23
    • /
    • 1977
  • 차아염소산 나트륨용액의 실험실내에서의 간이시험을 통하여 양잠소독 약제로써의 적용가능성을 얻고 경화병원균에 대한 생물학적 약효검정에 대한 시험결과 아래와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차아염소산 나트륨용액 1,3,5%를 누에에 처리하여 약제가 누에표피에 접착됨으로써 받은 피해를 조사하였으나 아무런 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차아염소산 나트륨용액 1,3,5%를 누에에 침식하여 약제가 누에의 생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나 약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차아염소산 나트륨용액의 황강병원균에 대한 약효는 생물학적 검정을 통하여 조사한 결과 동약제의 3%의 경우는 춘추잠기에 각각 7.3, 11.4% 발병율을 보였고 5%의 경우는 춘추잠기에 각각 6.7, 10.0%의 발병율을 보임으로써 무처리구의 평균 97%의 발병율을 보인데 비하여 좋은 효과를 보였다.

  • PDF

클로르헥시딘이 접착성 수복재의 결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 OF CHLORHEXIDINE ON THE BOND STRENGTH OF ADHESIVE RESTORATION)

  • 염혜웅;김종수;권순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0-37
    • /
    • 2002
  • 치아 수복 후 나타날 수 있는 술 후 동통과 치수 병변의 주원인은 수복재 자체의 독성보다는 박테리아의 침투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와동내 항균제 처리는 잔존 박테리아를 제거하여 제 증상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이지만, 상아질면이나 상아 세관에 잔유물을 남겨 상아질 결합제와 치질간의 긴밀한 결합을 방해하여, 미세누출을 증가시키고, 결합강도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2% 클로르헥시던 도포가 접착성 수복물과 치질과의 결합강도 및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건전한 소의 전치 상아질을 노출시키고 와동을 형성한 후, 클로르헥시딘을 도포하고 복합레진, 컴포머 그리고 글라스아이오노머를 각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각각 충전하고, 1000회 열순환 처리 후 전단 결합 강도와 미세누출 양상을 비교 평가하였다. 상아질 전단 결합 강도와 수복재 변연 미세누출 양상에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 PDF

Chemical Control of Gray Mold in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

  • Kwon, Byung-Sun;Shin, Dong-Young
    • Plant Resources
    • /
    • 제8권2호
    • /
    • pp.130-134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ntrol effect of fungicides on control of Gray mold, growth characteristics, and root yield in the cultivation of Scutellaria baicalensis after barley cropping. All fungicides treated had no effect on the growth and flowering rate of Scutellaria baicalensis. All seed disinfectants had no effect on the growth and flowering date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 The major seed disinfectants were Benomyl Wp, $20\%$, Captan Wp, $50\%$, Hymexazol Ec, $30\%$, Carboxin D, $37.5\%$. Dry root yield were increased largely with Benomyl Wp, $20\%$, seed disinfectant than the other seed disinfectants had no injury with standard dosage. On the other hand, all seed disinfectants had slight injury in the double dosage level for the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

  • PDF

소독액의 B형 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에 대한 억제효과 (ANTIVIRAL EFFECT OF SEVERAL DISINFECTANT SOLUTIONS)

  • 임미경;이세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9권1호
    • /
    • pp.106-113
    • /
    • 1994
  • Dental professions are considered high risk for contracting hepatitis infection. In Korea, many patients are hepatitis B virus carriers. HBV are most efficiently transmitted by blood. Root canal treatment, as in cases of acute pulpitis always accompanied by contaminated blood. Therefore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use irrigation solutions having strong antiviral effect for prophylaxis both dental personnel and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viral effect of seven root canal irrigation solutions by radioimmunometric test. The solutions were 5% sodium phyochlorite, 5% cresol, 2% glutaraldehyde, 3% hydrogen peroxide, 0.05% chlorohexidine, 10% iodine, and 70% isoprophyl alcohol. Each irrigation solutions was mixed with serum preparated from HBsAg positive patients and sera were diluted to 1:1. 1:4. 1:20 and 1:100. Percentage of radioactivity was assayed with AUK(Sorbin biomedica, Italy) and COBRA(Packwood Instrument company, USA). Sodium hypochlorite and glutaraldehyde showed most strong antivral activity against HBsAg. Isoprophyl alcohol had moderate antiviral effect and the effect and the effect was increased especially in 1:4 solution. Hydrogen peroxide exihibited very weak aintivral activity. Cresol, chlorohexidine, and iodine exhibited little antiviral activity.

  • PDF

마우스의 기도 내 점적을 통한 가습기살균제 CMIT/MIT와 사망 간의 원인적 연관성에 관한 연구 (Intra-tracheal Administration of the Disinfectant Chloromethylisothiazolinone/methylisothiazolinone (CMIT/MIT) in a Mouse Model to Evaluate a Causal Association with Death)

  • 김하영;정용현;박영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47-256
    • /
    • 2017
  • Objectives: The deaths of Korean victims exposed to the disinfectant CMIT/MIT have remained unresolved. This is mainly due to a lack of concordance between the few available toxicity tests and the abundant epidemiological data, making it difficult to establish a cause-and-effect relationship.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y potential associations between CMIT/MIT exposure and death. Methods: Groups of experimental and control C57BL/6 mice were instilled (in the trachea) with chloromethylisothiazolinone/methylisothiazolinone (CMIT/MIT) using a visual instillobot. CMIT/MIT was instilled over a period of three days and eight weeks, respectively, to achieve acute and chronic exposures. A threshold dose-response model was applied for estimating the threshold level as one line of evidence for a causal association between CMIT/MIT and death. Results: An acute exposure of 1.2 mg ai/kg/day of CMIT/MIT was estimated to reflect the threshold for death. The dose-response curve with this threshold showed a very steep slope and a narrow range of CMIT/MIT exposures. The narrow range of CMIT/MIT exposures, in particular, indicated an evident boundary between survival and death, thus implicating a strong causal association. A similar threshold dose-response relationship observed following acute exposure was also seen following chronic exposure to CMIT/MIT. Airborne disinfectant exposure was visible as minimal or mild lung damage with no fibrosis, as shown by histopathological tests. However, many observations are considered to be functional respiratory tract or lung failure due to death, as observed in necropsies of the mice that died due to CMIT/MIT exposures. Conclusions: There are two strong lines of evidence for a causal association between death and CMIT/MIT exposure: 1) The threshold dose-response curve, with a very steep slope and a narrow range of CMIT/MIT exposures showing a visible boundary between survival and death; and 2) many cases of functional respiratory or lung failure.

흑타리버섯 추출물의 벼 키다리병에 대한 종자소독 효과 (Seed Disinfectant Effect of Pleurotus ostreatus (Heuktari) Extract on Fusarium fujikuroi Nirenberg)

  • 오태석;박윤진;김성민;신동일;김창호;조용구;장명준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1-7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흑타리버섯을 물,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탄올 등으로 추출하였다. 각 유기용매를 이용한 흑타리버섯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1차적으로 평판 확산방법을 사용하여 항균력을 검증하였다. 부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항균력을 확인하였고, 1%, 2.5%, 5%, 7.5%, 10% 농도로 항균력을 확인하였을 때도 부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통해 실제 포장실험에서도 가능성을 확인하여 온실에서 F. fujikuroi Nirenberg의 억제력을 확인해본 결과 흑타리버섯 부탄올 추출물을 7.5% 첨가하였을 때 .80%의 높은 억제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초기의 발아력과 파종 후 30일 경과 후에 확인한 초기 생육특성에서도 흑타리버섯 추출물의 5% 이상에서는 방제에 효과가 높았으며 7.5% 이상 시에는 초장 및 묘소질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차가 없는 높은 방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흑타리버섯 추출물은 벼 키다리병에 대하여 높은 방제효과가 있으며 향후에는 친환경 종자소독제로써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Bactericidal Efficacy of a Fumigation Disinfectant Containing Paraformaldehyde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 Cha, Chun-Nam;Son, Song-Ee;Yoo, Chang-Yeul;Park, Eun-Kee;Jung, Ji-Youn;Kim, Suk;Lee, Hu-Jang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6-221
    • /
    • 2016
  • 본 연구는 S. Typhimurium을 대상으로 paraformaldehyde 35%를 함유한 훈증소독제의 살균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예비 시험에서, S. Typhimurium의 현탁액 균수는 모두 $3.9{\times}10^8CFU/mL$이었으며, 훈증소독제에 노출시킨 모든 담체의 균수는 평판배지법과 여과법으로 배양한 시험균주 현탁액의 균수의 50%보다 많았다. 또한, 대조 담체로부터 회복된 S. Typhimurium 균수는 모두 $3.3{\times}10^6CFU/mL$이었다. 훈증소독제의 살균효과 시험에서는, 훈증 소독제를 처리한 담체의 S. Typhimurium의 감소 균수는 5.22 log CFU/mL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araformaldehyde를 주성분으로 하는 훈증소독제는 S. Typhimurium에 대해 효과적인 살균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병원성 세균에 오염된 식품재료 및 주방용품의 소독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벼 종자소독 후 prochloraz 폐액의 안전 폐기 방법 (Safe and easy disposal of prochloraz wastewaters after used as rice seed disinfectant)

  • 박병준;최주현;김찬섭;이병무;임양빈;조일규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69-175
    • /
    • 2003
  • 물 중 prochloraz 의 잔류특성과 농자재를 이용하여 볍씨 종자소독 후 폐액을 쉽고 안전하게 폐기하는 기술을 확립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Prochloraz의 물 중 반감기는 $4.0\sim5.0$일 이었고, 가수분해는 알카리 조건에서 빠르게 분해되었으며, 물 중 광분해는 $5530J/cm^2$ 조사시 87.7% 의 분해력을 보여 광분해가 비교적 용이하게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종자소독한 볍씨를 물로 세척했을 때 prochloraz 용출율은 처음 l회 세척시 $9.2\sim10.6%$로 최고에 이르렀으며, 세척 횟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용출율은 감소하여 4회 부터는 3% 이하로 떨어졌다. 희석액 중 농자재 첨가에 의한 prochloraz의 제거율은 석회 100 g/L 처리시 93.6%로 가장 높았으며, 돈분퇴비 90.7, 활성탄 89.4, 볏짚재 78.0, 사양토 70.3, 제오라이트 47.0, 볏짚 24.1% 순으로 감소하였다. 폐액 중 prochloraz의 분해는 석회 > 볏짚재 > 돈분퇴비 > 사양토 > 볏짚 순 이었다. 또한 유휴지 토양에 희석액을 살포한 후 prochloraz는 처리 35일에 90% 이상이 소실되었다.

Clean Natural의 Sprague-Dawley 랫드를 이용한 4주 반복경구투여 독성시험 (Four-Week Repeated Oral Toxicity Study of Clean Natural in Sprague-Dawley Rats)

  • 김의경;김준영;이후장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263-269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repeated-dose toxicities of Clean natural, a new disinfectant, in Sprague-Dawley(SD) rats. In the 4-week repeated oral toxicity study, Clean Natural was orally administered once daily via gavage to male and female rats at dose levels of 0, 500, 1,000 and 2,000 mg/kg body weight for 4-weeks. There were no deaths and clinical signs during the dosing period. In both sexe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dministered and control groups in urinalysis indicators and hematological parameters. In serum biochemistry,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sodium content was increased in the 2,000 mg/kg male group, while chlorin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2,000 mg/kg female group. Also, albumin, total cholesterol and total bilirubi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2,000 mg/kg male and female group. I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s, centrilobular hepatocellular hypertrophy in the liver was observed in the 2,000 mg/kg male and female groups. And pigmentation in the spleen was observed in the 2,000 mg/kg male group. In conclusion, four-week repeated oral dose of Clean Natural to rats did not cause apparent toxicological change at the dose less than 2,000 mg/kg body weight. Thus it is suggested that no-observed adverse-effect level(NOAEL) for Clean Natural in rats was considered to be 1,000 mg/kg/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