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 diffusion

검색결과 372건 처리시간 0.029초

항생제 대체 사료첨가제로서 매실추출 혼합물이 육계의 성장, 소화 효소 활성도 및 장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Blend of Prunus Mume Extract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Activity of Digestive Enzymes and Microflora Population in Broiler Chickens)

  • 고영현;양혜영;강선영;김은숙;장인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5호
    • /
    • pp.611-620
    • /
    • 2007
  • 1950년대 이후 어린 가축의 성장 촉진과 사료효율을 개선하고 축산물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penicillin, bacitracin 등과 같은 항생제가 사료첨가제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항생제의 작용기전은 먼저 가축체내에 존재하는 살모넬라, 대장균, 클로스트리디움 등과 같은 장내 병원성균의 세포막을 분해하여 사멸시키고(Leitner 등, 2001) 소장 흡수세포벽을 얇게 하여 영양소의 흡수율을 증대시켜 성장을 촉진시킨다고 알려져 있다(Ravindran 등, 1984; Collington 등, 1990). 그러나 가축 생산성 증대와 같은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항생물질이 고기, 우유, 계란 등의 축산물에 잔류될 수 있다는 점과 축산물을 통하여 섭취된 항생물질이 인체의 내성을 증가시켜 항생물질에 대하여 저항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일부 부정적인 효과가 밝혀지면서 최근 항생제의 사용에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Lee 등, 2001). 스웨덴, 덴마크 등과 같은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가축 사료첨가제로서 항생제 사용이 금지 또는 극도로 제한되고 있다. 최근 이와 같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사료에 첨가되는 항생제를 53종에서 25종으로 대폭 축소하고, 2012년 농장에 대한 HACCP 제도를 도입하는 등 사료 위생관리를 엄격히 관리하는 단계로 접어들면서, 항생제를 대치 할 수 있는 대체제제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축산식품 소비자는 물론 생산자를 위해서도 사료에 첨가되는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안전성이 확보된 후보 물질의 연구 개발 및 효능 연구는 미래 지속가능한 동물산업을 위해 필연적으로 해결해야만 하는 향후의 숙제이다. 이러한 사실과 더불어 국민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웰빙에 대한 관심 고조로 동물성 식품에 대한 선호도가 양 보다는 질 위주로 급격하게 변화되고 있어 천연자원을 이용한 다양한 항생제 대체 사료첨가제의 개발이 주목을 받고 있는바, 본 연구에서 사용된 매실(Prunus mume)은 섬유소, 탄닌과 무기물이 풍부하고 시트릭산(구연산) 등을 포함한 각종 유기산이 다량 함유된 것으로(임, 1999), 한방과 민간에서 잎, 청매(미성숙 매실)는 살균, 구충, 해독, 해열 등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는 한약제로 널이 이용되고 있다. 매실의 효능은 다양한 연구에서 항균작용(이 등, 2003), 항산화작용(한 등, 2001), 간 기능 증진(서 등, 1990) 등의 효과들이 과학적으로 검정되었다. 특히 매실의 항균작용 연구에서 매실추출물로서 paper disc법으로 항균작용을 조사한 결과 그람(+) 세균인 Micrococcus leteus, Bacillus subtilis, Staphy- lococcus aureus 등과 그람(-) 세균인 E. coli. Salmonella typhimurium, Proteus vulgaris 등에 효과적인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임, 1999; 이 등, 2003). 또한 유기산의 일종은 유산(lactic acid)은 이미 위장관의 환경을 긍정적으로 조절하여 가축 사료첨가제로서 상당히 많이 이용되고 있다(van de Broek, 2000). 그러나 장관내 환경조절물질로서 고품질의 축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천연 소재인 매실 또는 그 부산물을 이용하여 가축 사료첨가제로서의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연구한 사례는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매실추출 혼합물의 in vitro 항균효과를 검정하고 이를 근거로 육계사료에 위장관 환경조절제로서 매실추출물 및 유산(lactic aicd) 그리고 항산화제로서 포도씨앗추출물을 혼합한 제제를 급여하여 성장 및 사료효율, 혈액성상, 소장의 소화 효소 활성도 및 세균총에 미치는 작용에 대하여 조사하여 항생제 대체제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소아 침습성 폐구균 감염증의 역학적 특성과 임상 양상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Invasive Pneumococcal Infections in Children)

  • 송은경;이준호;김남희;이진아;김동호;박기원;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2권2호
    • /
    • pp.140-148
    • /
    • 2005
  • 목 적 : 폐구균은 소아에서 침습성 감염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균의 하나이나 국내에는 소아 침습성 감염 양상에 대한 연구가 극히 제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소아에서 발생한 침습성 폐구균 감염증의 역학적 특성, 임상 양상, 사망률 등을 파악하고, 침습성 폐구균 감염증을 일으킨 균의 혈청형 및 항생제 감수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85년 10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19년간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미생물학적으로 확인된 침습성 폐구균 감염증으로 진단받았던 16세 이하의 환자 19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분석하였다. 분리된 모든 균주에 대하여 oxacillin disc 확산법으로 페니실린 감수성을 검사하였고 125균주에서 혈청형을 결정하였다. 결 과 : 19년간 192명의 환아에서 194례의 침습성 폐구균 감염이 확인되었으며, 면역기능 저하가 동반되지 않은 환자가 43%, 기저질환에 의한 면역 기능 저하가 동반된 환자가 57%였고, 20%가 병원 감염이었다. 면역 기능이 정상인 환자에서 균혈증이 27%, 수막염이 39%, 균혈증 또는 농흉이 동반된 폐렴이 26%, 봉와직염 등 연조직 감염이 4%, 골 및 관절의 감염이 4%였으며, 연령별로는 2세 이하가 60%, 2세에서 5세 이하가 27%, 5세 이상이 13%를 차지하였다. 기저 질환에 의한 면역 저하가 동반된 환자에서는 균혈증이 55%, 뇌수막염이 3%, 균혈증 또는 농흉이 동반된 폐렴이 16%, 복막염이 22%, 봉와직염 등 연조직 감염이 3%, 골 및 관절의 감염이 1%였으며, 연령별로는 2세 이하가 25%, 2세에서 5세 이하가 23%, 5세 이상이 52%를 차지하였다. 125균주의 혈청형을 분석하였고 이중 23F, 19F, 14, 6B, 6A, 9V, 19A형이 73%를 차지하였다. 사망률은 7%이었으며, 이중 면역저하가 동반된 경우가 62%였다. 전체적으로 페니실린 내성률은 65%였다. 결 론 : 폐구균은 소아에서 다양한 종류의 침습성 감염을 일으키며, 주로 봄에 많이 발생하였고, 면역 기능이 정상인 소아에서는 주로 5세 이하에서 발생하나 면역 기능 저하 환자에서는 연장아에서도 흔히 발생하였다. 7가 단백 결합백신에 포함된 혈청형은 66%(교차반응 포함 시 79%)였고, 최근 수년 사이에 페니실린 내성균주의 빈도는 90% 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 PDF

제호탕의 장내 세균 및 면역 활성에 미치는 연구 (Effect of Jehotang Extract on the Growth of Intestinal Bacteria and Immunostimulation)

  • 지명순;박민정;이미영;김종군;고병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04-108
    • /
    • 2006
  • 한국의 전통 음료인 제호탕의 장내 개선 효능을 조사하기 위해 제호탕 열수 추출물을 Modified EG 액체배지에 처리하고 장내 균총 중 대표적인 유익균인 B. logum, Lactobacillus sp.와 L. acidophilus, C. perferingens 균주를 접종하여 생육 활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제호탕 열수 추출물의 농도를 0.1 mg/mL로 처리 시에 B. longum과 Lactobacilus 균주의 생육 활성 효과가 우수하였다. 특히 제호탕 열수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해 L. acidophilus 균주의 생육을 최대 1.8배 상승시켜 젖산균의 생육인자를 함유할 것으로 추정된다. 장내 세균의 활성 효과를 한천배지상에서 재확인한 결과, Lactobacillus sp.와 L. acidophilus 균주는 제호탕 열수 추출물의 농도를 10 mg/disc로 실시하였을 때 직경 12 mm와 24 mm의 높은 생육 활성환을 나타내었다. In vitro에서 제호탕 열수 추출물이 비장과 Peyer's patch 면역세포 증식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제호탕 열수 추출물의 농도를 1 mg/mL로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비장세포는 1.4배, Peyer's patch 세포는 1.6배 상승하여 비장세포보다 장관 면역을 담당하는 Peyer's patch 세포의 증식을 촉진시켰다. 제호탕 열수 추출물의 섭취에 따른 장내 분비 IgA 양은 대조군에 비해 평균적으로 2.4배 증가하여 제호탕 열수 추출물이 장내 면역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제호탕 열수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후 혈액성분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lymphocytes는 4% 감소한 반면에 granulocytes는 4% 증가했고 platelet이 상승했으며 다른 혈액 성분 변화를 관찰되지 않았다. 향후 제호탕 열수 추출물이 in vivo에서 관찰된 면역 세포의 변화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32, 후지0.053, 홍옥 0.041, 신흥, 0.0370로서 품종간의 차이가 인정되었다. 품종 별 fructose와 glucose 함유비율(fructose/glucose)은 쓰가루 2.295, 후지2.244, 홍옥 2.161 그리고 신흥 2.393이었다.성이 높아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식품으로 기능성 식품 및 산업 소재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경우는 채식남학생 54.6%, 비채식남학생 16.7%, 채식여학생은 38.2%, 비채식여학생이 16.8%이었다. 우유 및 유제품을 매일 섭취하는 경우는 채식남학생 6.1%, 비채식남학생 33.3%, 채식여학생 14.7%, 비채식여학생은 21.8%이었으며, 녹차, 커피 등 차를 마시지 않는다는 비율은 채식남학생 69.7%, 비채식남학생 28.6%, 채식여학생 29.4%, 비채식여학생 25.7%이었다. 인스턴트 식품을 매일 섭취한다는 응답율이 채식남학생 9.1%, 비채식남학생 21.4%, 채식여학생은 17.7%, 비채식여학생은 14.9%이었다. 6. 운동, 체중 조절 등에 대한 조사 결과 항상 운동을 하는 경우는 채식남학생 30.3%, 비채식남학생 28.6%, 채식여학생 14.7%, 비채식여학생 18.8%이었으며 운동시간은 $1{\sim}2$시간 하는 경우는 채식남학생 30.3%, 비채식남학생 38.1%, 채식여학생은 8.8%, 비채식여학생은 17.8%이었다. 체중에 만족하는 정도를 보면 채식남학생 57.6%, 비채식남학생 23.8%, 채식여학생은 23.5%, 비채식여학생은 15.8%가 만족한다고 하였다. 체중 조절 경험에서 경험이 있는 경우가 채식남학생 3.0%, 비채식남학생 31.0%, 채식여학생은 23.5%, 비채식여학생 31.7%이었다. 7. 골밀도 BQI값과와 몇가지 요인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때, 채식남학생은 영양보충제의 섭취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해조류의 섭취정도와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피부 병원균에 대한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항균 시너지 효과 (Synergistic Antimicrobial Effect of Sargassum serratifolium (C. Agardh) C. Agardh Extract against Human Skin Pathogens)

  • 김윤혜;김지훈;김덕훈;김송희;김형락;김영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41-246
    • /
    • 2016
  • S. aureus, S. epidermidis, P. aeruginosa, P. acnes와 C. albicans는 사람의 피부에서 발생하는 질병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대표적인 병원성 미생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 중에서도 항균 활성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모자반을 대상으로 피부 병원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조사하였다. 국내의 연해에 자생하는 7종의 모자반 추출물 중에서 disc diffusion assay와 MIC assay를 통해 가장 뛰어난 항균 효과를 나타낸 톱니모자반을 후속 연구를 위한 후보 물질로 선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톱니모자반 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층 중에서, 노말-헥세인 분획층이 S. aureus, S. epidermidis, P. aeruginosa, P. acnes 및 C. albicans에 대한 MIC값이 $32-256{\mu}g/mL$로 가장 뛰어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피부 병원균들에 대한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지만 내성균의 출현으로 효능이 거의 없는 항생제들인 테트라사이클린, 에리트로마이신, 린코마이신과 플루코나졸과 항균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난 톱니모자반의 노말-헥세인 분획층과의 병용 사용에 의한 항균 시너지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톱니모자반 노말-헥세인 분획층과 이들 항생제와의 병용 사용에 의해 피부 병원균에 대한 항생제와 톱니모자반 노말-헥세인 분획층의 MIC값이 4-32배 감소되었고, 톱니모자반 노말-헥세인 분획층과 이들 항생제와의 병용 시 median FIC값이 0.26-0.55로 항균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항생제와 톱니모자반 노말-헥세인 분획층과의 병용 사용은 피부 병원균에 대한 이들 항생제의 감수성을 회복시키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고버섯(Lentinus edodes)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Lentinus edodes)

  • 한소라;김미진;오태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8호
    • /
    • pp.1144-1149
    • /
    • 2015
  • 식용 표고버섯을 acetone, ethyl acetate 및 ethanol 등 여러 용매로 추출하여 각 추출용매에 따른 표고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은 최소 농도인 98 mg/mL에 맞추어 모든 실험을 진행하였다. 표고버섯의 폴리페놀 함량은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극성이 큰 ethanol 추출물이 acetone 추출물과 ethyl acetate 추출물보다 다소 높게 조사되었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ethyl acetate와 acetone 추출물이 ethanol 추출물보다 다소 높게 조사되었다.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낮았지만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ABTS 라디칼 소거능은 86.8~98.5%로 표준물질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보다 좀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표고버섯의 다재 내성 관련 항균 활성은 ethyl acetate 추출물이 6종의 다제 내성 균주인 3종의 그람 양성균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및 Micrococcus luteus와 3종의 그람 음성균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및 Enterobacter cloacae 등 모두에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B. subtilis에 대하여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P. aeruginosa, M. luteus, Ent. cloacae 및 B. subtilis에서는 acetone, ethyl acetate 및 ethanol 추출물 모두에서 항균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산양 유즙으로부터 분리된 세균의 분포 및 항균제 감수성 검사 (Isola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microorganisms from milk samples of dairy goat)

  • 김혜라;정지영;김선득;박준영;조인영;신성식;손창호;오기석;허태영;정영훈;최창용;서국현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5-305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microorganisms from half milk samples of dairy goats by California mastitis test (CMT) during the lactation period and to further investigate the susceptibility of isolated organisms to antimicrobial drugs. From a total of 235 half milk samples with CMT scores of 2 or above from 366 dairy goats distributed throughout Jeonnam province,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198 (83.5%) samples either singly (99.0%) or in combination (1.0%). The most prevalent microorganism was the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spp., (44.4%, n=88) followed by Staphylococcus aureus (24.2%, n=48), Escherichia coli (11.1%, n=22) and Streptococcus spp. (7.6%, n=15). Isolated bacteria also included Bacillus spp. (2.5%, n=5), Pseudomonas spp. (2.5%, n=5), Micrococcus spp. (1.5%, n=3), Corynebacterium spp. (1.5%, n=3), Enterococcus facium (1.0%, n=2), Morganella morganii (0.5%, n=1) and Streptococcus agalactiae (0.5%, n=1). During the summer season, a high prevalence of all microorganisms were observed in which Staphylococcus spp. (30.8%), Escherichia coli (8.6%), and Streptococcus spp. (5.6%) were among the most prevalent bacteria isolated. Staphylococcus spp. was also shown to be high in the winter (21.7%). In most samples, the presence of bacterial pathogens in goat milk led to the increase in the total somatic cell count (SCC). Most of the half milk samples of dairy goats with bacterial contamination showed SCC of ${\geq}1{\times}10^6cells/ml$ (90.4%). Minor pathogens (11.4%) were more detected from milk samples with SCC of < $1{\times}10^6cells/ml$ than major pathogens (4.1%), while the major pathogens tended to be higher from samples with SCC of ${\geq}3{\times}10^6cells/ml$. Susceptibility of these bacteria to 12 antimicrobial agents was tested by the Kirby-Bauer disc diffusion method. Results indicated that more than 90% of bacteria isolated from CMT 2+ dairy goat half milk samples were susceptible to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amoxicillin/clavulanic, enrofloxacin and cephalothin while they were resistant to tetracycline (44.7%).

와송(Orostachys japonicus) 용매별 분획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및 암세포 독성 비교 (In vitro Comparis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 김승미;박정훈;부희옥;송상기;박현용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3-143
    • /
    • 2017
  • 와송 ethylacetate 분획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634.48{\mu}g/m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05.20{\mu}g/mg$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 활성을 보면, ethylacetate 분획추출물의 1 mg/ml 농도에서 DPPH radical, ABTS radical 소거능은 95% 이상으로, ascorbic acid의 97%의 소거능과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여 높은 항산화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산화효소 활성의 경우, APX 및 CAT 효소 활성은 $1125.89{\mu}mol$ ascorbate oxidized/min/mg protein, 119.87mmol $H_2O_2$ decomposed/min/mg protein 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균활성은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aureus, Malassezia furfur 균주에서 항생제 kanamycin보다 큰 저해환을 형성하여 높은 항균력이 확인되었다. 또한 와송의 용매분획별 추출물의 인체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증식억제 효과는 특히 ethylacetate 분획추출물에서 폐암, 유방암에 대해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종합하면 와송의 ethylacetate 분획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항산화제와, 천연 항균제로서의 개발 가치가 높은 것으로 기대되어 경제성 있는 천연소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최근 5년간 인천지역 설사환자에서 분리한 Salmonella Enteritidis와 Salmonella Typhimurium의 항생제 내성 양상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s of Salmonella Enteritidis and Salmonella Typhimurium Isolated from Diarrhea Patients in Incheon between 2008 and 2012)

  • 장재선;이제만;공용우;이미연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39-246
    • /
    • 2013
  • Objectives: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multidrug resistance patterns have been studied with a total of 189 samples of Salmonella Enteritidis and Salmonella Typhimurium isolated from diarrhea patients in Incheon from 2008 to 2012. Methods: Antimicrobial resistance tests were determined by Disc Diffusion method. Results: The serological distribution of Salmonella spp. showed 108 strains (30.1%) of S. Enteritidis, 81 strains (22.6%) of S. Typhimirium, eight strains (8.0%) of S. Typhi, 11 strains ( 3.1% ) of S. Paratyphi, and the 151 other strains (42.1%). The separation rate of Salmonella spp. by year showed 14.5% (52 strains) in 2008, 13.6% (49 strains) in 2009, 22.8% (82 strains) in 2010, 25.3% (91 strains) in 2011, and 23.7% (85 strains) in 2012. Additionally, the separation rate of S. Enteritidis and S. Typhimirium in 2010 was the highest. The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diarrhea pati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p<0.05), gender (p<0.01) and medical institution (p<0.05). The highest resistance was found to the following antimicrobial agents: imipenem 77 strains, ampicillin 47 strains, ciprofloxacin 34 strains, nalidixic acid 29 strains for S. Enteritidis, and ampicillin 45 strains, nalidixic acid 45 strains for S. Typhimurium. Separated S. Enteritidis and S. Typhimurium resistance to the antibiotics by the yea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The patterns of multidrug resistance rates were 43.1% (47 strains) for one drug, 8.3% (9 strains) for two drugs, 11.0% (12 strains) for three drugs, 15.62% (17 strains) for four drugs, and 13.7% (15 strains) for five or more drugs for S. Enteritidis. For S. Tyhpimurium, the rates were 15.0% (12 strains) for one drug, 10.0% (8 strains) for two drugs, 6.3% (five strains) for three drugs, 18.7% (15 strains) for four drugs, and 23.8% (19 strains) for five or more drugs. Conclusion: The antibiotic resistance issue is directly related to people's lives. Thus, the usage of antibiotics should be reduced in order to manage antibiotic resistance.

감초 추출물이 항생제 내성균주의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 (Antimicrobial Effect of Extract of Glycyrrhiza uralensis o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이지원;지영주;유미희;임효권;황보미향;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56-46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항생제 내성균에 대해 그 항균효과를 천연의 약용식물을 이용하여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비교해보고 천연항균제의 개발에 우선하여 직접 식품에 첨가하여 그 효과를 검색하고자 하였다. 병원내감염의 주된 원인균으로 알려진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aureus)은 여러 항균제에 대하여 내성을 획득함으로써 질병의 치료를 어렵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이러한 내성균은 다양한 방법으로 동 식물에 빠르게 전파되고 있으므로 소비자가 내성균을 지닌 식품을 섭취해 잠재적인 내성균을 보유하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이러한 항생제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 aureus, MRSA)에 대해 천연 약용 식물 중 우수한 항균력을 가지는 감초를 순차 분획하여 각 분획물을 이용한 MRSA에 대한 항균 활성을 알아본 결과 hexane, chloroform 분획물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동일농도의 생육저해비교 실험에서 대부분의 내성균주에 대해 대조군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 penicillin에 비해 감초분획물이 대수기를 넘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중 chloroform 분획물이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RT-PCR을 통하여 표준균주와 내성균주의 내성 정도와 내성 유전자를 관찰해본 결과 KCCM 40510은 내성획득유전자인 mecA, mecRI, mecI, femA에 발현이 높게 나타나 고도내성균임을 알 수 있었으며, 고도내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이용하여 감초의 chloroform 분획물을 농도별로($50,\;100,\;250\;{\mu}/mL$)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유전자 발현이 억제됨을 볼 수 있었다. 특히 고도내성균주인 KCCM 40510은 메티실린 내성을 상승시키는 mecA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mecRI 유전자의 pathway와 상응하는 것으로 보여지므로 감초가 이러한 고도내성균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SEM을 통한 형태학적 관찰을 통해 분획물 처리 시 세포벽이 파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감초추출물을 직접 식품에 첨가하여 내성 균주에 대한 억제 효과도 확인한 결과 추출물 200mg/100mL 농도에서 포도상구균에 대해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Bioluminescence 반응에 의한 ATP측정을 이용한 젖소 유방염 치료에 관한 연구 (Treatment test for bovine mastitis by the determination of ATP based on firefly bioluminescence)

  • 김태종;김종배;이승배;전용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93-405
    • /
    • 198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treatment test for bovine mastitis by the determination of adenosine triphosphate (ATP) based on firefly bioluminescence. The results obtained are followed; 1. In the susceptibility test, cephalothin which looks the most effective were sensitive to Staphylococcus sp. (72.3%), Micrococcus sp. (84.2%), Streptococcus sp. (72.7%) and Gram positive bacilli (72.7%), Gram negative bacilli were sensitive to gentamicin (92.3%) and Yeast-like-fungi was the most sensitive to clotrimazole, and nystatin in order. 2. When the number of bacteria,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Candida tropicalis isolated from the mastitis milk were counted by conventional agar plating technique, and compared with the concentration of bacterial ATP, it gave a good linear relationship. The content of ATP per Staphylococcus aureus, cell was 3.1fM and Candida tropicalis showed the high level of A TP (90fM). 3. The ATP assay was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various antibiotics. When Staphylococcus aureus was incubated in the presence of different concentration of tetracycline, erythromycin, kanamycin and streptomycin sulfate and the growth was monitored by the conventional agar plating technique and ATP assay, both methods shown the same results that they were 1mcg/ml, 2mcg/ml, 6.25mcg/ml and 8mcg/ml, respectively. 4. For the determination of susceptibility of sensitive and resistant Staphylococcus au reus isolated for the milk with mastitis to tetracycline, erythromycin kanamycin and streptomycin sulfate, the minimum time required for the test was determined by the assay of ATP every 30 minutes during incubation of 3 hours at $37^{\circ}C$. ATP concentration time curve calculated on both resistant and sensitive strains incubated 3 hours as the optimum time for the determination of susceptibilities of various antibiotics exemed. The ATP concentration of each test broth (antibiotic containing),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its own control brith (antibioticfree) indicated values of 30% to be indicative of each antibiotic sensitivity. Single time point ATP assay carried out on the various sensitive and resistant of Staphylococcus aureus to antibiotics examined after 3 hours at $37^{\circ}C$ correlated exactly with disc diffusion and MIC. 5. In the cure of intramammary treatment of bovine mastitis in lactating quarters, the cure rate of Staphylococcal mastitis showed to cephalexin (80%), cloxacillin and gentamicin (70%), ampicillin and oxytetracycline (60%), and Streptococcal mastitis showed to cephalexin (85%), penicillin (80%), cloxacillin and oxytetracycline (75%), and ampicillin (70%), but intramammary antimycotic drug (clotrimazol) were only a little effect about fungal mastit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