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c diffusion

검색결과 372건 처리시간 0.023초

35종 해조류 추출물의 병원성 세균 및 Candida sp. 진균에 대한 항균 활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35 Seaweed Extracts against Pathogenic Bacteria and Candida sp.)

  • 김미선;권경진;이민진;안선미;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4-151
    • /
    • 2012
  • 해양생물 유래의 기능성 물질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35종 해조류로부터 메탄올 추출물을 조제하여 항생제 내성균주를 포함한 다양한 세균 및 진균에 대한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패, 넓패, 알쏭이 모자반 및 야마다 모자반에서 광범위한 세균에 대해 우수한 항세균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4종과 함께 곰피, 대황, 감태 및 톳의 8종에서 Candida albicans 생육억제력을 확인하였다. 이중 패, 넓패, 야마다모자반 추출물은 500 ${\mu}g/mL$ 농도에서 55-93%의 인간적혈구 용혈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8종 해조류의 메탄올 추출물을 n-hexane, ethylacetate, butanol을 이용하여 순차적 용매 분획물과 물 잔류물을 조제하여 다양한 Candida sp.에 대한 항균력을 평가한 결과, 패 및 넓패로부터 C. albicans 및 항생제 내성 Candida sp.에 대한 신규의 항균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해조류 특히 패, 넓패, 알송이모자반, 야마다모자반이 다양한 세균 및 항생제 내성진균의 제어를 위한 생물자원으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목초액의 항균활성과 페놀화합물의 함량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Phenolic Compounds of Pyroligneous Liquor)

  • 김종수;박승우;함유식;정수근;이상한;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70-475
    • /
    • 2005
  • 목초액의 천연보존료로서의 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기계식 전용탄화로에서 제조된 목초액을 대상으로 항균활성과 총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하였다.목초액을 농축하여 얻은 조추출물과 극성에 따라 분획한 용매분획물의 항균성을 측정한 결과 식중독균인 Salmonella enteritidis, Escherichia coli O157, Shigella sonnei, Yersinia enterocolitica,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하여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hexane 분획과 ethyl acetate 분획이 다른 분획보다 항균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균종별로는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등 그람 양성균이 그람 음성균에 비하여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최소생육저해농도는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두 분획 모두 125 μg/mL의 농도에서 생육을 억제하여 가장 높은 항균성을 보였고, Yersinia enterocolitica와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ethyl acetate 분획은 250 ${\mu}g/mL$ hexane 분획은 500 ${\mu}g/mL$의 농도에서 생육을 억제하였고 대부분의 다른 균에서도 hexane 분획과 ethyl acetate 분획은 500 ${\mu}g/mL$~1,000 ${\mu}g/mL$ 농도에서 생육을 억제하였다. 목초액의 ethyl acetate 분획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한 후 항균성을 시험한 결과 P-1과 P-2 fraction에서 강한 항균성 물질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목초액의 조추출물과 용매분획물의 총페놀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과 hexane 분획이 각각 488.3 mg/g와 403.8 mg/g으로 다른 분획에 비해 페놀성 물질의 함량이 높게 나타나 목초액의 항균성 물질은 페놀성 물질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국산 프로폴리스의 Helicobacter pyrori 억제효과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of Korean Propolis)

  • 한상미;홍인표;우순옥;김세건;장혜리;장재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3-78
    • /
    • 2016
  • Propolis possesses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anaesthetic and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d 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of eight propolis ethanolic extracts form different region in Korea.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ight Korean propolis was investicated by absorption spectrophotomety and UHPLC. Total penolic and total flavonoids content ranged between $21{\pm}1.5$ and $31{\pm}1.8$ gallic acid g/100 g and $7.2{\pm}0.9$ and $24.4{\pm}1.9$ quercetin g/100 g, respectively. The p-coumaric acid as standard components content ranged between $0.29{\pm}0.00$ and $2.34{\pm}0.02mg/g$ using UHPLC. Cinnamic acid content between $0.43{\pm}0.00$ and $1.33{\pm}0.01mg/g$. 80% ethanolic extract of propolis against H. pylori was evaluated by using the disc diffusion method. Ethanol was used as a control. Mean diameters of H. pylori growth inhibition using $10{\mu}g/mL$, $50{\mu}g/mL$ or $100{\mu}g/mL$ ethanol propolis per disc were 0, ranging from 0.9 to 2.1 mm and from 1.9 to 3.5 mm, respectively. In conclusion, variation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propolis were mainly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preferred regional plants visited by honeybees. Also Korean propolis possesses considerabl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 pylori. There was not confirmed a correlation between the chemical composion contens and anti-H. pylori effect. The potential of propolis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H. pylori infection is worth further extensive evaluation.

바닷물과 조개에서 패혈증비브리오균 증식에 대한 천연물의 항균 효과 (Antibacterial effects of natural products on Vibrio vulnificus growth in seawater and shellfish)

  • 홍영진;류필열;김승용;염경민;박정업;조세진;궈루이홍;트란더베치;진항;김영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89-9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패혈증비브리오균에 대한 PEM, RCM, RRM과 CTM 메탄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평가하였다. 96-well microplates를 사용한 액체 배양법 실험 결과 4가지 천연물은 200 ㎍/mL 농도에서 80%이상의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페이퍼디스크 확산법을 사용하여 항균 활성을 평가한 결과 4가지 천연물은 20, 40 mg/disc의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패혈증비브리오균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다음으로 4가지 천연물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MTS assay를 통해 HeLa 세포에 대한 독성을 확인한 결과 100, 200 ㎍/mL의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LDH assay를 사용하여 패혈증비브리오균의 HeLa 세포에 대한 세포막 손상 억제 효과를 평가한 결과 PEM, RCM, RRM과 CTM 메탄올 추출물은 200 ㎍/mL 농도에서 세포막 손상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바닷물과 조개를 사용한 수족관 모델에서 4가지 천연물의 메탄올 추출물 혼합액 200 ㎍/mL 농도는 colony 생성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패혈증비브리오균의 증식을 억제 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4가지 천연물의 메탄올 추출물은 바닷물과 해산물에 존재하는 패혈증비브리오균에 대해 뛰어난 항균효과를 나타내면서 인체에는 무해한 천연소독제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순물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 균사체 배양액의 항균활성 평가 (Antimicrobial Effect of the Submerged Culture of Sparassis crispa in Soybean Curd Whey)

  • 이은지;김지은;박민주;박동철;이삼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1-120
    • /
    • 2013
  • 꽃송이 버섯 균사체 배양의 최적 조건을 확립하여 얻어진 꽃송이 버섯 균사체 배양액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색하였다. 순물에 glucose 2%를 첨가하여 10일 배양한 꽃송이 버섯 배양액은 pH 6.91, 균사체 함량은 17.76 g/L로 나타났으나, 제한 배지에서 10일 배양 후 분석한 결과, pH 3.26, 균사체 함량은 3.45 g/L로 측정되었다. 또한 순물을 이용한 버섯 배양액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511.85 mg%, 타이로신 59.6 mg%, 환원당 188.44 mg%이며, 베타글루칸 함량은 10.64%로 나타났다. 순물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 배양액의 항균활성 평가를 위해 8 종의 유해세균에 대한 꽃송이 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disk diffusion method로 항균효과를 검색하였다. B. cereus, St. aureus, L. monocytogenes, S. typhimurium 균주는 0.13 mg/disc에서 6.28 mg/disc의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나타났다. 배양액을 $85^{\circ}C$에서 15분, $100^{\circ}C$에서 5분간 열처리 후에도 항균 활성에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한외여과법을 이용하여 3 kDa 이하의 저분자 물질의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B. cereus는 34.3 mm, St. aureus는 29.3 mm, L monocytogenes는 23.7 mm, S. typhimurium는 16.7 mm로 생육 억제 환을 보였다. 미세희석법을 이용한 꽃송이 버섯의 항균물질의 최소저해농도(MIC)는 B. cereus 2.6 mg/mL, St. aureus, L. monocytogenes 12.6 mg/mL, S. typhimurium 62.8 mg/mL인 것으로 나타났다. 꽃송이 버섯 배양액의 항균물질은 열과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에 안정한 저분자 물질인 것으로 나타나 천연 항균 소재로서 산업적 활용이 기대된다.

FPLC에 의한 Staphylococcal Enterotoxin A와 C의 동시분리 (Simultaneous Purification of Enterotoxin A and C by 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aphy)

  • 이정희;김종배;신현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56-861
    • /
    • 1988
  • 본 실험은 Staphylococcus aureus의 한 균주로부터 A와 C, 두 종류의 toxin이 동시에 생성될 때 이들의 동시분리를 위하여 각종 분리방법을 연구하였다. 혼합된 toxin A와 C는 CM-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pH-gradient법으로 용출했을 때 2개의 분획이 나타났으나 서로 완전히 분리되지 않아 다량의 서로 다른 toxin이 함유되어 있었고 Sephadex G-75, Sephacryl S-300, 그리고 ultro gel을 사용한 gel filtration에서는 하나의 분획을 나타내 상호분리가 불가능 하였으며 정제도와 분리도에서 가장 뛰어난 gel column을 이용한 FPLC도 toxin A와 C를 상호분리할 수 없었다. 그러나 CM-column을 이용한 FPLC에서는 enterotoxin A는 pH 6.8에서 그리고 enterotoxin C는 pH 8.6에서 각각 분리되었으며, immunodiffusion test 결과 enterotoxin A의 분획에서는 toxin C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고 enterotoxin C의 분획에서도 toxin A가 검출되지 않았다. 용출방법에 있어서는 CM-column을 이용한 FPLC에서 pH-stepwise법이나 pH-gradient법으로 enterotoxin A와 C type을 쉽게 동시에 분리할 수 있었다.

  • PDF

In vitro 및 In vivo에서 인진쑥 추출물이 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n Intestinal Microflora In vitro and In vivo)

  • 오미현;김광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587-1594
    • /
    • 2010
  • 본 실험은 인진쑥의 용매 분획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검색하였다. 이에 따라 가장 항균활성이 좋은 인진쑥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가지고 항균활성실험을 진행하였고, 기능성 물질인 페놀류의 함량 정도에 따라 항균활성을 보여주는 지에 대하여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였고, in vivo 실험을 통하여 장내미생물 균총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인진쑥 에탄올 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로 분획하여 용매 분획물을 가지고 항균활성을 검색한 결과, paper disc agar diffusion법에서 장내유해균인 C. perfringens, C. difficile, E. limosum 및 B. fragilis 모두가 다른 용매 분획물들에 비해 클로로포름 분획물에서 생육 억제환의 크기가 가장 크게 생성되었다. 장내유익균인 B. bifidum, L. acidophilus는 인진쑥의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분획물에서 억제환이 생성되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동물실험 결과, 인진쑥 추출물은 일반식이군에 비하여 비만식이군에서 장내유해균을 억제하고 장내 유익균을 증진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인진쑥 추출물은 장내 유해균은 억제시키고, 장내 유익균은 증식시키거나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 결과, 인체 장내 균총 조성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시켜 장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인진쑥 추출물의 장내유해세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장내균총 개선을 위한 기능성식품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참쑥(Artemisia dubia) 오일의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에 대한 항바이러스 항균활성 (Anti-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rtemisia dubia Essential Oil)

  • 김종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96-402
    • /
    • 2012
  • 이 연구에서 참쑥(Artemisia dubia) 오일의 화학적 조성,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및 항균 활성을 평가하였다. 참쑥 오일로부터 질량 분석기가 장착된 가스 크로마토 그래피(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에 의해 58개의 화합물이 분석되어졌다. 그 오일의 주요한 성분은 각각 camphor (17.18%), germacrene-D (15.70%), trans(${\beta}-$)caryophyllene (6.79%), ${\beta}$-thujones (6.57%), 1, 8-cineole (5.94%) and camphene (5.08%) 순으로 나타났다. 참쑥 오일의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능을 세포독성 감소 방법 [cytopathic effect (CPE) reduction method]에 의해 베로 세포(원숭이 신장세포, Vero cells)에서 평가하였다. 그 오일은 43.7 ${\mu}g/ml$의 50% 저해농도 ($IC_{50}$)와 함께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였다. 또한 그 오일은 100 ${\mu}g/ml$ 이상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그 치료지수(therapeutic index, TI value)는 2.3 이상이였다. 리바비린(rivabirin)은 그 오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항바이러스능을 나타내었다. 다섯개 미생물(Staphylos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reptococcus pyogenes, Propionibacterium acnes, Candida albicans)에 대한 참쑥 오일의 항균 활성은 페이퍼 디스크 방법(paer disck diffusion method)에 의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그 오일은 5가지 미생물에 대해 8-22 mm의 투명환(clear zone)을 나타내며 항균활성을 보였다. 테스트된 미생물들 가운데 S. pyogenes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C. albicans가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참쑥 오일은 항균 및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 유래 질병을 조절하는데 응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In vitro Antibacterial Effect of Orthodontic Adhesives Mixed with Silver Nanoparticles

  • Choi, Kwon-Yong;Lee, Jong-Chan;Hwang, Yun-Chan;Chang, Seok-Woo;Kum, Kee-Yeon;Bae, Kwang-Shik;Lim, Bum-Soon;Paeng, Jun-Young;Kim, Eun-Cheol;Kwon, Ho-Beom;Kim, Young-Ho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5권1호
    • /
    • pp.7-12
    • /
    • 2012
  • Purpose: To examine the antibacterial effectiveness of silver nanoparticles (SNP) mixed with commercial orthodontic adhesives. Materials and Methods: SNP was prepared by dissolving silver perchlorate in an organic solvent and reducing it with ultraviolet radiation. SNP was then mixed with four commercial orthodontic adhesives (Light Bond, Blugloo, Transbond XT, and Fuji Ortho LC) (0.05 wt %), which were then formed into disc-shape specimens ($8.0mm{\times}3.0mm$). Commercial orthodontic adhesives containing no SNP were used as the control groups. Specimens of the four experimental and four control groups were incubated with streptococcus mutans and the medium turbidity was assessed at 3, 6, 9, 12, and 24 hours after incubation. The agar diffusion test was also performed to examine the growth inhibition zone of these groups.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a Wilcoxon rank sum test and t-test with a Bonferroni's correction (P<0.05). Result: The SNP containing groups had a superior antibacterial effec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In the agar diffusion test, the control groups without SNP did not produce an inhibition zone, whereas the SNP containing groups showed inhibition zone of 10~13 mm. Conclusion: The incorporation of SNP into orthodontic adhesives can inhibit cariogenic bacterial growth.

미나리아재비과 한약재의 항진균성 검증 및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Antifungal Properties of Ranunculaceae Herbal Medicines)

  • 임재엽;최상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393-398
    • /
    • 2024
  • 본 연구는 항진균성 천연물 의약품을 개발하기 위한 생물자원의 연구로서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한 여러 한약재의 항진균활성을 새롭게 검증하고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약재에서 진균류 생장을 저해하는 물질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찾고 추출물들에 포함된 항진균성 유용 물질을 탐색하였다. 위령선, 황련, 백두옹 한약재의 열수 추출 및 유기용매 추출을 진행하여 액체배지에서 항진균활성을 측정하였을 때 클로로포름 분획물에서 효과적인 결과를 얻었다. 또한 단세포성 진균인 Candida albicans, Candida tropi- calis, Candida lusitaniae 그리고 사상성 곰팡이인 Pythium ultimum KACC 40705, Aspergillus fumigatus, Fusarium oxysporum을 대상으로 고체배지에서 disc diffusion 실험으로 진균 성장 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백두옹 추출물은 Candida spp.에 대해서, 위령선은 사상성 곰팡에 대해서 우수한 항진균활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으로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추출물에 존재하는 항진균성 유용물질을 탐색하기 위해 GC-MS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미나리아재비과의 한약재에서 항진균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위령선에서 thur- berogenone, 황련에서 16-HCDO를 항진균성 후보물질로서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백두옹, 위령선 및 황련은 다양한 진균류에 대하여 항진균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GC-MS 분석에서 세 한약재 모두 서로 다른 항진균성 후보물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미나리아재비과 생물자원이 진균류 저항성에 대해 여러 방향으로 진화되었음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