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map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24초

급경사지 방재 및 관리를 위한 급경사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Steep Slope Prevention and Management)

  • 이경철;장용구;송지혜;강인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9호
    • /
    • pp.77-85
    • /
    • 2014
  • 현재 소방방재청에서는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을 운영 중에 있으나 급경사지정보의 입력 및 관리를 위한 기능이 단순한 DB 입력 관리 기능으로 존재하고 있어 신속하고 체계적인 급경사지 관리에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빈번한 국지성 집중호우에 의한 우면산 산사태, 춘천 산사태 등의 대규모 산사태가 증가하고 있어 급경사지의 위험도가 급증하고 있으며, 국가 재해 재난이 빠른 추세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 및 관리의 고도화를 위해서는 급경사지 방재 및 관리를 위한 GIS 기반의 급경사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급경사지 재해 재난에 대한 선제적 대응 및 안전한 관리를 위한 국가 차원의 GIS 기술 기반의 급경사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급경사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은 급경사지 일제조사서기반의 지표면정보와 지하공간정보의 입력 및 출력 DB를 설계 구축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한 급경사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은 지표면정보 입력모듈, 급경사지 주변 지하공간정보 DB 실시간 연계 입력모듈, V-World 배경지도 기반의 급경사지 검색 분석 관리를 위한 GIS 모듈, 급경사지정보 통합정보시스템 사용자 관리모듈, 급경사지정보 활용 연계시스템과의 실시간 연계 인터페이스모듈로 구성된다. 또한 개발한 급경사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에 대하여 자료저장률, 동시접속 시 시스템 안정성, 처리속도의 일관성에 대한 안정성테스트를 수행하여 급경사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연결성을 확보하였다.

2차원 침수해석과 BIM 기술을 활용한 홍수재난 대피지도 작성 (Development of a Flood Disaster Evacuation Map Using Two-dimensional Flood Analysis and BIM Technology)

  • 정창삼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53-6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2차원 흐름 해석 모형인 Hydro_AS-2D 모형을 이용하여 해수면 상승과 극한 홍수 발생 시 창원시 성산구 및 의창구 일대의 침수피해 상황을 모의하고, 그 결과를 3차원 지형 상에 표출한 후 BIM 기술을 이용하여 최적 대피경로를 도출하였다. 기후변화는 홍수재해 측면에서 크게 두 가지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데 해수면 상승과 극한 강우사상의 증가이다. 해수면 상승은 그 자체만으로 연안지역에 해수가 범람하여 침수현상을 유발하는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천의 기점 홍수위를 상승시켜 하천 전체에 걸쳐 홍수위 상승을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의한 해수위 상승과 태풍에 의한 폭풍해일에 의한 해수위 상승, 그리고 태풍에 의한 극한 강우사상을 모의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창원시의 지형공간정보와 하천정비기본계획의 하천횡단 정보를 이용하여 유역전체의 3차원 공간정보로 구성하고 이를 수치모형화 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BIM 기술을 이용하여 3차원 지형정보 상에 건물의 층고, 대피소 위치 등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3차원 도시정보모델로 구축하였으며, 수치모의 결과를 이 모델 상에 표출하고 대피계획을 위한 분석에 사용하였다. 침수발생 시 대피경로는 시간에 따른 침수 범위의 변화에 따라 대피소로의 경로를 설정하는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되며, 설정된 경로는 직관적인 3차원 공간정보 상에 표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고정익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공간정보 구축의 활용성 평가 (Availability Evaluation for Genera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Fixed Wing UAV)

  • 박영진;정갑용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59-164
    • /
    • 2014
  • 최근 재해 예방 및 공간정보 구축 분야에 경제적이고, 효율이 높은 무인항공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무인항공기에 대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정확도 검증이나 활용성 평가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정익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DSM과 정사영상을 생성하고, GNSS 측량과 비교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연구를 통해 무인항공기에 의한 정사영상은 축척 1:1,000 수치지도 갱신에 활용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상라이다를 이용하는 방법과 인력 및 시간의 비교를 통해 고정익 무인항공기의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재난 영상의 위치변조에 대한 검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Verification for Modific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in Disaster Image Transmitting Through a Smart-phone)

  • 서태웅;이성렬;배병철;윤이중;김창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42-249
    • /
    • 2012
  • 위치기반 서비스와 융합 관제시스템의 활용 가치가 높아지면서, 스마트폰과 같이 영상촬영, 무선통신, GPS, 전자지도 등과 같은 다양한 기술이 통합된 형태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영상정보, 위치정보 등을 웹서비스를 통해 통합하여 송수신하기에 적합하지만, 그 정보들이 위 변조되어 사용될 경우 악용될 소지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수집 및 전송되는 영상정보와 이미지 파일의 EXIF에 저장되는 위치정보에 대한 무단 변경 및 전송 실험을 수행하고, 데이터 검증을 위한 기술들을 조사하였다. 더불어 지오코딩을 이용한 좌표-주소매칭분석, 워터마킹, 암호화 등을 고려한 보안관제 프로토타입을 설계했다.

실감미디어 동영상정보를 이용한 실내 공간 정보 제공 시스템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System for Indoor Area by using the Immersive Media's Video Information)

  • 이상윤;안희학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57-166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the interior space information using 6D-360 degree immersive media video information. And we implement the augmented reality, which includes a variety of information such as position information, movement information of the specific location in the interior space GPS signal does not reach the position information. Augmented reality containing the 6D-360 degree immersive media video information provides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three dimensional space image information to identify the exact location of a user in an interior space of a moving object as well as a fixed interior space. This paper constitutes a three dimensional image database based on the 6D-360 degree immersive media video information and provides augmented reality service. Therefore, to map the various information to 6D-360 degree immersive media video information, the user can check the plant in the same environment as the actual. It suggests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for the emergency escape and repair to the passengers and employees.

전문가 의사결정의 인지적 인과지도에 관한 연구: 세월호 참사 구조 과정을 중심으로 (System Thinking Analysis on The Expert Decision Making: Focusing on The Rescue Process of Se-Wol Accident)

  • 양정호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6권2호
    • /
    • pp.5-32
    • /
    • 2015
  • Last year, a disastrous accident happened on the sea. Car ferry Se-wol which was on its way from In-cheon to Je-ju sank in the middle of the western sea. 304 passengers were drowned at the sea in the accident. There were no passengers who were waiting on board ship rescued in the accident.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attern of decision making in the middle of saving a life, right after Se-wol was about to sink.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is decision making on the rescue by rescue corps with no expert knowledge at the initial stage. When it comes to saving victims, there was no expert on rescue on the sea. Failure in rescue at Se-wol disaster lets us find a vicious circle of positive feedback loop. Experts with no experience act like well-qualified persons. Unqualified persons(leaders) have no expertise. Those who pretend to be expert occupy the important post in the hierarchy. It means we could not accumulate expertise of know-how in rescue division. That's why a vicious circle of positive feedback is formed in areas of disasters. It is necessary to train experts in Government Organizations to weaken the vicious circle of positive feedback.

결정론적 모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 예측 (Prediction of Potential Landslide Sites Using Deterministic model)

  • 차경섭;장병욱;이행우;노수각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지반공학 공동 학술발표회
    • /
    • pp.655-662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a prediction system of potential landslide sites to apply to the prevention of landslide disaster which occurred during the heavy rainfall in the rainy season. The system was developed by combining a modified slope stability analysis model and a hydrological model. The modified slope stability analysis model, which was improved from 1-D infinite slope stability analysis model, has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of the flexion of the hill slopes. To evaluate its applicability to the prediction of landslides, the data of actual landslides were plotted on the predicted areas on the GIS map. The matching rate of this model to the actual data was 92.4%. And the relations between wetness index and landform factors and potential landslide were analyzed.

  • PDF

병렬 FEM 모형을 이용한 198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1983 Central East Sea Tsunami by Parallel FEM Model)

  • 최병호;에핌페리놉스키;홍성진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1-34
    • /
    • 2006
  • 지진해일 위험재해도의 작성과 재해경감대책 수립을 위해서는 연안역의 상세한 수심 및 지형을 이용한 범람 시뮬레이션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eowulf 병렬계산을 통해 동해 전 영역에서 정밀산정이 가능한 병렬유한요소모형을 이용하여 1983년 5월 26일 동해안에 내습한 지진해일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그 계산 결과와 관측치와의 비교결과를 제시한다. 또한, 해안에서의 지진해일고의 통계적 분포에 대해 논하며, 해안에서의 지진해일고의 파고분포가 대수정규분포를 따르는 경향을 제시한다.

무인로봇을 위한 3D 월드모델에 기초한 Binary 장애지형의 판정 (Classification of Binary Obstacle Terrain Based on 3D World Models for Unmanned Robots)

  • 진강규;이현식;이윤형;이영일;박용운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16-523
    • /
    • 2009
  • Recently, the applications of unmanned robots are increasing in various fields including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planet exploration and disaster relief. To perform their missions with success, the robots should be able to evaluate terrain's characteristics quantitatively and identify traversable regions to progress toward a goal using mounted sensors. Recently, the authors have proposed techniques that extract terrain information and analyze traversability for off-road navigation of an unmanned robot.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use of 3D world models(terrain maps) to classify obstacle and safe terrain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posed techniques. A world model is divided into several patches and each patch is classified as belonging either to an obstacle or a non-obstacle using three types of metric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on real terrain maps.

드론 원격정보를 활용한 실제증발산량의 산정: 가뭄지수를 위한 사전테스트 (Computation of Actual Evapotranspiration using Drone-based Remotely Sensed Information: Preliminary Test for a Drought Index)

  • 이근상;김성욱;함세영;이길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12호
    • /
    • pp.1653-1660
    • /
    • 2016
  • Drought is a reoccurring worldwide natural hazard that affects not only food production but also economics, health, and infrastructure. Drought monitoring is usually performed with precipitation-based indices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actual state and amount of the land surface properties. A drought index based on the actual evapotranspiration can overcome these shortcomings. The severity of a drought can be quantified by making a spatial map. The procedure for estimating actual evapotranspiration is costly and complicated, and requires land surface information.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drone-driven remotely sensed data for actual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was analyzed in this study. A drone collected data was used to calculate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nd soil-adjusted vegetation index (SAVI). The spatial resolution was 10 m with a grid of $404{\times}395$. The collected data were applied and parameterized to an actual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The result shows that drone-based data is useful for estimating actual evapotranspiration and the corresponding drought ind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