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led quality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23초

장애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Study on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Seniors)

  • 김성희
    • 재활복지
    • /
    • 제20권3호
    • /
    • pp.17-43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노인의 실태를 통해 제 특성을 파악하고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여 장애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제언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수행한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 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65세 이상 장애노인 3,181명이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를 제시하고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을 위해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성별, 연령, 배우자유무(인구학적 요인), 가구소득, 주택소유여부, 수급자여부, 공적연금 가입여부, 사회적 차별정도(사회 경제적 요인), 장애정도, 주관적 건강상태, 일상생활 도움필요정도, 일상생활 도와주는 사람유무, 도움충분여부, 혼자외출가능여부, 교통수단이용 어려움 여부, 건강검진여부(장애 및 건강요인)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장애노인 중 취약계층인 독거장애노인에 대한 돌봄서비스 등 집중적인 관심과 지원, 공 사적연금 등 다양한 소득보장을 위한 제도적 보완, 장애차별에 대한 사회적 인식 및 환경개선, 보건의료서비스 지원 및 건강관리체계 마련, 장애인복지와 노인복지의 통합적 서비스 제공, 보건과 복지의 통합적 서비스 제공 등을 제언하였다.

중증장애 가족의 돌봄과 미래기대 (Care and future expectations of families with severe disabilities)

  • 신경안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139-146
    • /
    • 2020
  • 중증장애인의 돌봄은 비장애 가족에 비해 전 생애주기에 돌봄이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중증장애 가족의 돌봄자는 일상적인 스트레스는 물론 가족 전체에 부정적인 감정을 가질 우려가 높다. 장애가족 역시 장애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생활에서 비 장애자녀나 부부간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비율이 높다. 특히 우리나라의 급격한 고령화는 장애 돌봄자의 노령화와 함께 노인장애인의 삶에도 영향을 미친다.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장애인 돌봄자의 과거와 현재 경험을 통한 현실적 지원에 대한 대안을 탐색하였으며, 미래에 대한 희망과 기대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장애 영유아에 대한 장애확인 후 지원체계나 제도에 대한 정보전달이 등급판정 기관에서부터 제공. 둘째, 장애유형이나 개별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돌봄지원'의 사회, 정치, 제도, 경제적 차원에서의 제공. 셋째, 비장애 자녀대상의 프로그램의 제공과 장애인을 포함하거나 혹은 장애가족만을 위한 힐링 프로그램의 제공. 넷째, 성인장애인을 위한 휴식과 쉼을 제공하는 공간과 프로그램의 제공. 다섯째, 장애인 노화연령을 반영한 노인장기요양제도 적용과 장애인 커뮤니티케어의 제도화이다. 이러한 대안제시를 통해 연구는 성인과 노인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논의점의 제시에 연구의 의의를 두고 있다.

영국 커뮤니티케어의 이용자 참여 기제와 한국 장애인복지서비스에 대한 함의 (Issues on User Participation in Korean Disability Services : Implications from UK Community Care)

  • 김용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3호
    • /
    • pp.363-387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 커뮤니티케어의 이용자 참여와 관련된 요소들의 검토를 통해서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서비스에서 이용자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발견한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서비스에 대한 함의는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영국의 커뮤니티케어에서 채택한 핵심적인 전략인 시장기제의 도입을 통한 소비자주의 접근은 크게 다른 서비스 환경 때문에 현재의 우리나라 장애인서비스에는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지방이양의 쟁점과 관련하여 서비스의 지방이양이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이용자의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기 위해서는 서비스의 질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먼저 정립되어야 한다. 셋째, 장애인들에게 사정받을 권리를 보장하고 이와 함께 사례관리 과정에 의해 운영되는 공식적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는 일이 필요하다. 넷째, 이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와 함께 서비스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식화된 이의제기 절차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전문가들이 이용자들의 개별적인 서비스 과정에 대한 참여뿐만 아니라 집단적인 이용자 운동의 참여에 대해서도 지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전문가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용자 참여를 견인할 수 있는 장애인운동의 역할도 동시에 강조될 필요가 있다.

  • PDF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장애아가족 통합지원서비스 사업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f Developing Integrated Supportive Service Works for the Families of Disabled Children Focus on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 오윤자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6호
    • /
    • pp.209-225
    • /
    • 2008
  • This study has been designed to develop integrated supportive service works for the families of disabled children registered in the D-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The service works are intended to improve family members' health and their growth potentials, and cover service programs of family education, counselling, culture solidarity, and information networks. There are two topics covered in this study; first, this study is to develop integrated supportive service programs for the families of disabled children, and second, the study is also to construct comprehensive strategies and plans for effective services after evaluating practical service programs. In this study, 31 families with one or more disabled children have been selected through stratified random sampling, and all the family members were observed for program effects of integrated service items developed from previously validated indices. For analysis, eight question items were made for interview and each item denotes satisfaction score ranging from 1(very dissatisfied) to 5(very satisfied) on the Likert's five point scale. Mean value of each item was counted after the program, and satisfaction scores were compared over the programs implementation. Overall, the satisfaction scores range 4.1 to 4.6, indicating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over most service program. Therefore, it is finally proposed that a longitudinal strategy model offer high quality service programs consistently for the target families, as a goal of achieving comprehensive cooperation and support exchanges between community and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be schematized.

장애인 복지시설의 급식 및 영양관리실태 (Foodservice Management i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in Korea)

  • 김연수;김기남;장남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7-193
    • /
    • 2001
  • The residents of institutional settings for the disabled people are likely to be a potentially nutritional at-risk group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nutrition and foodservice management i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The majority (85%) of the institutions was using a simple pre-set menu that consists of rice, soup or stew, kimchi, and two other side dishes. Some twelve percent of the institutions served only one side dish. The residents were consuming a diet of a low diversity with insufficient amounts of micronutrient rich foods. As a protein source, legumes and soybean curds, and eggs were served 90% and 94% of the time, while beef, pork or poultry, a better iron source, was served less than 2-3 times per month. Fruits were most infrequently served food items in these facilities with 38% of the facilities serving fruits only 2-3 times per month. With regard to the nutrition and health care management, the physical examination on the residents was conducted annually in 88.8%, routine hemoglobin measurement peformed in 66%, and nutrition education was conducted in 10.9% of the surveyed facilities. The foodservice and nutrition management manual will help ensure a safe and better quality foodservice for the disabled people, which i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 and nutrition of these people.

  • PDF

고용주의 정신장애인 고용경험에 관한 연구 (The Lived Experiences of Employers among Employment of the Mentally Disabled People)

  • 변은경;김미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3호
    • /
    • pp.33-42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 고용경험이 있는 고용주의 고용경험을 깊이 있게 연구하고자 현상학적 연구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는 고용주 9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3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모든 자료는 녹음하였으며, 자료는 Braun과 Clarke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6개의 주제모음, 12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으며, 다음과 같다. 1) 막연한 걱정에 부딪침, 2) 계속되는 설득으로 혼란스러움, 3) 내 업무의 경계가 흔들림, 4) 팀의 일원이 되어감, 5) 더 나은 정신장애인 근로자를 기대함, 6) 사업체가 단결되어 나아감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정신장애인 근로자의 고용확대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와 더불어, 정신건강분야는 정신장애인을 고용하는 고용주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의 지원이 필요하다.

재가지체장애인의 자립을 저해하는 농촌과 도시의 주거실내 환경요소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Rural and Urban Residential Interior Elements Affecting Physically Disabled's Independence)

  • 박지영;장미선;이연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32-141
    • /
    • 2016
  • For those with disabilities, the residential area is the primary place to adapt the disabilities. Since the quality of the area gives a critical impact on their quality of life, it is essential to finding the measures to creat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supports their independence.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terior elements of the houses that hinder the independence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in the rural and urban areas, and conducted a survey on a total of 80 physically challenged in Seoul and Yeongwol (40 for each area). As a result,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houses where they are currently living are hindering their independence regardless of area, and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level of inconvenience with the size of living room, size of utility room, location of room, lighting and heating environment, ventilation system, deteriorated wallpapers and finishing materials, threshold and floor level difference and humidity control.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providing the realistic measures to improve the housing environment of the physically challenged living in the rural and urban areas to be customized to them to increase their quality of life.

장애인생활시설의 조직문화가 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n the Service Quality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Living Facilities for the Disabled)

  • 신현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1-142
    • /
    • 2011
  •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 서비스의 가장 핵심적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장애인생활시설의 조직문화가 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수요자 중심의 조직문화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장애자녀 보호자와 공무원의 성년후견제도에 대한 인식비교 융복합 연구 (A Comparative Convergence Study on the Perceptions of Disabled Child Carers and Officials on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 유수진;윤선희;황문영;백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275-28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장애자녀 보호자와 공무원의 성년후견제도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고, 인권존중과 사회통합을 지향하는 제도로서의 정착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성년후견제도에 대해 보호자 68.9%, 공무원 43.9%가 인지하고 있었으며, 보호자(90.2%)와 공무원(94.3%) 모두 성년후견제도가 인권존중을 위해 유용하다고 응답하였다. 후견인으로 선호하는 유형은 보호자는 '부모', 공무원은 '전문가'였다. 개선사항으로는 조사대상 모두 '국가 전담기구 설치'가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성년후견제도가 인권존중과 사회통합에 기여하는 제도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성년후견제도에 관한 대국민 홍보, 질적인 공공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제도 전반에 대한 통합적인 지원, 관리, 감독, 홍보를 수행할 수 있는 국가차원의 전담기구 설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