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Analysis of Rural and Urban Residential Interior Elements Affecting Physically Disabled's Independence

재가지체장애인의 자립을 저해하는 농촌과 도시의 주거실내 환경요소에 대한 비교연구

  • Received : 2015.12.23
  • Accepted : 2016.01.18
  • Published : 2016.02.29

Abstract

For those with disabilities, the residential area is the primary place to adapt the disabilities. Since the quality of the area gives a critical impact on their quality of life, it is essential to finding the measures to creat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supports their independence.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terior elements of the houses that hinder the independence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in the rural and urban areas, and conducted a survey on a total of 80 physically challenged in Seoul and Yeongwol (40 for each area). As a result,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houses where they are currently living are hindering their independence regardless of area, and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level of inconvenience with the size of living room, size of utility room, location of room, lighting and heating environment, ventilation system, deteriorated wallpapers and finishing materials, threshold and floor level difference and humidity control.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providing the realistic measures to improve the housing environment of the physically challenged living in the rural and urban areas to be customized to them to increase their quality of life.

Keywords

References

  1. 강미나 외, 장애인 주거실태와 주거정책 연구, 국토연구원, 2010
  2. 국토해양부, 2009년 주거실태조사, 국토연구원, 2009
  3. 보건복지부, 제 3차 편의증진 국가종합 5개년 계획, 2010
  4. 보건복지부, 제4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 2012
  5. 이연숙, 장애인가구맞춤형 주택계획가이드라인, 주거복지시스템연구단, 디자인 메릿, 2015
  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년 장애인 실태조사, 2001
  7.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인 주거지원 방안 연구, 2010
  8. Kauffman, Geriatric Rehabilitation Manual. Churchil livingstone, Philadelphia, 1999
  9. RW Marans, Basic human needs and the housing environment, Housing People, London, 1977
  10. 김보애 외, 국내 기존 장애인주택 가이드라인의 구성체계분석,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제46권, 2015
  11. 김보애 외, 국내 장애인주택 디자인가이드라인 내용분석 연구, 한국의료복지학회, 제21권 1호, 2015
  12. 김인순, 농어촌 장애인 주거 공간의 불편요소 분석 및 환경 개선 대안 : 단독형 주거형태를 중심으로, 보조공학저널 제2권 2호, 2008
  13. 김정운 외, 재가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21권 제1호, 2013
  14. 박남희 외, 시각장애인의 주거현황 조사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논문집 제13권 5호, 2014
  15. 박미영, 신체장애인의 주거 공간 개조를 위한 체크리스트, 건국대 석사논문, 2011
  16. 박지영, 이연숙, 이동주, 관찰 및 심층인터뷰를 통한 재가장애인의 주거실태분석,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6권 2호, 2013
  17. 박지영, 장미선, 이연숙, 농촌 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저해하는 주거 실내환경 특성 사례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7권 2호, 2015
  18. 윤재영, 장애인 자립생활의 의미와 측정 : 자립생활센터 이용 장애인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박사논문, 2010
  19. 이연숙, 이동주, 박지영, 장애인 맞춤형 주택 계획 관점에서 본 농촌지역 지체장애인 주거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통권113호, 2015
  20. 이연숙, 장미선, 박지영, 지체장애인 맞춤형 주택 디자인가이드라인의 사용자 혜택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6권 6호, 2015
  21. 이윤정 외, 신체적 활동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 활동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제23권 4호, 2009
  22. 장윤정, 이연숙,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한 생활환경 개선요구조사, 대한건축학회, 제17권 3호, 2001
  23. 최은정, 자기효능강화 뇌졸중 프로그램의 효과, 서울대 박사논문, 2002
  24. 최향일, 이동성 장애인의 주택 사용실태와 개조요구, 가톨릭대 석사논문, 2002

Cited by

  1. Perceived effects of home renovation on independence of physically disabled Koreans living at home 2017, https://doi.org/10.1080/09638288.2017.1334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