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rect seeding culture of rice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6초

벼 무논골뿌림 재배에서 파종전 논 굳힘 일수 및 골깊이가 입모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ainage Duration before Seeding and Furrow Depth on Seedling Establishment and Growth in Direct Drill Seeding Culture of Rice on Puddled Soil)

  • 김상수;백남현;석순종;이선용;김종호;조동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31-536
    • /
    • 1994
  • 벼 무논골뿌림재배에 알맞는 파종 전 논 굳힘정도와 파종골깊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3년에 전 북통(미사질토양)에서 동진벼를 공시하고 논 굳힘 일수와 파종골깊이를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모율은 논 굳힘 일수가 길수록 골깊이가 얕을수록 높았으며, 원추 관입심은 논 굳힘일수가 길수록 낮아졌는데 무논골뿌림재배에 알맞는 굳힘 일수는 4일로 이때 토양의 경도는 원추 관입심으로 6∼7cm 정도이었다. 2. 줄기 매몰심도는 논 굳힘일수가 짧을수록, 골이 깊을수록 깊어졌는데 줄기 매몰정도가 낮았던 4일 또는 6일 굳히고 골깊이를 2cm로 한 처리에서는 도복이 발생하였다. 3. 출수기는 입모수가 적었던 골깊이 6cm처리에서 4cm처리보다 1∼2일이 지연되었다. 4. 쌀 수량은 2일 굳힘에서는 골깊이 2cm에서, 4일 굳힘에서는 골깊이 4cm에서, 6일 굳힘에서는 골깊이 6cm에서 가장 많았다. 5. 이상에서와 같이 미사질토양에서 벼 무논골뿌림 재배시 입모율, 도복, 및 수량을 고려한 파종 전 논 굳힘 일수는 4일로써 토양경도는 원추 관입심으로 6∼7cm이며 이때 파종골의 깊이는 4cm로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벼 건답직파 재배시 중간낙수가 생육 및 도복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idsummer Drainage on Growth and Lodging of Rice in Direct Seeding on Dry Paddy)

  • 최민규;김상수;이선용;최선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74-579
    • /
    • 1995
  • 건답직파 재배시 중간낙수처리가 도복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91년에 동률벼를 공시, 5월 1일에 휴립 세조파하고, 파종후 30일에 심수하고 심수후 20일 부터 10일 간격으로 1∼3회 낙수처리하여 도복관련형질 및 수량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 및 절간장은 낙수회수가 많을수록 짧아지고 간벽은 두꺼워졌으나, 줄기 굵기는 상시심수에서 다소 굵었다. 2. 낙수회수가 많을수록 중심고는 낮아지고 좌절중은 무거워서 도복지수는 적어졌으며, 낙수회수가 많을수록 뿌리량이 많아지고 뿌리의 심층분포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3. 도복은 상시심수에서는 심하게 발생되었으나 낙수회수가 많을수록 경감되어 2∼3회 낙수처리에서는 도복이 발생되지 않았거나 경징하였다. 4. 수량은 등숙후기(출수후 35일)에 도복이 발생되어 상시심수와 낙수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현미중의 청미비율은 낙수회수가 많을수록 감소되는 경향되었다. 5. 따라서 건답직파 재배시 심수후 20일부터 10일간격으로 2∼3회 중간낙수 처리하는 것이 도복방지를 위한 적절한 물관리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 PDF

직파재배(直播栽培)로의 양식(樣式) 전환(轉換)에 따른 논 잡초문제(雜草問題)의 변화(變化) (Change in Weed Problems as Influenced by Transition of Cultural Pattern into Direct Seeding)

  • 구자옥;임일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3-229
    • /
    • 1992
  • 우리 나라의 벼 재배형태(栽培形態)는 단기적(短期的)으로 많이 변하고 있으며, 특히 재배시기(栽培時期)는 빨라지며 시비량(施肥量)이 증대(增大)되었다. 논에서 잡초발생(雜草發生)은 재배시기(栽培時期)가 빠르고 직파(直播)함에 따라 잡초발생(雜草發生)이 많으며, 직파(直播)에서도 산파(散播)보다 조파(條播)에서 많았다. 직파(直播)에서는 물관리(管理)를 포화상태(飽和狀態)로 유지(維持)하는 것이 심수관개(深水灌漑) 보다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이 많고 잡초발생(雜草發生) 구성(構成)도 포화상태(飽和狀態)의 관리(管理)가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의 발생(發生)을 줄이고 일년생(一年生) 잡초(雜草)의 발생(發生)을 촉진(促進) 증대(增大)시켰다. 재배형태(栽培形態)가 이앙재배(移秧栽培)에서 직파재배(直播栽培)를 함에 따라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의 비율(比率)이 낮아지고 일년생(一年生) 잡초(雜草)의 발생(發生)이 종류(種類)나 량(量)에서 크게 높아졌다. 직파재배(直播栽培)에서 잡초(雜草)의 경합력(競合力)은 커서 초장(草長)의 경우는 생육기간(生育期間)동안 계속 벼보다 컸으며, 이에 따라 벼는 전체(全體) 군락(群落)의 중하부(中下部)에 위치(位置)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앙재배(移秧栽培)보다 직파재배시(直播栽培時) 잡초(雜草)의 문제(問題)는 매우 컸으며, 또한 잡초발생(雜草發生)의 양상(樣相)이 어느 특정재배(特定栽培) 조건(條件)에 따라서 크게 차이(差異)가 있고 변화(變化)될 수 있어 현재(現在)와 같은 단순(單純)한 잡초방제(雜草防除) 체계(體系)로는 잡초문제(雜草問題)를 해결(解決)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