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igital Information Society

검색결과 10,573건 처리시간 0.049초

디지털 영상 처리를 위한 에지 클래스의 설계 (Design of Edge Class for Digital Image Processing)

  • 이강호;안용학;김학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49-5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영상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에지 클래스를 설계한다. 에지는 디지털 영상에서 물체를 검출하거나 인식하기 위한 핵심적인 형태정보를 포함하는 기초자료로 사용되는 중요한 정보이다. 그러므로 에지를 검출한 후 검출된 에지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디지털 영상 처리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디지털 영상 처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던 환경은 사용 편의성이나 속도 등의 측면에서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검출된 에지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에지 클래스를 설계하고, 이를 에지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테스트해봄으로써 기존의 방법과 비교 분석해 본다.

  • PDF

프라이버시를 제공하는 저작권 보호 프로토콜 (Copyright Protection Protocol providing Privacy)

  • 유혜정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57-66
    • /
    • 2008
  • There have been proposed various copyright protection protocols in network-based digital multimedia distribution framework. However, most of conventional copyright protection protocols are focused on the stability of copyright information embedding/extracting and the access control to data suitable for user's authority but overlooked the privacy of copyright owner and user in authentication process of copyright and access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solution that builds a privacy-preserving proof of copyright ownership of digital contents in conjunction with keyword search scheme. The appeal of our proposal is three-fold: (1) content providers maintain stable copyright ownership in the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s; (2) the proof process of digital contents ownership is very secure in the view of preserving privacy; (3) the proposed protocol is the copyright protection protocol added by indexing process but is balanced privacy and efficiency concerns for its practical use.

도서관의 본질과 미래 도서관상 (The essential functions of library and a vision of future library)

  • 권은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7권
    • /
    • pp.423-456
    • /
    • 1997
  • As information technology has been evolving, digital library emerges as a vision of future library. Many authors on digital library describe that the problems that today's libraries face would be completely solved by using digital technology. But it is su n.0, pposed that such technology oriented papers do not take care of what the library has been and should remain. This paper is prepared to identify what core elements of library services being provided in traditional environment must be transferred to the digital library. For this purpose, firstly historical transition from traditional library to digital discussed. Secondly, library's fundamental service functions are analysed from three points of view-library as cultural and social institution, library as intellectual reality, library as a collection. And 'control zone' concept is also investigated as a new possibility of academic digital libraries. In contrast to open zone in which information is not controled at all as in internet, in control zone, information is selected and maintained by academic library community, retaining such essential library functions as selection.

  • PDF

E-ARK 기반 디지털 아카이빙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 Digital Archiving Model based on E-ARK)

  • 박희진;한상은;오삼균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3-101
    • /
    • 2018
  • 본 연구는 E-ARK(European Archival Records and Knowledge Preservation)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아카이빙 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아카이빙 관련 국제 표준과 기술 사항을 분석하여 디지털 아카이브의 핵심 기능 영역을 도출하고 기능 모델 구축에 필요한 기술, 정보패키지와 메타데이터 구현을 위한 요구사항을 파악하였다. 디지털 아카이브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고려하여 정보패키지 구성에 있어서 상호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디지털 아카이빙 모델을 제안하였다.

비도시지역 디지털 지리정보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Implementation of Digital Geographic Information in Non-Urban Area)

  • 김재명;최윤수;서창완;조한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5호
    • /
    • pp.63-74
    • /
    • 2010
  • 본 연구는 비도시지역 디지털 지리정보구축 추진을 위한 중장기 기본계획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도출된 제도적 기반 확립을 통해, 비도시지역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지리정보구축을 토대로 전국토가 세계화 개방화 정보화 시대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기초자치단체의 정보화를 강화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장기 계획안은 1/1,000 수치지도와 영상지도, 수치표고모형을 동시에 제작함으로써 1단계에서 디지털 지리정보 구축 및 유지관리 조직 구성, 비도시지역 공간정보인프라 구축, 관련법규 정비 및 지역협의회 구성의 기반정보를 구축하고, 2단계에서는 디지털 지리정보 구축확산, 지리정보유통 활성화, 공간데이터웨어하우스 구축, 도시계획종합관리시스템 구축 및 3차원공간정보시스템 구축의 정보화 확산 및 3단계에서는 지리정보 현행화 및 유지관리, 부가가치정보 생산, 행정업무의 고도화 및 대민서비스 극대화를 통한 정보 고도화를 실현함으로써 시군구/시도/중앙정부의 통합지리정보의 기반이 되는 지리정보를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디지털정보화와 일상생활만족도의 관계: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 효과 분석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utcome of Digital Device Use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 Life Satisfaction)

  • 김반야;권종실
    • 정보화정책
    • /
    • 제29권2호
    • /
    • pp.91-105
    • /
    • 2022
  • 본 연구는 디지털정보화의 접근, 역량, 활용 수준이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 변인들 간의 관계에 있어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20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디지털정보화는 일상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디지털정보화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디지털정보화의 하위 차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디지털정보화 정책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뒷받침하고 디지털정보화 정책 수립 및 추진 시 도움이 되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덧붙여 이 연구는 디지털정보화와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3차 정보격차의 선행요인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지능정보사회에서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미래 지능정보기술의 인지와 태도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nd Old People in the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Focusing on the Awareness and Attitude of Future Knowledge and Information Technology)

  • 최아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11-19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급격한 환경변화로 인하여 세대 간 디지털 격차가 더욱 심각해 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중고령층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에 대한 인지 및 디지털기술 활용 등을 살펴보고 향후,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2019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원시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미래 지능정보사회에 대한 인지정도에 따라 디지털정보 활용 측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 지능정보사회에 대한 인지가 높은 그룹일수록 다양한 분야의 정보활용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중고령층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미래 지능정보기술의 필요성을 많이 인지할수록, 새로운 기술에 대한 자신감과 태도가 적극적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령화 진전과 지식정보사회로의 전환시기로 디지털 격차 증대에 대한 우려가 논의되고 있는 시점에서, 중고령층의 디지털정보기술의 활용과 미래 지식정보기술의 인식과 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중고령층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지털정보 기술의 활용능력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향후 디지털 포용 관점에서 중고령층의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정보 역량과 활용에 초점을 맞추는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디지털 컨버전스에서의 웨어러블 컴퓨팅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arable Computing Prospect in Digital Convergence)

  • 이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431-435
    • /
    • 2013
  • 정보화 사회에서 디지털이라는 단어와 결합된 컨버전스는 정보통신 분야의 단위기술들의 융합을 통해 등장하는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일컫고 있다. 이러한 컨버전스 기술의 파급효과 및 컨버전스 사회의 현상들은 이미 경제, 사회, 문화등 사회의 전 부분에서 가시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컨버전스 환경에서의 필요한 기술현황 및 전망과 컨버전스의 대표적 사례이면서도 차세대 모바일 대표시장의 가능성이 매우 큰 웨어러블 컴퓨터와 관련된 내용을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