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Home Services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4초

사물인터넷 서비스 플랫폼 기반 스마트 홈 리모컨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Home Remote Control Based on Internet of Things Service Platform)

  • 오암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1563-1570
    • /
    • 2018
  • 사물인터넷 기술은 다양한 제품 서비스를 통해 우리생활 곳곳에서 빠르게 현실화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 홈 분야에서의 제품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스마트 홈 제품들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는 대부분 스마트폰 앱을 사용한다. 그러나 스마트폰 앱은 지능화와 편의성을 강조하는 스마트 홈 서비스와 상반되어 스마트 홈 컨트롤러로 적절하지 않다. 지능적인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디바이스의 통합적인 제어가 가능하면서 보다 직관적인 형태의 컨트롤러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및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홈 리모컨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스마트 홈 리모컨은 IFTTT(If This Then That) 자동화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서비스를 구축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초고속통신과 디지털TV방송 시대를 위한 FTTH의 전송속도에 관한 연구 (Bandwidth requirements of FTTH for high speed communication and digital TV)

  • 이정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12B호
    • /
    • pp.1013-1021
    • /
    • 2004
  • 정보통신과 방송분야의 디지털화가 급속하게 진전되고 미디어의 전송능력이 비약적으로 광대역화, 고속화 함으로써 통신과 방송의 융합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광대역통합망(BcN)의 구축을 국가의 중요한 신성장동력으로 선정하였다. 이 광대역통합망은 FTTH를 기반으로 구축될 것이며 이 솔루션에 의 의하여 광대역 흠네트워크가 실현될 것이다. 통신과 방송의 융합을 목표로 구축되는 BcN형 흠네트워크는 어느정도의 전송속도와 대역폭을 요구할 것인가. 가정당 전송속도를 설정하기 위하여는 홈네트워크의 범위와 BcN의 구성방식을 명확하게 정리해야 한다. 공동주택이냐 단독주택이냐에 따라 FTTH를 구축할 때 적용할 통신과 방송의 융합기술방식이 다르고 네트워크 모형도 달라진다. 그리고 홈네트워크의 범위도 건물내부망과 홈내부망으로 정하여 구간마다 요구되는 전송속도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런점을 고려하여 BcN형 흠 네트워크의 전송속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고령자의 감성 만족과 정신건강을 위한 스마트폰 응용 기술 (Application Technologies of Smart Phone for Emotional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care of the Elderly)

  • 조면균;김식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31-42
    • /
    • 2013
  • Considerations of how to facilitate aging-in-place(AIP) are becoming increasingly pertinent as care-givers are overwhelmed by an aging population. Aging friendly home-care services combined with IT can satisfy the needs of the elderly suffer from chronic diseases such as depression and dementia. Therefore, we propose future smart phone services and application technologies which can estimate emotional states of the aged and respond to the desire to be happy with mental health, connectedness and consolation from peoples. Firstly, we introduce depression measurement techniques to estimate the severity of depression using multiple sensors. At second, the emotional responding services are categorized to four parts and the details are described. Lastly, we propose the process to implement emotional communication and the application techniques(services) to fulfill the emotional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care for AIP using smart phone as a mediator.

디지털 사회 혁신에서 리빙랩 프로젝트의 성과지표에 대한 연구 (A Performance Indicators of Living Lab Project in the Digital Social Innovation)

  • 이재혁;이정훈;조경환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93-207
    • /
    • 2019
  • In recent years, Digital Social Innovation has been emerging at home and abroad and new solutions are being proposed by the perspective of User using digital technology in order to solve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of the city. In addition, Living Labs which is an innovative tools and space enable to solve problems doing activities with various participants led by us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activities of Living Lab in Digital Social Innovation and improves the Living Lab sustainability using the performance indicators which are going to be developed. Furthermore, construct the appropriate indicator of each project process and take test at real Living Labs. As a result, performance indicator was derived from each procedure in the Living Lab project, and prove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dicators throug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by interviews and the questionnaire from the participants of Living Labs.

중소병원 간호부서장의 간호사 채용 경험 (The Recruiting Experience of Chief Executive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 박송이;박신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301-31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병원 간호부서장의 간호사 채용 경험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있다. 자료 수집은 서울, 인천, 경기에 소재한 100에서 300 개의 병상 규모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부서장 4명을 대상으로 Snowball 샘플링으로 추출하였다. 2017년 11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 일대일 심층 인터뷰를 하였다. 분석방법은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을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 4개의 주제가 도출 되었다. 각 각의 주제는 '속수무책으로 인력부족을 경험함', '절박한 상황 속에서 통제력을 상실함', '간호사의 마음을 얻기 위해 노력함', '간호사의 마음다지기에 최선을 다함'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중소병원 간호부서장이 간호인력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는지와, 중소병원 간호사가 업무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갖추어야 하는 지원체계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Effectiveness of Home Health Care Service for Elders after Spinal Surgery

  • Jun, Myunghee;Jung, Ji Young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009-1018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home healthcare services (HHCS) specialized for elders who received spinal surgerie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quasi-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HHCS was developed based on the Rice model of dynamic self-determination for self-care. For data collection, a control group (n=23) and an experimental group (n=23) were selected by matching age, BMI, pa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ype of spine surgery. Measurement tools to evaluate uncertainty and knowledge were developed by the authors.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and Japanese Orthopedic Association Back Pain Evaluation Questionnaire (JOABPEQ) were used to evaluate pain levels. Muscular strength in the legs was measured using a digital muscle tester and tape ruler. Questionnaires were used to evaluate disability in performing ADL and psychological distress level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uncertainty (p=.028), increased knowledge (p=.038), and partially decreased pain (p=.003-.331). Partial muscle strength increased significantly (p=.021-.644). Disability in performing ADL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control group (p=.002, p=.004). Conclusion: Results indicate HHCS is an efficient home care nursing program for these elders. Further experimental studies with larger samples are required to confirm effects of HHCS.

IEEE1394 기반의 홈 네트웍에서 이벤트와 등시성 서비스의 실시간성 보장을 위한 소프트웨어 구조 (Software Architecture of IEEE1394 Based Home Network for Guaranteeing Real-Time Characteristics of Isochronous Service and Event)

  • 박동환;오봉진;강순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9A권2호
    • /
    • pp.181-190
    • /
    • 2002
  • IEEE1394는 디지털 캠코더, 디지털 TV, 퍼스널 컴퓨터를 포함한 가정내의 디지털 네트웍을 구성하기 위한 대표적인 인터페이스이다. 최근 IEEE1394는 기존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지원하는 장비의 인터페이스에서 벗어나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제어 시스템에 적용이 되고 있으며 더불어 IICP(Instrument and Industrial Control Protocol)의 제정등 응용분야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또한 홈 네트웍에서 제어 네트웍과 데이터 네트웍의 연동을 위해 기반 망으로 사용됨으로써 제어 네트웍에서 요구되는 실시간성의 보장이 IEEE1394에서도 요구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홈 네트윅에서 IEEE1374의 실시간성 보장을 위해 이벤트 채널 모델을 사용한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른 처리기법과 1394 디바이스 드라이버 레벨에서의 우선순위 보장을 위한 구조를 제안한다. 서비스의 우선순위에 따른 실시간성 보장기법은 서비스 이벤트의 우선순위에 따라 이벤트 채널을 통해 높은 우선순위 서비스의 예측가능성을 보장하며, 디바이스 드라이버 레벨에서는 우선순위 큐를 이용한 패킷의 전송과 등시성 전송을 위한 효율적인 버퍼관리 기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는 향후 IEEE1374기반의 홈 네트웍 미들웨어 뿐만이 아니라 실시간 응용이 요구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서비스 등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MPEG-21기반 디지털 컨버젼스 플랫폼 기술 (A Digital Convergence Platform based on the MPEG-21 Multimedia Framework)

  • 오화룡;김동환;이은서;장태규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6권5호
    • /
    • pp.987-989
    • /
    • 2007
  • This paper describes a digital convergence platform(DCP) which is implemented based on the MPEG-21 multimedia framework. DCP is a newly proposed solution in this research for the convergence service of future home multimedia environment. DCP is a common platform designed to have the feature of reconfigurability, by means of S/W. which supports to run diverse digital multimedia services. A distributed peer to peer service and transaction model is also a new feature realized in DCP using the MPEG-21 multimedia framework. A prototype DCP is implemented to verify its functions of multimedia service and transactions. The developed DCPs are networked with IP clustering storage systems for the distributed service of multimedia. Successful streaming services of the MPEG-2/4 video and audio are verified with the implemented test-bed system of DCP.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수행도 분석 (An analysis on performance of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visiting nurse in public health center)

  • 박정숙;오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381-393
    • /
    • 2014
  • 본 연구는 방문간호사의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수행도와 방문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수행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대구시와 경상북도의 방문간호사 총 204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연구기간은 2011년 7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이었다.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수행업무 중 당뇨병 환자관리와 고혈압 환자관리를 가장 많이 수행하였고, 반면에 임산부 관리와 영유아 건강관리 업무에 대한 수행 빈도가 가장 낮았다. 방문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 중에서 연령, 기혼, 교육수준, 종교, 보건소 근무경력, 방문간호 업무경력, 근무지역에 따라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수행도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의 안정적인 정착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방문간호사의 일반적인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업무 배정과 고용 보장 등을 포함한 방문간호사의 관리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1인 가구를 위한 스마트 홈 라이프스타일 서비스 연구 -20·30세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mart Home Life Style for Single households - Focusing on the 20s and 30s -)

  • 이의진;김승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231-237
    • /
    • 2017
  • 본 연구는 급증하는 1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을 바탕으로 스마트 홈서비스의 필요를 고찰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의 패턴에 따라 필요와 임의의 서비스를 대조해 보았을 때 향후 이용에 관한 실효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1인 가구 설문조사를 통해 의, 식, 주, 행, 여가, 소통, 소비, 모바일라이프 등 8가지를 항목으로 선정하여 질문하였고, 1인 가구 특성화 질문을 추가로 넣어 앞으로의 서비스에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1인 가구의 20 30세대의 라이프스타일을 고찰하여 경쟁력 있는 스마트 홈서비스가 제시될 것이며,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재 급증하는 1인 가구의 스마트 홈서비스의 발전 방향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하며, 기존 방안 개선 및 발전 방향의 기로가 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