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iffusion Prevention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1초

3차원 동수역학모형-유류확산모형 연계를 통한 유출유 거동 모의 (Oil Spill Simulation by Coupling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and Oil Spill Model)

  • 정태화;손상영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74-484
    • /
    • 2018
  • In this study, a new numerical modeling system was proposed to predict oil spills, which increasingly occur at sea as a result of abnormal weather conditions such as global warming. The hydrodynamic conditions such as the flow velocity needed to calculate oil dispersion were estimated using a three 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based on the Navier-Stokes equation, which considered all of the physical varia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improved the accuracy compared to those estimated by the conventional shallow water equation. The advection-diffusion model for the spilled oil was combined with the hydrodynamic model to predict the movement and fate of the oil. The effects of absorption, weathering, and wind were also considered in the calculation process. The combined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was then applied to various test case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oil dispersion over time.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model will help to establish initial response and disaster prevention plans in the event of a nearshore oil spill.

Diagnostic Performance of Diffusion - Weighted Imaging for Multiple Hilar and Mediastinal Lymph Nodes with FDG Accumulation

  • Usuda, Katsuo;Maeda, Sumiko;Motono, Nozomu;Ueno, Masakatsu;Tanaka, Makoto;Machida, Yuichiro;Matoba, Munetaka;Watanabe, Naoto;Tonami, Hisao;Ueda, Yoshimichi;Sagawa, Motoyas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5호
    • /
    • pp.6401-6406
    • /
    • 2015
  • Background: It is sometimes difficult to assess patients who have multiple hilar and mediastinal lymph nodes (MHMLN) with FDG accumulation in PET-CT. Since it is uncertain whether diffusion-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DWI) is useful in the assessment of such patients, its diagnostic performance was assessed. Materials and Methods: Twenty-three patients who had three or more stations of hilar and mediastinal lymph nodes with SUVmax of 3 or more in PET-CT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sults: For diagnosis of disease, there were 20 malignancies (lung cancers 17, malignant lymphomas 2 and metastatic lung tumor 1), and 3 benign cases (sarcoidosis 2 and benign disease 1). For diagnosis of lymph nodes, there were 7 malignancies (metastasis of lung cancer 7 and malignant lymphoma 1) and 16 benign lymphadenopathies (pneumoconiosis/silicosis 7, sarcoidosis 4, benign disease 4, and atypical lymphocyte infiltration 1). The ADC value ($1.57{\pm}0.29{\times}10^{-3}mm^2/sec$) of malignant MHML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1.99{\pm}0.24{\times}10^{-3}mm^2/sec$) of benign MHMLN (P=0.0437). However, the SUVmax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10.0{\pm}7.34$ as compared to $6.38{\pm}4.31$) (P=0.15). The sensitivity (86%) by PET-CT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71%) by DWI for malignant MHMLN (P=1.0). The specificity (100%) by DW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31%) for benign MHMLN (P=0.0098). Furthermore, the accuracy (91%) with DW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48%) with PET-CT for MHMLN (P=0.0129). Conclusions: Evaluation by DWI for patients with MHMLN with FDG accumulation is useful for distinguishing benign from malignant conditions.

Diagnostic Performance of Whole-Body Diffusion-Weighted Imaging Compared to PET-CT Plus Brain MRI in Staging Clinically Resectable Lung Cancer

  • Usuda, Katsuo;Sagawa, Motoyasu;Maeda, Sumiko;Motono, Nozomu;Tanaka, Makoto;Machida, Yuichiro;Matoba, Takuma Matsui Munetaka;Watanabe, Naoto;Tonami, Hisao;Ueda, Yoshimichi;Uramoto, Hidetak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6호
    • /
    • pp.2775-2780
    • /
    • 2016
  • Background: Precise staging of lung cancer is usually evaluated by PET-CT and brain MRI. Recently, however, whole-body diffusion-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WB-DWI) has be appli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lung cancer staging by WB-DWI is superior to that of PET-CT+brain MRI. Materials and Methods: PET-CT + brain MRI and WB-DWI were used for lung cancer staging before surgery with 59 adenocarcinomas, 16 squamous cell carcinomas and 6 other carcinomas. Results: PET-CT + brain MRI correctly identified the pathologic N staging in 67 patients (82.7%), with overstaging in 5 (6.2%) and understaging in 9 (11.1%), giving a staging accuracy of 0.827. WB-DWI correctly identified the pathologic N staging in 72 patients (88.9%), with overstaging in 1 (1.2%) and understaging in 8 patients (9.9%), giving a staging accuracy of 0.889.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uracies. PET-CT + brain MRI correctly identified the pathologic stages in 56 patients (69.1%), with overstaging in 7 (8.6%) and understaging in 18 (22.2%), giving a staging accuracy of 0.691. WB-DWI correctly identified the pathologic stages in 61 patients (75.3%), with overstaging in 4 (4.9%) and understagings in16(19.7%), giving a staging accuracy of 0.75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ies. Conclusions: Diagnostic efficacy of WB-DWI for lung cancer staging is equivalent to that of PET-CT + brain MRI.

Swollen Micelle을 이용한 Tocopheryl Acetate 의 피부흡수 연구 (Study on Skin Permeation of Tocopheryl Acetate Using Swollen Micelle)

  • 손수빈;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7-2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탈모방지 토너의 활성 성분인 tocopheryl acetate, salicylic acid 및 niacinamide 성분 중 유용성 성분인 tocopheryl acetate의 피부흡수를 높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Salicylic acid와 niacinamide를 함유함과 동시에 tocopheryl acetate를 투명하게 가용화시키려는 방법으로, 계면활성제가 회합하여 형성되는 micelle의 크기를 증가시킨 swollen micelle 구조를 이용하였다. 제조한 swollen micelle 용액은 3종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며 투명한 성상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계면활성제로 poloxamer 407과 octyldodeceth-16을 사용하였다. 또한 micelle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보조계면활성제로서 isostearic acid를 사용하였다. 제조한 swollen micelle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온(25 ℃)에서의 탁도를 측정하였다. Swollen micelle에 함유된 탈모방지 성분 중, tocopheryl acetate의 피부흡수율을 평가하기 위해 Franz diffusion cell method를 이용하였다. 24 h 후 tocopheryl acetate의 경우 대조군보다 6 배 향상된 피부흡수량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swollen micelle은 탈모방지 제품 또는 여러 기능성 화장품의 가용화 제형에 응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Fick 확산 모형을 이용한 하상 굴착 공사로부터의 부유물질 농도 산정 (Estimation of Suspended Solids Concentration Caused by Stream Bed Excavation Work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Fickian Diffusion Model)

  • 안명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6호
    • /
    • pp.621-628
    • /
    • 1997
  • 하상 굴착 공사는 골재 채취, 토사준설, 교량 건설 또는 하천을 횡단하여 매설하는 관로 공사 등 여러 가지 경우에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하상 굴착 공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부유물질(SS)은 수질을 오염시키며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장 여건상 정교한 수치해석모형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에, 2차원 이송-확산 모형을 단순화하여 유도한 Fick 확산 모형에 의하여 부유물질의 농도를 산정하고 오탁 방지 시설 설치에 따른 부유물질 농도의 저감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강원도 동해시에 위치한 전천의 송유관로 매설공사를 대상으로, Fick 확산 모형이 하상 굴착으로부터 발생하는 부유물질의 농도 산정과 오탁방지막의 설치에 따른 오염 저감 효과를 사전에 예비적으로 평가하는 실무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의 에센셜 오일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Essential Oils for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ii)

  • 박창은;권필승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31-437
    • /
    • 2018
  • Acinetobacter baumannii는 광범위한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으로 인해 감염된 환자의 사망률이 높아지는 적색 경보 병원체로 분류됩니다. 이 연구에서 다제 내성 A. baumannii(MRAB)의 18가지 임상 분리 균주에 대해 일부 에센셜 오일(티트리, 로즈마리, 라벤더 오일)의 항균 활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Carbapenemase 선별을 위한 Hodge 시험법은 A. baumannii의 20 가지 균주가 모두 imipenem에 내성이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다제 내성 미생물의 확인은 VITEK 시스템을 통해 수행하였다. 에센셜 오일의 항균 활성은 MRAB에 대한 디스크 확산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디스크 확산 방법에서 tee tree는 라벤더 오일에 비해 억제 크기가 가장 크게 증가했으며, 로즈마리는 항균 효과가 없었다. 티 트리 오일은 가장 일반적인 인간 병원균 및 MRAB 감염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대체 천연 제품으로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다제 내성 A. baumannii의 항균 효과를 입증했으며, 미래에 천연 에센셜 오일을 사용하는 손 소독제와 같은 항균제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Clinical Manifestations and Imaging Characteristics of Gliomatosis Cerebri with Pathological Confirmation

  • Zhang, Chun-Pu;Li, Hua-Qing;Zhang, Wei-Tao;Liu, Ming-Hui;Pan, Wen-J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1호
    • /
    • pp.4487-4491
    • /
    • 2014
  • Objective: To explor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imaging characteristics of gliomatosis cerebri to raise the awareness and improve its diagnostic accuracy fo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Clinical data, imaging characteristics and pathological examination of 12 patients with GC from Jan., 2008 to Jan., 2012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Patients with GC were clinically manifested with headache, vomiting, repeated seizures, fatigue and unstable walking, most of whom had more than 2 lesions involving in parietal lobe, followed by temporal lobe, frontal lobe, periventricular white matter and corpus callosum.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howed diffuse distribution, T1-weighted images (T1WI) with equal and low signals and T2-weighted images (T2WI) with bilateral symmetrical high diffuse signals. There was no reinforcement by enhancement scanning and signals were different in diffusion-weighted images (DWI). The higher the tumor staging, the stronger the signals. Pathological examination showed neuroastrocytoma in which tumor tissues were manifested by infiltrative growth in blood vessels and around neurons. Conclusions: In clinical diagnosis of GC, much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diffuse distribution of imaging characteristics, incomplete matching between clinical and imaging characteristics and confirmation by combining with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지식확산에 의한 감염병 실험실의 자율적 생물안전관리 학습조직 설계 및 실행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earning Organization for Autonomous Biosafety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 Laboratories by Knowledge Translation)

  • 신행섭;유민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02-115
    • /
    • 2015
  • Objectives: A learning organization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on the basis of the selection criteria and essential elements of knowledge translation theory. Methods: The learning organization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biosafety harmonization criteria and risk management strategy and was implemented as the learning organization for biosafety management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The effect of knowledge translation in the research institutions by evidence-based policy was verified. Results: The result of applying the knowledge translation theory involving all stakeholders showed a positive reaction in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biosafety management strategy and embodied risk assessment criteria and evoked sympathy with the necessity of learning and using of expert knowledge about risk assessment and risk management. All stakeholders initiated voluntarily action toward new human-network construc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similar organizations. The learning organization's capability expanded the base of knowledge transl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a learning organization could enhance the autonomous safety management system by diffusion of knowledge translation.

$CO_2$에 의한 층류 확산화염의 소화기구에 관한 정량적 분석 (A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Extinguishing Mechanism of Laminar Diffusion Flames by $CO_2$)

  • 문선여;황철홍;오창보;박원희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78-381
    • /
    • 2011
  • 대표적 가스계 소화약제인 $CO_2$의 소화기구(Extinguishing mechanism)를 재조명하기 위하여, $CH_4$/air 저 신장율 대향류 확산화염을 대상으로 $CO_2$가 소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해석이 수행되었다. 부력이 지배적인 화염의 소화현상은 복사 열손실에 의해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소화농도 예측에 대한 복사모델의 성능평가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졌다. 주요 결과로서, 공기류에 첨가된 $CO_2$의 소화농도는 복사모델이 고려되지 않은 경우 과다 예측되는 반면에, 간략화된 광학적으로 얇은 근사(Optically thin approximation) 모델과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갖는 좁은 밴드(Statistical narrow band) 모델은 실험의 오차범위 내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O_2$가 소화에 미치는 순수 희석효과, 희석에 의한 복사효과, 화학적 효과 및 열적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가상의 소화약제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를 통해 화염의 총괄신장율에 따른 $CO_2$ 소화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가 시도되었다.

  • PDF

샌드위치패널 건축물 플래시오버 지연을 위한 화재확산방지플레이트 시공방법 연구 (A Study on Flash Over Delay Effects on Applied Plate-Fire Spread Prevention Method at Sandwich Panels Structure)

  • 김도현;조남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3호
    • /
    • pp.79-87
    • /
    • 2017
  • 샌드위치패널은 양면이 철판이며 단열재로 접착된 특징을 갖는 건축자재로서 시공의 간편성, 자재비용의 경제성 등의 장점으로 공장 및 창고 구조물 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샌드위치패널의 연속적 결합으로 시공되는 패널구조물은 패널과 패널이 연결되는 조인트 부위가 발생하게 된다 조인트부위는 화재시 철판의 용융과 변형으로 화염이 쉽게 유입되며 화재에 취약한 부위이다. 패널 내에 유입된 화염은 급속한 연소로 인해 화재확산을 유발하며 인명 및 재산피해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샌드위치패널의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확산방지플레이트를 개발하였다. 이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4면의 패널 접합면을 화재확산방지 재료로 시공하는 방법에서 접합면에 개발 플레이트를 끼우는 방식으로 시공이 용이하게 개선된 것으로서 패널과 패널이 결합되는 연결부에 자립하여 적용 가능하며 화염의 유입 및 화재확산을 방지하도록 고안하였다. 샌드위치패널 시험체에 대해 KS F ISO 13784-1 시험방법의 실물화재시험을 수행하였으며, 패널 연결부에 화재확산방지플레이트의 적용 유무에 따른 연소거동을 파악하고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패널 연결부에 화재확산방지플레이트를 삽입하는 것은 플래시오버의 지연, 시험체의 붕괴방지, 개구부의 온도상승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효과적으로 패널구조물이 화재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확인되었다. 화재에 취약한 패널 연결부에 시공성과 경제성이 확보된 다양한 방식의 화재확산방지용 시공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구조물의 화재안전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