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ents' perceptions of generosity and fairness in lecture evaluation and grades, communication with professors, and self-fidelity and satisfaction during the COVID-19 situation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urveying students at M university in Daejeon. These data were analyzed in the context of parameters that might impact online class lecture evaluations, namely gender and school year. Descriptive analysis shows students' perceptions of online lectures are significantly high. As for differences by gender and school year, the t-test results indicate female students generally have better perceptions of online classes than male students.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regarding the generosity of lecture evaluation. Also, ANOVA test results show that as the school year increases, the general perceptions for online classes become negative.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by school year regarding the generosity of lecture evaluation.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perceptual generosity of grades" mos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erceptual generosity of lecture eval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f any) and the causes of preferences for science between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n such differences in preference begin and what their causes w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from elementary school A in Gyeongg-gi Province participated twice in research surveys on preference levels in science with education, career course and personal experience taken into account. A total of 997 survey responses, (excluding no responses or half-hearted ones) were selected for comparative analysis. The analysis methods used were frequency analysis, cross stabs and one-way ANOVA Analysis which depended on survey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reference levels in science are 61.7% and the difference of preference levels in science between boys and girls are 31.2% and 30.5% with boys showing higher percentages in science preference levels than girls(p<.01). Moreover,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point in which changes in preference level in science emerges is from fifth and sixth grades. Therefore, the gender difference in preference levels in science begins with fifth grade students, with science being slightly more favored by boys. finally, the main causes in gender differences seems to be the experiment participants' levels, scientific education textbook preference level, interests in science class, and plans for the future that are related to field of science. Among these causes, interests level in science class and preference levels in science are closely related.
Characteristics of Superior Children as a Screening Test of Gifted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Korean version of checklist for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children as a screening test for gifted students. Total 397 children were tested KEDI-WISC (Korean version of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and their parents or primary caretakers took the checklists for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children individually. Total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based on their Full IQ score of KEDI-WICS. The children of IQ 130 and over was gifted group, and those of IQ 115-130 was superior group, and those of below IQ 115 was average group. The analyses of behavioral checklist scores among the groups, gender, grades differences and item analysis of behavioral checklist were done for the purpose of discrimination among 3 group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version of checklist for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children was very useful as a screening test for gifted correlations between checklist scores and verbal, performance and full IQ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 which means that IQ and checklist scores were very related. Twenty out of 50 items were found to be discrimination items between gifted and superior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s and gender on the checklist score.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core competencies of engineering students in Korea as well as to explore the application plan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hereafter, ECA) and programs in order to enhance their core competencies. Participation in ECA has long been recognized as having positive benefits and impacts upon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we investigat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core competencies in undergraduates according to majors, gender and grades. 'Core competencies', first introduced in management theory as 'core competency' can be defined as personal attributes or underlining characteristics, capable of delivering a role or job. 'Core competencies' has received particular attention in recent years and there has been much related research (domestic and foreign) combined with diverse factors. However, few studies have addressed the question on engineering student's core competencies as well as the ways of their enhanc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286 students, and core competencies have been measured online, through K-CESA. Our findings show that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dergraduate students' core competencies by majors. Engineering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lower in core competencies overall.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core competencies by gender and grad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components of core competencies.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grades(GPA, grades in major subject & liberal arts subject), rather levels in the correlation were low. Furthermore,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appropriate application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would enhance core competencies of students.
The growing concern for poor dietary habits among adolescents has prompted many researcher to study the adolescents' knowledge and beliefs on a number of nutrition-related issues. Following that preced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nutrition knowledge of a sample of adolescents in a middle school in Ohio. The participants were 532 students in the sixth, seventh, and eighth grades between the ages of 11 and 13 from Shawnee Middle School in Lima, Ohio. The students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CANKAP (Comprehensive Assessment of Nutrition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which measured their nutrition knowledge. The CANKAP questionnaire consisted of 20 questions for sixth grade students and 25 questions for seventh and eighth grade students. Also,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identify their gender. According to the result,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school children was weak. The findings indicated that females had higher mean nutrition knowledge scores than boys in the seventh and eighth grad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value of nutrition knowledge between sixth grade boys and girls.
본 연구는 도체등급을 판정받은 제주재래돼지 168두(거세돈 116두와 암퇘지 52두)를 공시돈으로 재래돼지의 성별, 도체 육질 등급별 및 육량등급별 도체특성을 조사하여 고급돈육 생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재래돼지의 도체특성의 평균치는 도체중이 72.94 kg, 도체율 72.46%, 등지방두께 20.98 mm, Hunter L* 값 38.14, a* 값 4.68, b* 값 6.04, pH 5.61, 육색도 3.61, 근내지방도 3.36, 육질등급 1.83, 그리고 육량등급 2.08로 조사되었다. 성별 도체특성에서 도체중은 암퇘지가 75.69 kg으로 거세돈 71.71 kg 보다 유의하게 무거웠으나(p<0.05), 도체율, 등지방두께, 그리고 육색도에서는 성별 간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H는 암퇘지와 거세돈에서 각각 5.58과 5.62로 거세돈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도체육질등급에서는 거세돈과 암퇘지의 평균등급은 1.95와 1.58로 거세돈이 유의하게 높은 등급을 보였다(p<0.05). 그리고 육량등급에서도 성별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5), 거세돈 1.90 등급보다 암퇘지 2.50 등급으로 암퇘지가 높게 나타났다. 도체 육질등급별 도체특성에서는 도체중은 도체등급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도체율에서도 도체육질등급이 높을수록(1과 2등급)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등 지방 두께는 등급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5), 등급이 높을수록 등지방 두께가 높았다. 육색도에서는 등급 간에 Hunter L* 값, a* 값, b* 값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근내지방도는 1등급은 4.06점과 3등급은 2.64점으로 등급이 높을수록(양호) 유의하게(p<0.05) 높은 점수를 보였다. 도체 육량등급별 도체특성에서 도체중과 도체율은 등급 간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5), 등급이 높을수록(A 등급) 체중이 무겁고 도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등지방두께는 A 등급은 22.83 mm로 유의하게 높은(p<0.05) 반면에, D 등급은 18.63 mm로 등급이 낮을수록 등 지방두께도 얇았다. 육색도는 Hunter L* 값, a* 값, b* 값 모두 등급 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pH 값은 A 등급에서 5.53으로 하위등급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육색도판에 의한 육색도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근내지방도는 등급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5), 상위 A, B 등급에서는 4.00 이상으로 높았으나, 하위 C와 D 등급에서는 3.06 이하의 낮은 점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주 재래종은 개량종보다 등지방두께는 양호하였으나, 육질과 관련된 특성을 더욱 더 심도있는 비교연구로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the difference was also examined in the area of several variabl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such as gender, the university majors, the high school majors, and grades. The results showed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between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Teacher variables were found as the major factors to explain the difference. In case of male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science/math at university, and the students who majored in science/math at high school, science teaching efficacy was higher than general teaching efficacy. Whereas, in case of female students and nonscience majors at university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ing efficacy was lower than their general teaching efficacy.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discussed.
현대 지식정보사회에서 있어서, 한 나라의 국력은 IT 산업에 달려있다. 또한, 개인차원에 있어서도 IT 기술의 소양과 활용은 한 개인의 삶을 윤택하게 해준다. 현재 뛰어난 인재 몇 사람이 전체 IT 산업과 학계를 주도하고 있다. 따라서 정보영재 아동을 조기에 발굴하고 양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의 성별 차이를 분석하고 조사하는 것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성별에 따른 성적차이에 관심을 두고, 프로그래밍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성별차이분석을 위해서 서울지역의 대학부설 영재원의 정보영재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8년 동안의 성적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남녀 정보영재학생들 간에 있어서 프로그래밍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남녀 학생들 간의 성적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oncern regarding appearance according to gender,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the influence appearance has on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under the ever-increasing pressure on students to secure employment so that appropriat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can be provided to undergraduate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0 third and fourth year undergraduates in Gyeonggi province from August 31st to September 6th, 2012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s and differences in variabl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gender.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two-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1.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f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ile concerns regarding appearance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2. For the concerns in appear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in appearance manage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Stress and anxiety from job-seek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s, but there were common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gender and grades, gender and employ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3.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job-seeking stress a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o ha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nd in female students who placed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Conclusion: As female students perceived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s important more than male student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while male students who showe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lso showed higher level of anxiety in job-seeking. As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stress was also higher according to the entire participants, based on this result, methods to decrease job-seeking anxiety should be suggest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cloth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r this purpose. 301 third and sixth graders two schools in Daegu-city were sampled. The \`Test of Self-Concept\` and \`Questionnaire on the Clothing Behavior\` were administered purpose of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PC Windows programs according to the research issu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and a thre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applied to analyze the effects of grades, sex(gender) and self-concept on the clothing behavior.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the mean score of the cloth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the level of self-concept (group). The mean scores of manageability. psychological dependency interest and conformity of the high self-concep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low self-concept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 and low self-concept groups in the mean score of comformity.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ex of children in the mean score of the clothing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mean score of manageability, psychological dependency and interest of the fe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male students. However the mean score of the comfortability of male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female students. In the meantim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ex of students in the mean score of comformity.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score of the cloth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graders of children . It was found that the mean scores of manageability, psychological dependency, interest and comfortability of the third grad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ose that of the sixth grade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the grades of students in the mean score of conformity.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sex and the grade of children on the mean score of interest and comfortability. It was found that the mean score of interest of male third grader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ixth graders. The mean score of comfortability of the female third graders higher than that of sixth graders.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