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xtrose

검색결과 765건 처리시간 0.029초

정중신경 손상에서 초음파 유도 하 신경주위 포도당 용액 주사치료의 효과 (Effect of Ultrasound-Guided Perineural Injection with Dextrose for Direct Traumatic Injury of Median Nerve)

  • 정유상;박혜린;박중현;박희재;조한얼
    • Clinical Pain
    • /
    • 제20권2호
    • /
    • pp.127-130
    • /
    • 2021
  • Ultrasound (US)-guided hydrodissection (HD) is a widely applied therapeutic method to release the entrapped peripheral nerve. However, this therapy has only been studied for the nerve entrapments such as carpal tunnel syndrome, and there are no reports of its effect on direct nerve injuries with incomplete axonal damage. Here, we report a case of direct traumatic injury of a median nerve with incomplete axonal injury in a 28-year-old man. He presented hypoesthesia and weakness along with the median nerve territory of the left hand after a laceration wound of the wrist. The patient underwent a surgical procedure, but did not experience prominent improvement for the next six months. Symptoms improved after we performed the US-guided HD with dextrose. We propose this procedure as one of the new treatment methods for direct axonal injury of nerves including the median nerve.

Panellus edulis 수집 균주의 균사배양 및 자실체 특성 분석 (Mycelial Culture and Fruiting Analysis of Panellus edulis Strains Collected in Korea)

  • 우성이;유림;장영선;박영애;정연석;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81-294
    • /
    • 2018
  • 국내에서 참부채버섯(Panellus serotinus)으로 수집한 8균주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영역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계통분석을 실시한 결과 참부채버섯이 아닌 Panellus edulis로 나타났다. Universal Fungal PCR Fingerprinting (UFPF) 분석결과 P. edulis 8균주는 크게 두 그룹으로 나눠졌다. 우리나라 산림에 서식하는 8개 균주의 배양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균사의 성장과 효소 활성에 대한 기초특성 연구를 수행했다. 모든 균주는 21일 동안 3종류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하였고 생장이 적합한 배지는 malt extract agar (MEA), Sabouraud dextrose agar (SDA) 배지보다 potato dextrose agar (PDA)로, 빠른 균사 생장 및 균사 밀도를 보였다. P. edulis 균주의 균사 생육 조건은 PDA에서는 $20^{\circ}C$, potato dextrose broth (PDB)에서는 $25^{\circ}C$가 선발되었으며, 균사생장에 적합한 수소이온 농도가 PDB는 pH 5~8로 이때 균사생장이 영향을 받지 않았다. 두 균주(NIFoS 2792, 2804)는 PDA의 균사 생장 및 밀도를 기준으로 우수한 균주로 선정되었다. 모든 균주는 셀룰라아제와 라카아제 활성을 나타내었고 NIFoS 2407과 2805는 다른 균주보다 높은 효소 활성을 보였다. 그 중에서도 라카아제 활성은 NIFoS 2387이었고 모든 균주는 셀룰라아제를 생산하였다. 톱밥 종류별 시험에서 상수리나무와 신갈나무에서 균사생장속도가 다른 톱밥에서보다 좋았고 균사 밀도도 가장 양호하였다. 버섯의 톱밥재배는 $23^{\circ}C$에서 균 접종 후 80~85일간 배양하였고, 원기형성 온도는 $17{\sim}18^{\circ}C$에서 10~11일간, 자실체 생육은 15~20일간 수행하였다. 버섯 재배 결과, 배양기간과 수량 면에서 NIFoS 2804, NIFoS 3993 균주가 가장 양호한 균주로 선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P. edulis의 인공재배를 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표고 교잡균주들의 세포외 laccase 활성 검출에 미치는 배지성상과 발색반응 시약의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Media Types and Chromagenic Chemicals on the Detection of Extracellular Laccase Activity among Lentinula edodes Strains)

  • 김준영;권혁우;당룡장;고한규;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8-5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표고 교잡균주들의 생화학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 교잡균주간의 laccase 효소의 활성을 비교하는 빠르고 간편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균사체 배양 배지의 성상과 염색물질이 laccase 활성 검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비교하였다. 고체배지와 액체배지 모두에서 발색시약이 Remazol Brilliant Blue R(RBBR)일 경우는 potato dextrose 성분 보다 malt extract 성분 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표고버섯균 균사가 분비하는 세포외 laccase 활성 검출이 용이하였다. Guaiacol을 발색시약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potato dextrose 성분과 malt extract 성분 배지 모두 세포외 laccase 활성 검출이 용이하였다. 2ml microfuge tube를 이용한 액체 배양 방법은 RBBR와 Guaiacol 모두 malt extract 성분배지에서 3일만에 표고 교잡균주간의 세포외 laccase 활성 검출과 정량적 비교를 가능케 하였다.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levodopa의 경피전달: electroosmosis 및 electrorepulsion의 역할 (Levodopa Transport through Skin using Iontophoresis: the Role of Electroosmosis and Electrorepulsion)

  • 정신애;곽혜선;전인구;오승열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8권1호
    • /
    • pp.31-38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work is to study transdermal delivery of levodopa using iontophoresis and evaluate various factors which affect the transdermal transport. Levodopa is unstable in aqueous solution, and, in order to establish a stable condition for levodopa for the duration of experiment, we investigated the stability of levodopa in aqueous solutions of different pHs with/without the addition of dextrose or the application of current. Using stable aqueous solution, we have studied the effect of pH, polarity and penetration enhancer (ethanol) on transdermal flux and compared the results. We also investigated the iontophoretic flux from hydroxypropyl cellulose (HPC) hydrogel. In vitro flux study was performed at $33^{\circ}C$, using side-by-side diffusion cell. Full thickness hairless mouse skin and rat skin were used for this work. Current densities applied were 0.4 or $0.6mA/cm^2$ and current was off after 6 hour application. Stability study showed that levodopa solution with a pH 2.5 or 4.5 maintained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levodopa for 24 hours with the addition of 5% dextrose. However, at pH 9.5, levodopa was unstable and 30 to 40% of levodopa degraded within 24 hours, even with the addition of 5% dextrose. Hydrogel swollen with dextrose added levodopa solution maintained about 97% of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levodopa for 13 days, when stored in $4^{\circ}C$. The application of current did not affect the stability of levodopa in hydrogel. Flux study from levodopa solution with pH 2.5 showed that cathodal delivery of levodopa was higher than passive or anodal delivery. When the pH of the donor solution was 4.5, anodal delivery of levodopa was higher than passive or cathodal delivery. These results seem to indicate that electroosmosis plays more dominant role than electrorepulsion in the flux of levodopa at pH 2.5, and the reverse situation applies for pH 4.5. The passive flux was unexpectedly high for the ionized levodopa. Similar to the results from aqueous solution, cumulative amount of levodopa transported trom HPC hydrogel by cathodal deliver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assive or anodal delivery. The treatment of 70% ethanol cotton ball by scrubbing increased passive, anodal and cathodal flux, with the largest increase for anodal flux.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ontophoretic delivery of zwitterion such as levodopa is much complicated than that can be expected from small ionic molecules with single charge.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balance between electroosmosis and electrorepulsion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transport through skin.

토양에서 분리한 Paenibacillus polymyxa DY1의 항균활성물질 생산을 위한 배양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Antibacterial Activities by Paenibacillus polymyxa DY1 Isolated from Soil)

  • 신은석;권순일;유관희
    • 환경생물
    • /
    • 제25권4호
    • /
    • pp.342-348
    • /
    • 2007
  • 새로운 항균물질의 탐색이 활발하다. 선행연구에서 새로운 항균활성물질을 생산하는 세균이 한국토양에서 분리되어 Paenibacillus polymyxa DY1으로 동정 및 명명되었으며, 다제내성 장내세균들에 대한 항균활성 특성이 규명되어 새로운 항생물질로서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배지의 탄소원, 무기질소원, 유기질소원, 아미노산, 무기염류 등의 영양 조성물과 물리화학적 생장조건이 P. polymyxa DY1 균체의 생장과 항균활성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균체의 생장을 위하여 기초배지에 0.6% dextrose, 1.4% ammonium phosphate monobasic, 0.9% peptone, 2.4% glutamine, 2 mM sodium molibdate를 가한 후 pH를 8.0으로 조정하고 $35^{\circ}C$에서 30$\sim$48시간동안 180 rpm으로 진탕배양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였다. P. polymyxa DY1 항균활성의 생산은 기초배지에 1% dextrose, 1.5% ammonium sulfate, 1.1% casamino acid, 1.9% aspartic acid, 2 mM ferrous sulfate를 가한 배지를 pH 8.0으로 조정하고 $35^{\circ}C$에서 30$\sim$48시간동안 180 rpm으로 진탕배양하는 조건에서 가장 높았다.

단감나무 둥근갈색무뉘병원균 Pestalotiopsis theae의 배양적 특성 (Studies on Cultural Characteristics Pestalotiopsis theae causing Leaf Blight on Oriental Persimmon Tree)

  • 장태현;임태헌;정봉구;김병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32-238
    • /
    • 1997
  • 단감나무 둥근 갈색무늬병을 일으키는 P. theae, SP2, SP3 및 P. longiseta의 균사 생장과 포자 형성에 미치는 여러 요인을 조사하였다. 균사 생육 및 포자 형성 적온은 $25{\sim}30^{\circ}C$으로 나타났으며, $35^{\circ}C$$0{\sim}8^{\circ}C$에서는 균사 생장 및 포자 형성이 불량하거나 정지되었다. 균사 생육 및 포자 형성 최적 pH은 4.5~5.0과 6.0~6.0으로 나타났다. 모든 공시 균은 Leonian, PSA 그리고 오트밀 배지에서 양호한 균사 생육을 보였으며, 포자 형성은 오트밀과 PSA 비재에서 많은 량의 포자를 형성하였으나 대체적으로 PSA 배지에서 많은 량의 포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소원 typtone과 glycine, 탄소원 starch, dextrose, galactose 그리고 lactose 등에서 균사 생장이 가장 좋았다. 또한 질소원 glutamic acid, peptone과 tryptone, 탄소원으로 starch, sucrose와 galactose은 포자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비타민은 균사 생육 및 포자 형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배양 기간에 따른 배지의 pH 변화에서 배양전 pH 7인 배지는 배양 10일 후에는 SP2, SP3균은 각각 pH 4.5~4.7로 P. theae와 P. longiseta은 각각 5.0~5.4로 낮아졌지만, 배양전 pH가 5.0인 배지는 배양 10일 후에 모든 균이 pH 4.5~4.7로 유지되었다.

  • PDF

노린재동충하초의 배양 최적화 및 NO 생성 저해 효과 (Optimization for Mycelial Growth and Inhibitory Effect on Nitric Oxide Production of Cordyceps nutans Pat.)

  • 이기만;이금선;남성희;임성실;강태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07-314
    • /
    • 2011
  • 동충하초는 예로부터 아시아권에서 한방약재로 사용되어 온 곤충병원성진균이다. 이 중 노린재동충하초(Cordyceps nutans)는 자연 상태에서 비교적 많이 발견되나 이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편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C. nutans 균사체의 최적 배양 조건을 확립하고 배양액 처치 시대식세포의 NO (nitric oxide) 생성 억제 효능을 조사하였다. 균사 생육 적정 온도는 $25^{\circ}C$이었으며 pH는 7.0~8.0 사이의 중성범위로 조사되었다. MCM (mushroom complete medium), V8A (V8 juice agar), YMD (yeast malt dextrose) 배지에서는 균사 생육이 우수하였으나 MMM (mushroom minimal medium) 배지의 경우 균사 생육이 이루어지지 않아 영양원이 필수적이었다. 영양원 선발에 있어 탄소원은 dextrose와 sucrose가 적합하였고 질소원은 ammonium citrate가 균사 생장에 적합하였다. RAW 264.7 세포에 대한 C. nutans 배양액의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LPS (lipopolysaccharide)를 처리 한 세포의 NO 생성량은 농도 의존적으로 줄어들었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는 C. nutans 배양 시 다량의 균사체를 확보할 수 있는 최적 조건을 제공할 뿐 아니라 C. nutans의 항염 관련 우수한 생리 활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누에분말을 이용한 곤충기생균의 최적생장배지 개발 (The Medium Development for Entomopathogenic Fungi by Using Silkworm Powder)

  • 남성희;정이연;지상덕;조세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83-87
    • /
    • 2001
  • 현재까지 곤충기생균 고유배지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식물기생균 배지를 대체 이용해 옴에 따라, 본 시험에서는 고단백질원으로써 이용가치가 있는 누에분말을 이용하여 곤충기생균 최적배지를 개발코자 하였다. 그 결과 사면배지상에서 균 배양시 12종의 배양형태는 현상, 융기, 주변형태가 균종 및 배지에 따라 배양 상이 동일 혹은 다양하게 형성되었다. 균주별 생장율은 12균주 중 C. militaris를 제외한 11 균주가 SLA배지에서 PDA에 비해 대부분의 균생장이 양호하였으나 C. militaris는 기존배지와 비교해 생장률이 78.6%로 감소하였다. Dextrose 첨가시 최적 농도는 C. gracilioides등 6균주에서 6% 처리시 가장 높은 생장률을 나타내었다. 본 시험결과 선발된 배지로부터 배양균을 누에접종 후 재배 시험한 결과 감염율, 자실체 형성을, 분생자경수 및 분생자경의 길이는 91.3$\pm$1.5%, 88.6$\pm$2.3%, 56.6$\pm$3.2개, 33.4$\pm$2.8mm로 대조에 비해 모두 높게 나타났다. 본 시험에서 개발된 Dextrose를 첨가한 SLA-A배지의 경제성 분석결과 1ι생산시 기존배지가 6,261원이 소요되는 것에 비해 총 2,386원으로 생산이 가능해 본 배지로 대체시 61.9%의 절감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Regenerative Injection Therapy on Tendon Healing: Dextrose Prolotherapy versus Platelet-Rich Plasma

  • Jungmin Lim;Won-Jae Lee;Min-Soo Seo;Seong Mok Jeong;Sae-Kwang Ku;Youngsam Kwon;Sungho Yu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3-103
    • /
    • 2023
  • The tendon is a dense connective tissue that connects muscle to bone and plays an essential role in joint motion. The injured tendon heals slowly owing to its low cellularity and vascularity.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and compare the effects of regenerative injection therapy (RIT), 20 % dextrose prolotherapy (DP), and platelet-rich plasma (PRP) injections that can promote tendon healing. Twenty-one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divided into the control, DP, and PRP treatment groups. The superficial digital flexor tendon (SDFT) of the right hindlimb of each rabbit was used. A round defect of 2 mm was induced. Approximately 0.2 mL of 20% dextrose and autologous PRP were injected into the proximal and distal ends of the SDFT mass. Radiographic and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and cross-sectional area (CSA) calculations were performed pre-operatively and at 2, 4, and 8 weeks. The SDFT of both limbs was transected for biomechanical and histomorphometric evaluations. The SDFT of the left limb was transected for intact control. Semi-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histomorphometric properties. Addi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H&E, Masson's trichrome,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he biomechanical evaluation showed that the treatment groups had higher tensile strength compared to the defect control group, while the PRP group had higher tensile strength than the DP group. On histological examination, the treatment groups appeared to be relatively closer to the remodeling phase of the healing process than the defect control group;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P group were closer to the remodeling phase than those of the DP group. The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showed different tendencies. Increased values in the CSA were observed during the early period in the treatment groups. This study suggests that PRP and DP can promote the healing of tendon injury, and these effects were superior with PRP than that with DP.

비병원성 야생효모 Candida oleophila WP5-19-1로부터 장내유용세균 유해 효소 β-glucuronidase 저해제의 생산 및 특성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Beneficial β-glucuronidase Inhibitor from non pathogenic wild yeast, Candida oleophila WP5-19-1, and its effects on gut microbes )

  • 박선정;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1-40
    • /
    • 2022
  • 비병원성 야생효모로부터 대장에서의 독성물질 활성화에 관여하여 대장암을 유발시키는 효소 중의 하나인 β-glucuronidase를 저해하는 물질을 생산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 월평공원으로부터 분리 동정한 야생효모들 중 비병원성 야생효모들을 선별하여 배양 상등액과 무세포 추출물을 각각 제조한 후 β-glucuron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133균주의 비병원성 야생효모들 중 C. oleophila WP5-19-1의 무세포추출물이 49.0%의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여 우수 균주로 최종 선발하였다. β-Glucuronidase 저해물질 최적 생산 조건은 C. oleophila WP5-19-1를 초기 pH를 6.0으로 조정한 dextrose 5% 함유한 potato dextrose 배지에 접종하여 30℃에서 24시간 배양하였을 때였고 이때 IC50값; 8.4 mg으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C. oleophila WP5-19-1의 β-glucuronidase 저해물질을 한외여과와 Sephadex G-50으로 gel 여과를 실시하여 부분 정제하였고 이들은 30-60℃, pH 6.0-9.0에서 80% 이상의 잔존 저해활성을 보여 안정하였다. 또한 철, 구리, 아연과 같은 중금속 이온들은 저해활성을 활성화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