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ice-to-device

검색결과 25,729건 처리시간 0.052초

모바일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Device Description Repository System)

  • 이영일;인민교;이강찬;이승윤;김창수;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320-323
    • /
    • 2008
  • 모바일 단말의 성능 향상으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이기종 모바일 단말간의 콘텐츠 표현성능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어 단말에 종속적인 콘텐츠 개발을 강요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콘텐츠를 단말의 성능에 맞추어 재구성하는 적응화(Adaptation) 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적응화 과정에서 사용되는 단말의 성능 정보를 단말정보 표현 언어를 통해 기술하는데, 이 단말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Contents provider)에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하는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Device Description Repository)의 부재 및 단말정보 데이터의 확보는 여전히 문제로 남아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단말정보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단말정보의 변환 방법을 제시하고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화장하여 정의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D2D 통신을 고려한 에너지 효율성 분석 (Analysis of Energy Efficiency Considering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s in Cellular Networks)

  • 정민채;최수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A권7호
    • /
    • pp.571-579
    • /
    • 2013
  • 본 논문은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D2D (device-to-device) 통신을 고려한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적인 모드 선택 기법 (mode selection) 및 파워 할당 기법 (power allocation)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각 단말(device)의 에너지 효율성의 합 측면에서 에너지 효율성 (energy efficiency)을 분석한다. 먼저, 각 단말의 모든 가능한 모드에 대해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하는 전송 파워를 계산한다. 제안하는 파워 할당 기법은 시스템 용량 측면에서 최적은 아니지만, 에너지 효율성 측면에서 최적의 성능을 보인다. 제안하는 전송 파워 할당 기법을 기반으로, 모든 가능한 모드에 대해 에너지 효율성을 구한다. 다음 단계로, 모든 가능한 모드 중에서 최대의 에너지 효율성을 갖는 모드를 구하며 동시에 해당 모드의 할당 전송 파워를 도출할 수 있다. 제안 기법은 에너지 효율성 측면에서 최적의 성능을 보이며, 기존 기법에 비해 월등한 성능을 보인다.

모바일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 (Mobile Device Description Repository System)

  • 이영일;인민교;이강찬;이승윤;김창수;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2091-2096
    • /
    • 2008
  • 모바일 단말의 성능 향상으로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이기종 모바일 단말간의 콘텐츠 표현성능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어 단말에 종속적인 콘텐츠 개발을 강요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콘텐츠를 단말의 성능에 맞추어 재구성하는 적응화(Adaptation)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적응화 과정에서 사용되는 단말의 성능 정보를 단말정보 표현 언어를 통해 기술하는데, 이 단말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Contents Provider)에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하는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Device Description Repository)의 부재 및 단말정보 데이터의 확보가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단말정보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단말정보의 변환 방법을 제시하고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확장하여 정의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단말정보 저장소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술 요소 (The technical elements of the wearable device)

  • 심현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9-263
    • /
    • 2014
  • ICT 분야에서 2014년의 주목할 만한 이슈 중 하나가 "입는 컴퓨터(Wearable Computer)" 즉 "Wearable Device" 시대의 개막이다. 삼성 갤럭시 기어, 구글 글래스, 그리고 애플 워치와 같은 제품들을 웨어러블 디바이스라고 한다. MIT 미디어 랩의 정의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신체에 부착하여 컴퓨팅 행위를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지칭하며 일부 컴퓨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까지 포함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또 하나의 두뇌다.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대중화되면 달라지는 것이 수없이 많아질 것이다. 일단 두 손이 자유로워진다. 내 몸이 24시간 인터넷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단지 스마트폰이나 디바이스를 몸에 붙인다는 수준이 아니라 디바이스가 바로 우리 몸의 외부에 연결되어 있는 두뇌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술 요소를 관련 기업들 별로 분석해 본다.

  • PDF

온디바이스 AI 비전 모델이 탑재된 지능형 엣지 컴퓨팅 기기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edge computing device equipped with on-device AI vision model)

  • 강남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7-22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엣지 컴퓨팅을 지원할 수 있는 경량 임베디드 기기를 설계하고, 영상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에서 객체를 실시간으로 빠르게 검출할 수 있음을 보인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산업 현장이나 군 지역과 같이 사전에 설치된 인프라가 없는 환경에 적용되는 지능형 영상 관제 시스템이나 드론과 같은 자율이동체에 탑재된 영상 보안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지능형 비전 인지 시스템이 확산 적용되기 위해 온디바이스 AI(On-Device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 적용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영상 데이터 취득 장치에서 가까운 엣지 기기로의 컴퓨팅 오프 로딩은 클라우드를 중심으로 수행되는 인공지능 서비스 대비 적은 네트워크 및 시스템 자원으로도 빠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해킹 공격에 취약한 공격 표면의 감소와 민감한 데이터의 유출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다양한 산업에 안전하게 적용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Utility of 3D Echocardiography for Device Sizing During Transcatheter ASD Closure: A Comparative Study

  • Avinash Mani;Sivadasanpillai Harikrishnan;Bijulal Sasidharan;Sanjay Ganapathi;Ajit Kumar Valaparambil
    • Journal of Cardiovascular Imaging
    • /
    • 제31권4호
    • /
    • pp.180-187
    • /
    • 2023
  • BACKGROUND: Two-dimensional (2D)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TEE) is commonly used for assessing patients undergoing transcatheter atrial septal defect (ASD) device closure. 3D TEE, albeit providing high resolution en-face images of ASD, is used in only a fraction of cases. We aimed to perform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3D and 2D TEE assessment for ASD device planning. METHODS: This wa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conducted over a period of one year. Patients deemed suitable for device closure underwent 2D and 3D TEE at baseline. Defect characteristics, assessed separately in both modalities, were compared. Using regression analysis, we aimed to derive an equation for predicting device size using 3D TEE parameters. RESULTS: Thirty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majority being females (83%). The mean age of the study population was 40.5 ± 12.05 years. Chest pain, dyspnea and palpitations were the common presenting complaints. All patients had suitable rims on 2D TEE. A good agreement was noted between 2D and 3D TEE for measured ASD diameters. 3D TEE showed that majority of defects were circular in shape (60%). The final device size used had high degree of correlation with 3D defect area and circumference. An equation was devised to predict device size using 3D defect area and circumference. The mean device size obtained from the equation was similar to the actual device size used in the study population (p = 0.31). CONCLUSIONS: Device sizing based on 3D TEE parameters alone is equally effective for transcatheter ASD closure as compared to 2D TEE.

n-MOSFET 정전기 방전 분석 (Electrostatic Discharge Analysis of n-MOSFET)

  • 차영호;권태하;최혁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587-595
    • /
    • 1998
  • Transient thermal analysis simulations are carried out using a modeling program to understand the human body model HBM ESD. The devices were simulated a one-dimensional device subjected to ESD stress by solving Poison's equation, the continuity equation, and heat flow equation. A ramp rise with peak ESD voltage during rise time is applied to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n discharged exponentially through the device. LDD and NMOS structures were studied to evaluate ESD performance, snap back voltages, device heating. Junction heating results in the necessity for increased electron concentration in the space charge region to carry the current by the ESD HBM circuit. The doping profile adihacent to junction determines the amount of charge density and magnitude of the electric field, potential drop, and device heating. Shallow slopes of LDD tend to collect the negative charge and higher potential drops and device heating.

  • PDF

Tas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Changes in the Situation Based on IoT

  • Kerang, Cao;Lee, Hyunju;Jung, Hoekyung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3권6호
    • /
    • pp.1459-1466
    • /
    • 2017
  • Recently, the development of the smart home field provides a range of services to install and keep the smart home appliance in a user's residential environment pleasantly. However, the conventional system method is not convenient enough to use properly because users have to select a device and manually operate the device on their own.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to set the priority of the devices selected by the user and proceed with the task. When a user selects a device, the system recommends an optimal device associated with the device. The system compares and sets the priority of each device, carrying out the task one by one according to the set priority. Therefore, the proposed system is expected to provide users with increased convenience and more efficient task management.

Performance Improvement for Device-to-Device (D2D) Users in Underlay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s

  • Bin Zhong ;Hehong Lin;Liang Chen ;Zhongshan Zh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8권9호
    • /
    • pp.2805-2817
    • /
    • 2024
  •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formance of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s in underlay cellular networks by analyzing key metrics such as successful transmission probability, coverage probability, and throughput. Under the homogeneous Poisson point process (PPP) spatial distribution of full-duplex (FD)-D2D users in cellular networks, stochastic geometry tools are used to derive approximate expressions for D2D users' coverage probability and throughput. In comparison to the conventional half-duplex (HD) communication mode, when the self-interference cancellation factor β reaches -95 dB, there is a substantial improvement in the throughput of FD-D2D users, nearly doubling their gain. Additionally,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Newton iterative algorithm can be used to optimize the targeted signal-to-interference-plus-noise-ratio (SINR) threshold of users within the range of (10, 20) dB.

사용자 수준의 단말기 구동기 모델 (TTY Device Driver Model of User-Level)

  • 이형주;임성락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2권6호
    • /
    • pp.815-822
    • /
    • 1995
  • 기존의 유닉스 시스템에서는 모든 장치의 구동기가 커널 내부에 구현되어 있다. 따라서, 새로운 장치를 지원하기 위한 구동기를 추가하거나 기존의 구동기를 변경할 경우 커널 내부의 수정 작업이 불가피하다. 일반적으로 유닉스 시스템에서는 커널내 부의 수정 작업이 매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 으로써 사용자 수준의 단말기 구동기 모델을 제시한다. 제시한 모델의 기본 개념은 단말기 구동기를 사용자 수준의 서버로 구현함으로써 새로운 단말기 구동기의 동적 재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시한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자 수준의 단말기 구동기를 SunOS 와 Linux 환경에서 구현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