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발달 장애인을 위한 증강현실 기반 상황훈련 시스템 (A Situational Training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for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 최재인;김경래;김태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629-636
    • /
    • 2013
  •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복지수준이 발전함에 따라 일반인들을 위한 여러 인터페이스 장비나 훈련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발달 장애인을 위한 훈련 시스템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발달 장애인이 일상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인지능력과 상황대처 능력의 향상을 위한 증강현실 기반 실시간 상황 훈련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음식점 서빙'이라는 주제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 시스템은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훈련자에게 다양한 상황에 대한 경험을 안전하게 반복 훈련 가능하도록 한다. 훈련자는 HMD를 착용하고 훈련 공간 주위를 볼 수 있으며, 시나리오에 따른 상황 훈련을 수행한다. 본 시스템을 3개월간 특수학교에서 실시한 결과 발달 장애 학생들은 HMD 착용에 대한 거부감 없이 흥미를 가지고 훈련에 참여했으며 점차 인지속도가 빨라지고 상황대처 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특수학교 교사들로부터 본 시스템이 교육적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는 피드백을 받았다.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Exploring Variables Affecting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기룡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33-341
    • /
    • 2020
  •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함으로써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 원자료 중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자료를 활용하였고,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를 종속변수로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16개 변인을 독립변수로 각각 설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인의 성, 연령, 장애정도, 가족지지, 생활만족도, 수단적일상생활수행능력이 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탐색되었다. 따라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관, 관련 인력 및 프로그램 확대와 같은 인프라 구축뿐만 아니라 발달장애인이 평생교육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도 함께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E REDEFINITION OF SUPPORT SYSTEM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BASED ON UNIVERSITY: LEADING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COMPOSITION SYSTEM BETWEEN COOPERATION WITH LOCAL RELATED ORGANIZATIONS AND FOSTERING QUALIFICATIONS FOR PROFESSIONALS THROUGH CONNECTION WITH CURRICULUM BEYOND THE LEVEL OF USE OF PHYSICAL SPACE

  • Kim, Young-Jun;Kim, Wha-Soo;Rhee, Kun-Y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52-60
    • /
    • 2021
  • This study is conducted with the aim of redefining the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developmental disabled.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procedures in parallel with literature analysis and expert meetings. As for the contents of the study, a composition system that recognized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based on universities was primarily presented. Through this, it was suggested that universities can form an academic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along with the convergence field. In addition, a structural model related to this was presented along with the aspect that universities could develop a curriculum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according to the school foundation. Also, a composition system was suggested that universities can develop lifelong education curriculu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lead the cooperation of local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lifelong education centers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leadership in the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developmental disabled can contribute to fostering professional manpower qualifications and establishing cooperation with local related organizations in an integrated composition system.

발달장애인 커뮤니티 케어 실현방안 연구: 일본의 지역사회 실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community care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Focusing on Japanese community practice)

  • 신경안;이은아;김도훈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88-96
    • /
    • 2020
  • 우리나라 발달장애인의 시설입소율은 다른 장애유형에 매우 높은 편이다. 따라서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삶을 지원하는 '커뮤니티 케어'는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장애가족이 돌봄의 주체가 되어 부양부담을 호소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의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지원에 대한 기관방문과 인터뷰를 통해 실천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본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로의 전환은 그룹홈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민간은 그룹홈에서 중증장애인까지도 지역사회 생활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삿포르시청은 고령부모의 발달장애인 돌봄문제 해결을 위한 민간연계를 진행하고 있었다. 이에 우리나라의 정책적 제언으로 그룹홈 확대와 장애인 거주시설의 기능전환, 고령부모의 장애인 돌봄 문제 대처, 청장년 독거인의 실태조사로 예방적 서비스의 제공을 제언한다. 실천적 제언으로는 자립을 위한 일상생활 능력향상을 위한 그림 등의 교육교재 개발과 보급,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훈련에서 충분한 인력과 시설 확충, 성인 발달장애인과 보호자를 위한 쉼터 운영이 필요할 것이다.

성인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 관련 현황 및 종사자의 인식에 대한 연구: 서울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ssociated with Challenging Behavior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Perception of Workers: Focused on Cases at Lifelong Education Centers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in Seoul)

  • 유수진;이은혜;한정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383-392
    • /
    • 2020
  •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성인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 관련 현황 및 이와 관련한 종사자의 인식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16개 기관과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4명의 센터장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종사자의 85.4%가 지난 1년 간 도전적 행동으로 인해 상해를 경험한 적이 있으며, 상해를 경험한 종사자는 소진, 심리적 트라우마, 이직을 고려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도전적 행동에 대한 기관의 사전대응은 '개별공간 확보', '도전적 행동 유발요인 사전파악'이 각각 87.5%로 가장 많았으며, 후속대응으로는 81.3%의 기관에서 해당 상황에 대한 사례회의 및 슈퍼비전을 진행한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도전적 행동 대응과 관련한 제안사항으로, 기관차원의 시스템 구축, 유관기관과의 협력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증례보고 : 발달장애인 구강보건교육사업 전후 비교 (Case report : Comparative Study Before and After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황수정;김민지;송은주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5-50
    • /
    • 2020
  • A total of nine oral health educators for 17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ducted oral health education once a week for four weeks. The oral health educators provided oral health knowledge education and individual toothbrushing teachings.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in their 20s and 30s conducted oral health education without a guardian. Ten people who completed all the four pieces of training had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toothbrushing method and the recommended number of toothbrushing sessions a day, as well as a lack of growth in oral health knowledge. However, 58.8% of the individuals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whereas, 52.9% expressed the desire for a re-education. Although the ratio of teachers to students was 1:2, and the oral health education conducted four times, it was insufficient to promote a successful oral health behavior or knowledg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fore, as a suggestion, oral health educ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ught to proceed with their guardians to promote the success of the training.

AAC를 통해 알아본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생활 의사 (Intention to Live Independently in the Communit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Identified by AAC)

  • 김남숙;박주홍;김보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427-434
    • /
    • 2021
  • 본 연구는 보완대체의사소통(AAC)를 통해 지역사회 자립생활 지원에 기초자료가 될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욕구와 의사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으며 나아가 발달장애인에 포용적인 지역사회를 구현하는데 기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20년 8월 7일부터 9월 11일까지, 훈련된 조사원이, AAC 설문지를 활용하여 발달장애인 전문기관에서 추천받은 당사자 74명을 대상으로 1:1 면접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으로 빈도분석, 교차분석, T검정 분석했다. 그 결과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생활에는 주거와 취업 등 지역사회 차원의 여건 조성, 적성과 기호를 고려한 일자리 등이 중요하며 시민으로서의 권리행사 등 사회참여에 대한 기대와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대리인을 통한 연구결과와 다른 것으로, 향후 발달장애인 지원정책이 의사결정 지원에 의한 당사자의 욕구에 기초하고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지역사회 안에서 살아가는 일상적 삶'을 지향해야 함을 보여준다.

헬스케어 데이터 기반의 개인 건강관리 데이터 서버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personal health management data server platform based on health care data)

  • 박도영;송호준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29-34
    • /
    • 2022
  • 21세기 들어 발생하는 Covid 19 팬더믹과 같은 새로운 질병의 발현과 바쁜 현대인의 일상에 따른 건강 이상신호가 발생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헬스케어 관리 및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환자 개인의 헬스케어 데이터 기반의 개인건강 관리 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 건강 관리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가 건강진단 및 해결을 위한 IT를 접목한 개인건강 헬스케어 플랫폼 개발과 인체에서 발생하는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플랫폼으로 전달하는 앱 개발을 통하여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인의 건강관리 뿐만 아니라, 발달장애인 및 의사표현이 어려운 취약계층의 심리정서 모니터링을 통한 심리정서 케어 지원 니즈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개인의 건강 및 생활환경 데이터 전반을 통합하여 개인에게 최적화된 의료 및 건강관리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목표를 두고 진행하였다.

장기공여를 위한 사전동의의 생의윤리학적 고찰 (A Bioethical Study of the Informed Consent for Organ Donor)

  • 엄영란;한성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475-487
    • /
    • 1998
  • This is a study to search for the ethical basis for valid informed consent of organ donors. It is an admirable action that a person give his own body part or organ as a gift to another person. The organ for transplantation can be removed only when the donor consents voluntarily to donation. It is recently proposed as the need for organ transplantation is increased that organs can be harvested although the consent of deceased cannot be obtained. This may raise many moral issues because human beings all have an unalienable right to control their own bodies. The principle of autonomy is usually regarded as an ethical basis for informed consent. However, some people criticize that the principle of autonomy requires a person and his decision to be autonomous (but there are many patients who aren't autonomous due to their confusion or unconscious condition in a clinical situation). or this principle can foster indifference to patients needing help: thus respect for principles of care and beneficence is necessary. When we consider the complexity of making a decision about organ donation. the principle of autonomy should be replaced by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individual autonomy. as expressed by Childress (1990). This principle requires the care givers to respect the client's individual decisions. The elements of informed consent are threshold elements: competence to understand and decide. voluntariness in deciding: information elements: disclosure of material information. recommendation of a plan. understanding of disclosure and recommendation: and consent elements: decision in favor of a plan. authorization of the chosen plan. In cases of living donors. the elements of competence and voluntariness are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s. So only an adult can give a recipient his own body part. but it should be forbidden to harvest from minors or protected adults (i.e.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 However. when organs are removed from a cadaver donor. we ought to respect the donor's decision. So we ought to try to seek donor cards or any documents expressing the donor's opinion about organ transplant. All health care givers ought to disclose donor information about organ transplantation clearly enough for the donor to understand it and to be able to weigh the harms and benefits. We are going to propose 'the subjective standard' as the ethical standard of disclosure. This standard will assure that patients have enough information to be able to decide autonomously from their own position. Care givers have to consider the method of disclosure because donors can be influenced by it positively or negatively, Establishment of the Hospital Committee is recommended. because medical professionals will have a chance to discuss the procedure of decision and the validity of harvesting a organ from a pers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