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toxification.

검색결과 569건 처리시간 0.025초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에서 분리한 Glutathione S-transferase 유전자의 분자생물학적 고찰 및 발현분석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Analysis of a Glutathione S-Transferase cDNA from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문지영;박은희;공희정;김동균;김영옥;김우진;안철민;남보혜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99-4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대용량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GST유전자의 전장 cDNA를 동정하였다. 북방전복 GST 유전자의 총 길이는 1669 bp로 672 bp의 ORF는 총 223개의 아미노산을 코딩하고 있으며 등전점은 5.69, 분자량은 25.8 kDa으로 예측되었다. 북방전복 GST아미노산 서열은 둥근전복과 지중해 담치와 같은 패류의 GSTA와 가장 유사성이 높았으며 계통수 분석을 통해 GSTA와 하나의 그룹을 이루었다. 북방전복 GST에는 GSTA의 특징을 갖는 두 site (N-말단의 G-site, C-말단의 H-site)가 보존되어 있었고 효소활성과 구조 유지에 중요한 잔기가 종간에 매우 보존되어 있었다. 북방전복 GST 유전자의 mRNA는 관찰된 모든 조직에서 발현하고 있었으며, 특히 외투막, 아가미, 간췌장, 소화관에서 높은 발현이 확인되었다. 북방전복의 GST는 비브리오균을 인위감염 시킨 전복의 간췌장에서 감염 후 1시간 뒤 발현이 급격히 증가했다가 3시간까지 증가한 뒤 감소하였고, 혈구세포에서는 감염 3시간 경과 후 발현 정도가 최고로 증가했다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북방전복 GST는 alpha class GST의 특징을 가지며 병원체 감염에 따른 면역반응 조절에 관여할 것이라 생각되며 병원균 감염에 따른 바이오마커로 활용가능 할 것이라 예상된다.

한국인 두경부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Glutathione S-transferase(GST)M1, GSTT1 및 GSTP1유전자 다형성 및 유전적 감수성 (Polymorphism of Glutathione S-Transferase(GST)M1, GSTT1, GSTP1 and Genetic Susceptibility to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in Korean Population)

  • 태경;서인석;강미정;조석현;김경래;이형석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0-156
    • /
    • 2002
  • Objectives: Most of human cancers may result from exposure to environmental carcinogens, and individual effectiveness in the detoxification of these chemicals will influence susceptibility to malignant disease. Glutathione S-Transferases(GSTs) enzymes are involved in the detoxification of active metabolites of many carcinogens from tobacco smoke and may be important in modulating susceptibility to smoke-related canc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olymorphism of GSTM1, GSTT1, and GSTP1 in control group and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group of Korea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STs polymorphism on the risk of head and neck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A hospital-based case-control study was performed with a group of 133 control individual and 136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patients. The polymorphisms of GSTs were analysed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in GSTM1 and GSTTl,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in GSTP1. Results: The relative risk (odds ratio) of GSTM(-) genotype was 1.14(95% CI, 0.70-1.85) compared to GSTM1(+). The odds ratio of GSTTl(-) genotype was 0.91(95% CI, 0.55-1.50). In old age($65$) group, the odds ratio of GSTT1(-) genotype was 5.2(95% CI, 1.53-17.89). The GSTP1 Val/Val genotype conferred a 1.7-fold risk(95% CI, 0.40-7.34) of head and neck cancer compared with GSTP1 Ile/Ile genotype. Among the combined genotypes of GSTs, GSTM1(-)/GSTT1(+)/GSTP1 Val/Val and GSTM1(-)/GSTTl(-)/GSTP1 Ile/Val genotypes conferred a 2.6-fold and 1.3-fold risk(95% CI, 0.24-14.15 and 0.43-3.14) compared with the GSTM1(+)/GSTTl(+)/GSTP1 Ile/Ile genotype, respectively. Conclusion: Polymorphism of GSTs might modulate susceptibility to head and neck cancer in Korean population. The genotype of GSTP1 Val/Val and combined genotypes of GSTM1(-)/GSTT1(+)/GSTP1 Val/Val, and GSTM1(-)/GSTT1(-)/GSTP1 Ile/Val might be important risk factors to determine the individual susceptibility to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갈근(Radix Puerariae)과 죽력 (Bambusae caules in Liquamen Phyllostachyos)을 함유한 숙취해소 음료가 알코올을 투여한 생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Alcohol Detoxification Beverage (ADB) Contained Radix puerariae and Bambusae caules in Liquamen Phyllostachyos on the Alcohol Administered Mouse)

  • 김정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18-323
    • /
    • 2004
  • 갈근(Radix puerariae, 15%)과 죽력 ( Cause in Liquamen Phyllostachyos, 1%)을 함유한 음료가 알코올을 투여한 생쥐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 하고자 하였다. 대조군은 생쥐에 대조군은 생쥐에 알코올(40% alcohol, 8.0 mL/kg)을 단독 투여 하였으며, 실험 1군은 숙취 해소음료(8.0 mL/kg)를 투여한 다음 알코올을 투여하였고, 실험 2군은 알코올을 투여한 다음 동일음료를 투여하였다 실험 1군과 실험 2군의 알코올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ALT활성 변화는 없었으나, AST의 활성은 실험 1군과 실험 2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다소 증가하였다. Mn-SOD의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간조직의 PAS 반응은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 1군과 실험 2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전자현미경을 통한 미세구조적 관찰 결과 실험 1군과 실험 2군에 비하여 대조군에서 세포소기관의 손상정도가 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갈근과 죽력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는 숙취해소에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Lymphocyte DNA damage and plasma antioxidant status in Korean subclinical hypertensive patients by glutathione S-transferase polymorphism

  • Han, Jeong-Hwa;Lee, Hye-Jin;Choi, Hee Jeong;Yun, Kyung Eun;Kang, Myung-H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1권3호
    • /
    • pp.214-222
    • /
    • 2017
  • BACKGROUND/OBJECTIVES: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forms a multigene family of phase II detoxification enzymes which are involved in the detoxification of xenobiotics by conjugating substances with glutathion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antioxidative status and the degree of DNA damage in the subclinical hypertensive patients in Korea using glutathione S-transferase polymorphisms. SUBJECTS/METHODS: We examined whether DNA damage and antioxidative status show a difference between GSTM1 or GSTT1 genotype in 227 newly diagnosed, untreated (systolic blood pressure $(BP){\geq}130mmHg$ or diastolic $BP{\geq}85mmHg$) subclinical hypertensive patients and 130 normotensive subjects (systolic BP < 120 mmHg and diastolic BP < 80 mmHg). From the blood of the subjects, the degree of the DNA damage in lymphocyte, the activities of erythrocyte superoxide dismutase, the catalase, and the glutathione peroxidase, the level of glutathione, plasma total radical-trapping antioxidant potential (TRAP), anti-oxidative vitamins, as well as plasma lipid profiles and conjugated diene (CD) were analyzed. RESULTS: Of the 227 subjects studied, 68.3% were GSTM1 null genotype and 66.5% were GSTT1 null genotype. GSTM1 null genotype had an increased risk of hypertension (OR: 2.104, CI: 1.38-3.35), but no significant association in GSTT1 null genotype (OR 0.982, CI: 0.62-1.55). No difference in erythrocyt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or glutathione peroxidase, and plasma TRAP, CD, lipid profiles, and GSH levels were observed between GSTM1 or GSTT1 genotype. Plasma levels of ${\alpha}-tocopherol$ increased significantly in GSTT1 wild genotype (P < 0.05); however, plasma level of ${\beta}-carotene$ increased significantly in GSTT1 null genotype (P < 0.01). DNA damage assessed by the Comet assa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STM1 null genotype than wild genotype (P < 0.05). CONCLUSIONS: These results confirm the association between GSTM1 null genotype and risk of hypertension as they suggest that GSTM1 null genotype leads to an increased oxidative stress compared with wild genotype.

고축적식물의 중금속 흡수기작과 뿌리에 의한 근권 토양의 화학변화 - 총설 (Hyperaccumulation mechanism in plants and the effects of roots on rhizosphere soil chemistry - A critical review)

  • 김권래;;;김계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80-291
    • /
    • 2007
  • 토양중 중금속을 흡수해서 체내에 고농도로 축적할 수 있는 식물, 이른바 고축적식물(hyperaccumulator)의 발견으로 오염토양에 대한 식물복원(phytoremediation) 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이들 연구의 방향은 크게 고축적식물의 중금속 축적 기작을 밝히기 위한 것과 축적효율을 높임으로써 복원 효율을 향상시키는 실용적인 기술개발로 나누어진다. 지금까지 고축적식물에 의한 중금속 축적 기작은 다섯 가지의 특이 기작으로 알려져 있는데, 1) 뿌리세포의 중금속 흡수 증진, 2) 식물체 조직내의 중금속 이동성 향상, 3) 중금속의 무독화(detoxification) 및 격리(sequestration), 4) 토양-뿌리 경계면에서의 중금속 유효도 증진, 그리고 5) 중금속 오염토양으로의 능동적인 뿌리의 성장 등이 이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토양 중 낮은 중금속 유효도는 식물복원 기술의 현장 적용에 있어 제한요소로 간주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위에 기술된 다섯 가지 기작 중 고축적식물의 뿌리가 근권 토양중 중금속의 화학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식물 뿌리에 의한 근권 토양의 pH 변화와 뿌리에서 나오는 분자량이 적은 유기산(low-molecular-weight organic acids, LMWOAs)과 같은 유기성 분비물은 근권부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변화시키고 결과적으로 중금속의 유효도를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뿌리에서 나오는 $H^+$ 이온은 토양 pH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중금속의 유효도는 증가한다. 또한 고농도의 중금속에 노출된 뿌리는 많은 양의 유기물질을 분비하게 되고 근권 토양에 축적되는 이 유기물질은 토양중 중금속과 결합하여 유기복합물질(organo-metallic complexes)을 형성하면서 유효도를 증가시킨다.

알칼리 처리 및 가열, 저장에 따른 진주담치의 마비성 패류독 성분 특성 및 제독 (Detoxification and Paralytic Shellfish Poison Profile with Heating, Storage and Treatment of Alkaline in Blue Mussel, Mytilus edulis)

  • 장준호;윤소미;이종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12-218
    • /
    • 2006
  • 독화된 진주담치 (blue mussel, Mylilus edulis)를 pH 처리, 온도별 저장 그리고 가열에 의한 마비성 패류독의 독성과 독조성 특성 변화는 다음과 같다. pH 3으로 조절한 시료가 14.1 MU/g$(100\%)$으로 가장 높은 독성이 검출되었고, pH 5는 12.9 MU/g$(92.1\%)$, pH 7은 9.0 MU/g$(63.8\%)$으로 검출되었으나, 마비성 패류독은 독성이 불안정한 알칼리 조건인 pH 9에서는 3.6 Mu/g$(25.5\%)$, pH 10은 0.8 Mu/g$(5.7\%)$으로 독성 이 검출되었다. 저장기간 동안의 독성은 pH(3, 5, 7, 9) 그리고 온도(30, -5, $20^{\circ}C$)에서 5일$(19.9\~65.3\%)$까지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5일 후부터 30일까지는 약간의 독성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더 높은 온도에서 저장에서는 독성이 더 빨리 감소하였다. 대부분의 성분인 C군(C1, C2)과 GTX1,2,3,4, STX 그리고 dcSTX으로 8개의 성분이 검출되었고, 8개의 독성분 중에서 GTX1,4, STX 그리고 dcSTX는 모든 가공 조건에서 독성이 감소함에 따라 제일 먼저 감소하였다. 독성이 기준 독성치(4 MU/g)보다 3배 이상이더라도 마쇄된 패류 육에 pH를 알칼리 (pH 7이상)로 처리하고, 10분의 가열에 의해 독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다.

수산생물 종류별 마비성 패류독소 축적 및 정화 (Accumulation and Depuration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in Marine Organisms)

  • 목종수;오은경;손광태;이태식;이가정;송기철;김지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465-471
    • /
    • 2012
  • To compare the accumulation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PSP) in different marine organisms, the occurrence and variation of PSP were surveyed in blue mussel Mytilus edulis, oyster Crassostrea gigas, short neck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ay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and warty sea squirt Styela clava collected from Jinhae Bay, Korea, in 2005 and 2006 year. We also investigated the ability of the blue mussel to detoxify PSP by relaying and depuration (via the water flow or water circulation system). In the marine organisms examined, PSP levels were the highest in blue mussel, followed in order by bay scallop, oyster, short neck clam, and warty sea squirt. Comparing the maximum PSP levels in the bivalve species examined in 2005 and 2006, PSP in blue mussel was 1.6-2.0, 4.0-5.9, and 5.1-6.0 times higher than in bay scallop, oyster, and short neck clam, respectively. Therefore, blue mussel could be useful as a bioindicator for PSP monitoring. With the increasing PSP levels in blue mussel in 2006, the proportion of PSP in its digestive gland increased to 95.1% when the maximum level was detected from the whole tissues of blue mussel on May 29. Subsequently, the PSP proportion in the digestive gland decreased as the PSP level in whole tissue decreased. The detoxification of PSP in blue mussel was greatest with relaying, followed by the water flow, and water circulation systems. Relaying decreased the PSP level below the regulatory limit of $80{\mu}g$/100 g after 2 days in low toxic sample with $124{\mu}g$/100 g, and after 7 days in high toxic sample with $401{\mu}g$/100 g. During depuration in the blue mussel with $401{\mu}g$/100 g via the water flow system, the PSP amounts in the digestive gland decreased by about 50% after 1 day, and about 77% after 7 days. In contrast, the PSP amounts in the soft body, gill, and mantle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with depuration.

흑홍삼혼합물이 체내 알코올대사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Black Red Ginseng Mixture on Alcohol Metabolism in Rats)

  • 이준;황병환;송혜진;장선형;최수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55-662
    • /
    • 2016
  • 본 시험은 흑홍삼이 함유된 혼합물의 숙취해소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효소원을 이용한 혼합 재료들 간의 ADH와 ALDH의 활성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타사 비교군에 비해 현저히 높은 값을 보였다. 그리고 알코올을 투여하여 숙취를 유도한 시험동물의 혈중 에탄올의 양과 아세트알데히드의 양을 측정하여 생체 내 알코올 분해효능을 평가한 결과, 흑홍삼혼합물을 섭취한 군에서 알코올 투여 1시간 후부터 에탄올의 양은 숙취유도군에 비해 월등히 낮았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농도 의존적으로 에탄올의 양이 감소하였다. 주요 숙취 증상을 야기하는 아세트알데히드의 양은 숙취유도군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한 반면, 흑홍삼혼합물 섭취군은 알코올 섭취 1시간 후부터 증가하였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빠르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흑홍삼혼합물이 알코올분해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간 조직을 분리해 ADH와 ALDH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흑홍삼혼합물을 섭취한 군이 타사 비교군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시험결과로 보아 흑홍삼 혼합음료는 혈중 에탄올의 흡수를 지연시킬 뿐 아니라, ADH와 ALDH의 활성을 증가시켜 혈중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숙취해소 음료로 이용이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에탄올 및 사염화탄소의 긴 손상에 미치는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의 영향 (Influence of Protaetia brevitarsis Extract on Liver Damage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and Ethanol in Rats)

  • 이형철;황상구;강영국;손영옥;문자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05-414
    • /
    • 2001
  •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는 간 질환의 치료를 위해 민간요법 뿐만 아니라 한방에서는 이용하는 전통약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사염화탄소와 에탄올로 간 손산을 유도한 흰쥐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PB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염화탄소는 이물질대사효소(cytochrome P_450, cytochrome b$_{5}$, cytochrome b$_{5}$ reductase), TBARS, 혈청 AST와 ALT, 간 무게비에서 유의한 변화가 확인되는 간독성이 유발하였으며, 에탄올은 혈청 AST와 TBARS의 변화는 유도하지 않았으나 이물질대사효소, ALT, 체중 당 무게비가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PBE로 전 처리한 실험군은 이물질대사효소(cytochrome P_450, cytochrome b$_{5}$, cytochrome b$_{5}$, reductase), 혈청 TBARS, AST와 ALT, 간무게비에서 어떠한 유의적인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결과는 적어도 이 실험조건에서는 PBE가 사염호탄소 혹은 에탄올로 유도한 간 독성에 대하여 보호 또는 회복효과가 없다고 판단된다.

  • PDF

댑싸리하고초(夏枯草) 약침액(藥鍼液)의 암예방 활성 (Chemopreventive activity of Prunella Herba Vulgaris L. Aqua-acupuncture Solution)

  • 박신화;임종국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18권1호
    • /
    • pp.11-20
    • /
    • 2001
  • 댑싸리하고초 약침액을 이용하여 phase II detoxification 효소인 quinone reductase (QR 및 GST) 유도, GSH 생성량, phase I 효소 cytochrome P4501A1 활성억제, 발암물질 B[a]P-DNA adduct 형성의 저해효과 등을 측정하였다. QR 생성 유도를 Hepa1c1c7로 실험한 결과, 댑싸리하고초 약침액및 열수추출액 모두에서 유도 되었으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유도율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GSH와 GST의 유도율도 약침액에서 나타났다. 댑싸리하고초 약침액 $5{\times}$에서 45.2%의 cytochrome P4501A1 효소활성 저해효과를 측정할 수 있었다. 또한 B[a]P-DNA binding 저해효과를 실험한 결과, 약침액 $3{\times}$ 농도에서 45.0%의 저해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댑싸리하고초 약침액은 암억제 물질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