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tecting Effect

검색결과 506건 처리시간 0.03초

투명감 측정을 통한 제형의 미백 효능 평가와 투명감에 관여하는 요소들에 대한 분석 (Evaluating the Efficacy of Whitening Products by Using Luminescence Measurement and Revealing Correlation between Luminescence and Other Parameters)

  • 정춘복;김한곤;남개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53-258
    • /
    • 2010
  • 현재까지 피부 미백에 대한 평가는 피부 반사광 전체에 대한 분석이 주를 이루어 왔다. 그 예로 SHV (Saturation, Hue, Value), $L^*$ $a^*$ $b^*$ (CIELAB color space system) 등 색차계를 사용하여 검출된 빛을 몇 가지 기준으로 나누어 분석하는 방법이 이용되어왔으며, 밝기나 채도 변화를 기준으로 피부 미백을 평가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미백 평가법들은 빛의 전체 피부 반사량을 통한 측정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 투명감, 화사함, 윤기 등 소비자들이 원하는 새로운 미백 효능의 평가에는 사용하기 힘든 단점이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전까지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힘들었던 투명감에 대한 새로운 측정법을 활용하여 8주 동안 자사의 2가지 미백 제형 효능 평가에 사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루미스캔(Lumiscan$^{TM}$)이라고 명명된 편광을 활용한 각도별 반사광 측정 장치를 제작하여 실험에 활용하였다. 또한, 투명감 측정 이외에도 15가지 측정치에 대한 실험을 병행하여 투명감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자사의 2가지 미백 제형은 각각 4, 8주에 5 ~ 9 %의 투명도 개선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피부결(-28 %), 멜라닌(-17 %), 홍반(-7 %), 수분량(15 %), 피부 밝기(6 %) 등이 피부 투명감에 주요한 영향을 주는 요소라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감마선 조사와 저장 기간에 따른 건멸치류의 품질 및 열발광 특성 (Quality and Thermoluminescence Properties of ${\gamma}$-Irradiated Boiled-Dried Anchovies during Storage)

  • 권중호;노정은;변명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9-27
    • /
    • 2002
  • 건멸치의 위생적 품질개선을 위한 감마선 조사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아울러 감마선 조사 멸치에 대한 검 지법으로서 열발광 특성을 분석하였다. 건멸치류의 미생물 오염도는 총세균이 $10^4$~$10^{6}$ CFU/g 수준으로 건멸치의 종류에 따라 큰 타이를 보였으며, 대장균군은 모든 시료에서 음성으로 나타났다. 미생물학적 품질개선을 위한 3kGy 수준의 감마선 조사는 유통조건(식품포장용 PVC film, 0.06 mm, 500 g)으로 포장하여 6개월 저장(15$\pm$1$^{\circ}C$) 후에도 검출한계이하(20 CFU/g)의 수준을 유지할 수 있었다 저장 중 건멸치의 기계적색도(L, a, b, ΔE ), 갈색도, TBA가, VBN, TMA-N, 관능적 특성 등 건멸치의 품질에 관련된 여러 인자들은 3 kGy의 감마선 조사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저장기간에 따른 영향은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저장온도와 포장조건의 중요성을 뒷받침해 주었다. 건멸치의 방사선 조사 여부 확인을 위한 열발광 특성을 분석해 본 결과, 비조사구는 280~30$0^{\circ}C$ 부근에서 매우 낮은 peak를 나타내었고, 1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구는 20$0^{\circ}C$ 전후에서 조사선량에 의존적($R^2$=0.9933)인 높은 glow curve를 나타내어 감마선 조사 건멸치의 판별이 가능하였고, - 2$0^{\circ}C$에서 6개월간 저장 후에도 검지가 가능하였다.

와전류 탐촉자를 이용한 총구 탄속 측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jectile Velocity Measurement Using Eddy Current Probe)

  • 신준구;손대락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83-86
    • /
    • 2015
  • 무기체계가 첨단, 고도화되면서 탄약을 정밀 제어하여 목표를 타격하기 위하여 공중폭발탄(ABM)이 개발되어 전장에서 운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중폭발탄의 시한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총구를 이탈하는 탄의 속도를 측정하여 표적까지의 정확한 비행시간을 계산한 후 탄에 입력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K4 기관총의 소염기 부분에 탄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를 도입하였다. 탄약의 주요 금속 부품은 신관 부분의 알루미늄과 파편 효과를 발휘하는 탄체의 철 부분, 총열의 강선부를 통과할 때 직진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는 회전탄대의 구리로 구성되어 있는데 알루미늄 부분을 탐지하기 위하여 와전류 탐촉자의 원리를 도입하였다. 탄이 총구를 벗어나는 수십 us 동안 탄속을 측정하기 위하여 U 자형의 MnZn Ferrite 코어에 코일을 권선하여 200 kHz의 교류 전류를 인가하여 탄의 총구 이탈 속도를 측정하였으며, 도플러 레이더와 병행 계측한 결과 ${\pm}1%$ 이내에서 잘 일치하였다.

Glucose와 Phosphate가 제거된 M-TALP 배지에서의 난구세포 공배양에 의한 임신율 향상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Pregnancy Rates by Coculture of Human Embryos with Cumulus Cells in Glucose and Phosphate Free M-TALP Media)

  • 정범식;장우현;이문희;김지연;방지호;김규현;서태광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1호
    • /
    • pp.75-81
    • /
    • 1999
  • The beneficial effect of glucose and phosphate ions in culture medium on the development of human embryos in vitro has not been fully elucid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fertilization and culture of embryos in glucose/phosphate-free m-TALP medium on pregnancy rates in IVF-ET program. The patients in 244 IVF-ET cycles received GnRH agonist + HMG regimens. A does of 10,000 IU HCG was administered when two or more dominent follicles reached 18mm in diameter. Thirty-six hours after HCG, oocytes were recovered transvaginally using ultrasound guidance. Aspirated oocytes were matured for 4 to 6 h in TCM-199 supplemented with 10% follicular fluid (FF). Insemination was carried out with 50,000 motile spermatozoa in TCM-199 + 10% FF or m-TALP + 5% FF + 5% fetal cord serum (FCS) according to experimental design. After 6 h, oocytes were washed 3 to 4 times and cultured in each fresh medium. After 20 h, oocytes were freed from cumulus/corona cells and examined for the presence of pronuclei. Fertilized oocytes were transferred into each co-culture drops and cultured for further incubation. On day 3, embryo transfer was performed with grade 1 and 2 embryos. Monolayers for co-culture of embryos were prepared by plating $1{\times}10^5$ cumulus cells/ml in 10ul drop of TCM-199 + 10% FF or m-TALP + 5% FF + 5% FCS media 24 h prior to the onset of co-culture. Development to 4 to 16 cell stage was observed at 70x magnification following two days of incubation. Pregnancy was confirmed by detecting increasing serum ${\beta}$-hCG concentrations for 11 days following embryo transfer. Data were analyzed by ${\chi}^2$-test. Oocytes from 244 IVF-ET cycles were randomized. The number of cycles and mean age of patients were 97 and 147, 31.3 yrs and 31.2 yrs for TCM-199 (control) and m-TALP groups, respectively. The mean number of retrieved oocytes/cycle, fertilization rates, number of embryos transferred/ET and pregnancy rates were 11.1 and 10.3, 65.1% and 67.3%, 4.1 and 4.7, 28.9% and 43.8% for TCM-199 and m-TALP groups, respectively. Differences in the pregnancy rates were found between control and m-TALP groups (p<0.05). The pregnancy rate of patients divided according to maternal age groups of ${\leq}30$, 31-35, $36{\leq}$ were 44.4% and 49.0%, 26.1% and 41.3%, 29.2% and 41.2% for control and m-TALP groups, respectively. These data indicate that culture of human embryos in glucose/phosphate-free m-TALP medium improves pregnancy rates.

  • PDF

복잡한 배경에서 MAWUPC 알고리즘을 이용한 얼굴과 손의 추적 (Face and Hand Tracking using MAWUPC algorithm in Complex background)

  • 이상환;안상철;김형곤;김재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9권2호
    • /
    • pp.39-49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움직임 색상(Moving Color) 개념을 바탕으로 물체의 색상 정보와 움직임 정보의 효율적인 결합을 통해서 추적을 수행하는 MAWUPC(Motion Adaptive Weighted Unmatched Pixel Count)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배경을 가지는 영상시퀀스에서 얼굴과 손을 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MAWUPC 알고리즘은 색상 정보와 움직임 정보의 효과적인 결합을 수행하는 움직임 색상 개념에 관한 기존 연구인 AWUPC 알고리즘을 개선한 것으로, 추적하고자 하는 물체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색상 변환(Color Transform)과 움직임 검출을 위한 UPC(Unmatched Pixel Count) 연산, 그리고 움직임 정보를 추출하는 이산 칼만 필터(Discrete Kalman Filter)의 효과적인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물체들의 추적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장 큰 문제인 유사한 색상을 가진 추적하고자 하는 물체들간의 겹침 문제와 물체의 추적에서 방해가 되는 복잡한 배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복잡한 배경 내에서 한 대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획득된 컬러 영상을 대상으로 움직임이 있는 얼굴과 손의 추적에서 자주 발생되는 심각한 문제인 얼굴과 손, 손과 손의 겹침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보인다.

UWB 신호채널을 사용한 분산협력 스펙트럼 센싱의 검출확률 향상 (Enhancement of the Detection Probability for Distributed Cooperative Spectrum Sensing using UWB as a Common Channel)

  • ;송주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7호
    • /
    • pp.22-31
    • /
    • 2008
  • 인지전파 기술은 유효한 스펙트럼을 찾기 위하여 면허사용자(주사용자)의 존재를 검출하는 적절한 센싱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분산형 ad-hoc 네트워크의 경우 검출된 정보는 부사용자 간에 서로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동시에 주사용자의 성능은 부사용자에 의하여 열화 되지 않아야 한다. 특히, 주사용자의 검출은 음영지역에서는 매우 어렵다. 이를 위하여 분산형 협력 스펙트럼 센싱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검출 성능을 향상하기 위하여 다수의 부사용자에 의하여 검출된 정보를 협력적으로 조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기술은 주사용자를 검출하는 정확성과 신속성 측면에서 성능 향상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UWB를 사용하여 주사용자를 검출하고 또 이를 사용하여 검출된 정보를 부사용자 노드들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UWB는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underlay 방법으로 주사용자와 공존하여 전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UWB를 사용한 주사용자의 검출 확률 측면에서 개선이 됨을 보였다. 또한 throughput을 해석한 결과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여 개선되었음을 보였다.

소형루프 전자탐사의 감도분석 및 가탐심도 추정 (Sensitivity Analysis and Estimation of the Depth of Investigation in Small-Loop EM Surveys)

  • 송윤호;정승환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5권4호
    • /
    • pp.299-308
    • /
    • 2002
  • 소형루프 전자탐사의 가탐심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주파수영역에서 2층구조에 대한 감도를 해석적으로 유도하였다. 이를 기초로 송수신 간격 2m 내외의 다중주파수 전자탐사 기기의 감도를 분석하고, 반응의 크기를 기준으로 가탐심도를 추정하였다. 먼저 감도 계산 결과는 하부층에 대한 감도는 동상성분이 이상성분에 비해 매우 높고 상부층의 두께가 20m에 이르더라도 저주파수 대역에서는 상부층의 감도에 비해 절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나타낸 반면, 이상성분은 하부층에 대한 감도가 매우 약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다중 주파수를 이용한 소형루프 전자탐사에서는 동상성분의 정확한 측정이 가탐심도의 증대에 필수적임을 입증하였다. 전기비저항이 100ohm-m인 상부층 밑에 10ohm-m의 전기비저항을 갖는 하부층이 존재할 경우에는, 동상성분의 정확한 측정을 통하여 잡음 수준을 고려하더라도 10m까지의 가탐심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따라서 매립장의 침출수 분포 범위 영상화 등을 위해서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전기비저항이 1,000ohm-m로 높은 기반암이 존재할 경우에는 비록 하부층의 감도는 상부층에 비해 매우 높으나 반응의 절대값이 매우 미약하여 탐지가 어려우며 이상성분 자료와의 복합적인 해석을 통해서도 기기의 정확도를 고려할 때, 가탐심도가 5 m를 넘기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기비저항이 높은 지역에서는, 송수신 간격이 2m 내외로 짧은 다중주파수 소형루프 전자탐사법이 금속성 매설물의 탐지를 위해서는 유용하지만 기반암의 심도 규명에는 적절치 않다.

스마트폰에서 웃음 치료를 위한 표정인식 애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Recognition Application of Facial Expression for Laughter Theraphy on Smartphone)

  • 강선경;이옥걸;송원창;김영운;정성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94-50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웃음 치료를 위한 표정인식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스마트폰의 전면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AdaBoost 얼굴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굴을 검출한다. 얼굴을 검출한 다음에는 얼굴 영상으로부터 입술 영역을 검출한다. 그 다음 프레임부터는 얼굴을 검출하지 않고 이전 프레임에서 검출된 입술영역을 3단계 블록 매칭 기법을 이용하여 추적한다. 카메라와 얼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입술 영역의 크기가 달라지므로, 입술 영역을 구한 다음에는 고정된 크기로 정규화한다. 그리고 주변 조명 상태에 따라 영상이 달라지므로, 본 논문에서는 히스토그램 매칭과 좌우대칭을 결합하는 조명 정규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조명 보정 전처리를 함으로써 조명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그 다음에는 검출된 입술 영상에 주성분 분석을 적용하여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다층퍼셉트론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웃음 표정을 인식한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은 초당 16.7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어서 실시간으로 동작 가능하였고 인식률 실험에서도 기존의 조명 정규화 방법보다 개선된 성능을 보였다.

GLI 자료를 이용한 생체 소각 에어러솔 측정에 대한 연구 (The Measurements of Biomass Burning Aerosols from GLI Data)

  • 이현진;;하경자;김재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3-28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GLI 센서의 자외선인 380nm, 가시광선 영 역의 400nm와 412nm, 가시광선의 푸른 파장영역인 460nm와 490nm, 근파장 적외선인 2100nm를 비교 분석하여 생체 소각 에어러솔 탐지에 효과적인 파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외선 파장이 지표 반사도가 낮고 BRDF 효과도 작게 나타나므로 에어러솔 추정시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412nm를 제외한 400nm, 460nm, 490nm에서 380nm와 비슷한 지표 반사도를 보였다. 지표 반사도 대비 방법을 2003년 5월에 적용해 에어러솔 반사도를 산출하였을때 460nm의 에어러솔 반사도가 380nm 보다 민감하게 나타났다. GLI의 두파장을 이용해 TOMS 에어러솔 지수를 산출하였을 때 생체 소각 에어러솔은 흡수성 에어러솔로 나타났으며 380nm와 460nm를 이용한 TOMS 에어러솔 지수가 AERONET의 에어러솔 광학 두께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에어러솔의 광학 두께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그러므로 생체소각 에어러솔을 탐지할 때에는 가시광선의 푸른색 영역의 파장대가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Diagnostic Value of Contrast-Enhanced Digital Mammography versus Contrast-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the Preoperative Evaluation of Breast Cancer

  • Kim, Eun Young;Youn, Inyoung;Lee, Kwan Ho;Yun, Ji-Sup;Park, Yong Lai;Park, Chan Heun;Moon, Juhee;Choi, Seon Hyeong;Choi, Yoon Jung;Ham, Soo-Youn;Kook, Shin Ho
    • Journal of Breast Cancer
    • /
    • 제21권4호
    • /
    • pp.453-462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contrast-enhanced digital mammography (CEDM) and contrast-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CEMRI) in preoperative evaluations,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each modality on the surgical management of women with breast cancer. Methods: This single-center, prospective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and informed consent was obtained from all patients. From November 2016 to October 2017, 8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invasive carcinoma (69/84) and ductal carcinoma in situ (15/84), and underwent both CEDM and CEMRI, were enrolled. Imaging findings and surgical management were correlated with pathological results and compared.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both modalities in the detection of index and secondary cancers (multifocality and multicentricity), and occult cancer in the contralateral breast, was compared. The authors also evaluated whether CEDM or CEMRI resulted in changes in the surgical management of the affected breast due to imaging-detected findings. Results: Eighty-four women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Compared with CEMRI, CEDM demonstrated a similar sensitivity (92.9% [78/84] vs. 95.2% [80/84]) in detecting index cancer (p=0.563). For the detection of secondary cancers in the ipsilateral breast and occult cancer in the contralateral brea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CEDM and CEMRI (p=0.999 and p=0.999, respectively). Regarding changes in surgical management, CEDM resulted in similar changes compared with CEMRI (30.9% [26/84] vs. 29.7% [25/84], p=0.610). Regarding changes in surgical management due to false-positive finding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CEDM and CEMRI (34.6% [9/26] vs. 44.0% [11/25], p=0.782). Conclusion: CEDM demonstrated a diagnostic performance comparable with CEMRI in depicting index cancers, secondary cancers, and occult cancer in the contralateral breast. CEDM demonstrated similar changes in surgical management compared with CEM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