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ign of teaching model

검색결과 419건 처리시간 0.022초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Effects of Role Performance of Kindergarten Teachers on Teaching Efficacy and Job Stress)

  • 김안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553-5563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적 관계를 밝혀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53명을 대상으로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였다.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설정한 후,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를 AMOS 18.0을 이용하여 모델의 부합도와 모수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은 교사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은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교사의 역할수행은 교사효능감을 통하여 직무스트레스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의 교수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Design of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Subject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l)

  • 이병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24
    • /
    • 2011
  • 각 교과의 교사들이 효과적으로 수업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수업 전개 과정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전통적으로 교수설계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모형으로는 딕과 케리, ADDIE, ASSURE 등이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교수설계 모형은 교과 내용이 소규모 단원으로 분절되어 있어서 학생들이 교과의 본질적인 이해에 이르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위깅스와 멕타이는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제안하였다. 백워드 설계 모형은 가르쳐야 할 내용과 활동을 결정하기 전에 먼저 평가를 고려하는 교수설계 방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백워드 모형의 구조를 분석하고,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에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정보활용교육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고자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과 정보생활' 교과의 백워드 교수설계를 위해서 위깅스와 메타이가 고안한 템플릿을 적용하였다.

초등 융합SW교육을 위한 플립 러닝 기반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ased on Flipped Learning for Convergence Softwa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 이미화;함성봉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13-22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컴퓨터와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교과교육과정과 SW교육 내용요소를 융복합하여 플립 러닝 기반의 융합SW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초등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EPL 흥미도와 교과 성취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교수-학습 모형은 교과 내용 융 복합, 문제 상황 제시, 창의적 아이디어 설계, 산출물 공유의 4단계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플립 러닝기반 융합SW 교수-학습 모형을 수업에 적용하여 평가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의 EPL 흥미도 및 교과 성취 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시사점 및 기대효과를 제시하였다.

임상중심 실무능력향상 교육모델(FO-CUP)의 융합적 효과성 연구: H대학 작업치료실습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ield-Oriented Capacity Upgrade Model(FO-CUP): H University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 김금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93-200
    • /
    • 2020
  • 본 연구는 작업치료의 임상중심 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모델인 Field Oriented Capacity Upgrade Program을 제안하였다. 제시한 교육모델과 전통적인 강의식 교육방식을 비교하여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방법은 제시한 모델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강의식 수업에 참여한 대조 집단으로 나누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로 진행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은 3학기에 걸쳐 교육에 참여한 총13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조사와 사후조사를 진행하였다. 제시한 학습방식을 적용하여 교육한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이 각각 22%, 18%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이번 연구는 작업치료 임상실무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을 개발하여 제안하였고, 다양한 직무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의 기초 자료로 의미가 있겠다.

A Case Study of Problem-Based Learning and Action Learning at a University

  • CHANG, Kyungwo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1권1호
    • /
    • pp.145-169
    • /
    • 2010
  • Many universities are searching for educational methods to cultivate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operative learning ability or already trying to implement them. Problem Based Learning(PBL) and Action Learning(AL) ar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cultivate men of talent qualified for problem-solving and cooperative learning abilities that universities are seeking after. PBL and AL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learning is accomplished while learners are solving the authentic problem. But, in spite of this similarity, PBL and AL have differences. However, most literatures and cases on these two models introduce only the outline of commons and differences and do not provide teachers with actual helping aids to select a model appropriate for the actual design or operation of classes. Accordingly, many teachers usually select and utilize a familiar model rather than select a proper model to the nature of a subject and the educational go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r learning environment should be selected appropriately to the educational goal. This study indicates the characteristics of PBL and AL that are being introduced and utilized as a princip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college education and then shows how this method can be realized in the university by comparing the cases of classes applied in two methods.

유비쿼터스 생활영어 체험학습장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Study on the Model Development for Experiential Learning with Ubiquitous Everyday English)

  • 백현기;김수민;강정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7권3호
    • /
    • pp.49-60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del for teaching-teaming by applying Ubiquitous at a learning experience field, in which connect characteristics of both ubiquitous application learning and experience teaming, making use of them. A literature survey of concepts was conducted, with the main areas to find out relationships between ubiquitous application learning and experience learning. Experience learning by applying ubiquitous learning methods maximizes its efficiency of experience learning in considering ubiquitous learning methods's characteristics of dynamic, interaction, sharing. Also it makes communications through positive participation and active interaction, and leads to a process of internal examination. The research data suggests that critical factors of experiencing learning applying ubiquitous are acquiring information and memory, information integration and exquisiteness, emotional and social activity, producing activity, help activity.

  • PDF

예비 가정과교사의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수설계 역량 증진을 위한 수업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Promotion of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ies Among Preservice Home Economics Teachers in Class Using the Metaverse)

  • 최성연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2권1호
    • /
    • pp.81-100
    • /
    • 2024
  •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in which a lesson was designed and applied to enhance preservice home economics teachers'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e using the metaverse. For 15 weeks from March 6 to June 14, 14 students enrolled on the course 'Multimedia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preservice home economics teachers used the metaverse to engage in problem-based learning to solve instructional design problems in home economics classes. In accordance with the ADDIE design model, in the analysis stage, we assessed preservice home economics teachers' level of knowledge of lessons using the metaverse,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possibility, necessity, and usefulness of using the metaverse in home economics lessons.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stage, lesson plans, questions for problem-based learning, assessment tool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ere developed. The implementation was conducted in parallel with training on understanding multimedia and the metaverse, and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e was evaluated through pre- and post-testing and reflection journal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eservice home economics teachers acquired a good understanding of lessons using the metaverse, learned how to design lessons for self-directed learning by applying the metaverse to their home and classroom, and gained confidence in applying it to their teaching practice or in-service work.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support materials for prospective and current home economics teachers to design home economics lessons using the metaverse, thereby expanding the horizon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일반 수업과 IC-PBL 적용 수업의 비교를 통한 패션복 식사의 교육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History of Fashion and Costume through a Comparison of General Lecture and IC-PBL(Industry-coupled Problem-based Learning))

  • 정연이;이영재
    • 패션비즈니스
    • /
    • 제25권2호
    • /
    • pp.98-10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case of class operation by paralleling a general instructor's lecture class and a IC-PBL class in a fashion design major course and comparing the educational effects. The teaching model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improve the ability to use the knowledge gained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the industrial field and to develop an independent learning ability. It will provide meaningful data. This study measured and considered the qualitative items of self-efficacy and changes in class perception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completed by the learners after experiencing each general class and IC-PBL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that in the History of Fashion and Costume class, the general teaching method and the IC-PBL teaching method were applied in parallel to design a class, and a method case was presented.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two teaching methods through a student questionnaire, IC-PBL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learning attitude, learning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In addition, after the IC-PBL class on History of Fashion and Costume, the students' negative perception of team activities improved, and the students' cooperative ability and creativity improved.

ICT를 활용한 LT&T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CT Applied LT&T Teaching and Loaming model)

  • 장시웅;배수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7호
    • /
    • pp.1491-1497
    • /
    • 2003
  • 21세기 지식 정보사회에서는 학생의 정보소양 교육은 물론 정보 활용능력의 증진이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학습의욕과 이해도가 다소 떨어지는 공업계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전문교과의 수업에 ICT 활용교육을 연계하여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시켜 그 효율성을 검증하고 적용해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ICT를 활용하여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과목에 적합한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함과 동시에 적용하여 그 사례를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학생들이 학습에 대한 성취감 및 자신의 능력을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학습관 심도를 높이고 지속적인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교수 학습 모형인 LT&T를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LT&T 교수 학습 모형은 협동 학습 모형의 하나인 LT에 토너먼트 형성 평가를 결합한 모형으로서 개개인의 다양한 인지적 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수업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LT 학습 모형과 LT&T 학습 모형 각각을 이용하여 수업을 실시하고 설문을 조사하여 결과를 분석한 결과 LT&T 학습 모형을 이용한 수업의 학습 효과가 LT 학습 모형을 이용한 수업 효과 보다 좋았다는 의견이 80% 이상 나타나 제안한 LT&T 학습 모형의 학습효과가 높다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MDA기반 교수-학습지원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DA-based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System)

  • 김행곤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3D권7호
    • /
    • pp.931-938
    • /
    • 2006
  • 통합 운영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기존 교육 정보 시스템은 표준화 기반으로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교육적 Asset의 필요성과 재사용 가능한 교육 서비스의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미 개발된 컨텐츠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특히 국제적 표준인 Sharable Content Object Reference Model(SCORM)을 기반으로 컨텐츠를 관리하고,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개발도 재사용이 가능한 Asset을 이용하여 조립, 생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체계적인 교육자원을 개발하고 지원하기 위한 교수-학습지원 시스템 개발에 초점을 두었다. 교육적 도메인의 접근과 Model Driven Architecture(MDA) 개발 프로세스의 각 단계별 Asset을 통해 시스템을 개발한다. 또한, 학습 컨텐츠 메타 모델을 기반으로 컨텐츠 저장소에 관한 분석과 설계를 통하여 MDA 자동화 도구를 이용한 교수-학습지원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교수자와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교육컨텐츠 재사용성을 높이고 전체 개발 프로세스의 Asset을 이용하여 교육용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기간의 단축과 개발비용의 절약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