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criptive-type Grading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206초

서술형 문항 채점을 위한 복합문 구문의미분석 시스템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Syntactic-Semantic Analysis System on Compound Sentence for Descriptive-type Grading)

  • 강원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05-115
    • /
    • 2018
  • 서술형 문항은 수준 높은 사고능력 평가에 적합하나 채점이 쉽지 않다. 동일한 채점기준을 적용하더라도 채점자마다 서로 다른 채점을 할 수 있으므로 객관적인 채점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채점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표현 언어인 한국어 분석이 전제되어야 한다. 특히 서술형 문항의 답변은 단문형태가 아닌 복문이 내포된 복합 문장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복합문의 한국어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서술형 문항의 자동 채점을 위해 한국어의 복합문을 구문의미 분석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이 시스템은 의미속성 사전을 활용하여 대상 구문의 의미적 제한조건을 검사하고 적합한 피수식 대상을 선별하여 구문의미분석을 실행한다. 실험 데이터에 대해 93%의 정확률을 얻어 제안한 시스템이 효과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스템은 서술형 문항 채점에 활용할 수 있고 한국어 처리의 응용영역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예비치매 부양자의 재가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치매특별등급(5등급)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Community Care Service by Pre-Caregivers Based on Dementia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Aged -Special dementia rating (5 rates) in the focus)

  • 손이숙;이경수;정재욱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603-614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regarding the intention to use community care service based on special grading for dementia in the South Korean Society.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adapt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regarding the first to fourth grade unde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aged from May 1 to 30, 2015 and a total of 272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21.0.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non-parametric type of test, ${\chi}^2$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 testing. Result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caregivers had greater intention to ask recipients to use daytime and nighttime care service.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givers' education, occupation, monthly average income, co-residence status, intimacy, and care-giving burden (emotional, financial, and social) and recipien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mental health status, dementia status, and intention to use community care service based on special grading for dementia. Conclusions. There are very few statistical data and academic materials regarding special grading for dementia, which has recently been establish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refore expected to help make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intention to use community care service by caregivers based on special grading for dementia.

초등학교 6학년 수학과 서술형 평가의 자료개발 연구 (Development of Teachers' Resource for Descriptive Evaluation in Grade 6 Mathematics)

  • 김민경;노선숙;권점례;김유진;주유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543-567
    • /
    • 2008
  • 최근 우리나라 2007 개정 수학교육과정에서는 그동안 강조되어오던 수학적 문제해결력 뿐 아니라 수학적으로 사고하고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중요한 요소로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학과의 평가영역에서는 고등 사고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대안적인 평가 방법으로 수행평가와 서술형 논술형 평가방법의 구체적인 활용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과서와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6-나> 단계를 중심으로 서술형 평가 문항과 채점기준을 개발하고 개발된 평가문항을 현장에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초등학교 수학과 서술형 평가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중학교 과학에서 서술형 평가의 실태 분석: 문항유형, 단원, 평가목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Descriptive Evaluation's Status in Middle School Science: Focused on the Item's Type, Subject Unit, and Evaluation Object)

  • 노은실;김용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2권2호
    • /
    • pp.198-213
    • /
    • 2018
  • 최근 들어 학생 평가 방법에서 서술형 평가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왔다.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출제해 온 서술형 평가문항의 실태와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지역의 중학교 7개 학교에서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정기고사에 출제된 서술형 문항 300개를 수집하여 문항 유형과 단원별 문항 분포를 분석하고, 문항에 관련된 성취기준의 교육목표와 평가목표를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에 따라 분석하여 비교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이 공통된 단원에서 서술형 문항을 출제하는 경향을 보이며, 단원 및 성취기준별로 출제 빈도에 큰 차이를 보였다. 문항 유형으로는 서술형이 65%에 불과하였으며 나머지는 단답형이나 완성형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성취기준에서의 교육목표와 문항에서의 평가목표 사이에 일치하는 비율이 40.3%에 불과하였다. 서술형 문항의 출제교사 27명을 면담한 결과, 서술형 문항의 개발 능력 부족과 채점에서의 어려움이 올바른 서술형 평가의 주요 장애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평가에 대한 체계적 연수를 통해 서술형 평가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모델리스트의 업무 및 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Work and Education of Modelists)

  • 박성미;최영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41-248
    • /
    • 2022
  •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to suggest guidelines for re-education and work improvement of modelist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modelist work and edu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4 to May 15, 2020, targeting 44 people working in pattern, pattern CAD, and grading in domestic apparel companie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25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status of work type, work difficulties, and re-education. For pattern production, the rate of using pattern CAD for business was high. It was found that companies mainly use YUKA CAD (63.8%), and branded companies use pattern CAD (100%). It was found that 3D CAD is mostly employed by vendors (88.9%), and CLO (90%) is mainly used. Regarding difficulties in pattern making, it was found that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with stretchable materials owing to the amount of shrinkage and sagging of the fabric. The work problem was the lack of requisite working hours owing to the volume of work. Regarding future re-education, 63.6% of the total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y required a course related to pattern correction and material. Moreover, it was found that re-education was necessary to upgrade technology and acquire new knowledge, however, information on re-education was insuffic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