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rmis

검색결과 463건 처리시간 0.027초

탁리소독음(托裏消毒飮) 합(合)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의 아토피피부염에 대한 실험적 연구 (Effect of Taklisodok-um and Hwangryunhaedok-tang on Atopic Dermatitis)

  • 원영호;황충연;임규상;김종한;고성규;이부균;이동효;김남권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21-141
    • /
    • 2011
  • Objective :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aklisodok-um and Hwangryunhaedok-tang(TH) on Atopic Dermatitis. Methods : We assessed effects of TH on the IgE, IL-4, IL-5, IL-6, IgM, IgG1, IFN-${\gamma}$ in vivo, on the IL-4, IL-5, CCR3 in the skin tissues of ear and dorsum with NC/Nga mice. And we assessed effects of TH on the COX-2, IL-$1{\beta}$, TNF-${\alpha}$, IL-6 with RAW 264.7 cell. Results and Conclusion : 1. IgE, IL-4, IL-5, IL-6, IgM, IgGl levels in the serum of TH treated NC/Nga mouse group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mice. IFN-r showed a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group. The spleen weight of TH treated NC/Nga mice was decreased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group. 2. mRNA expression levels of IL-4, IL-5 and CCR3 in the skin tissues of TH treated NC/Nga mice were decreased, and expression levels of IL-6 in the skin tissues of TH treated NC/Nga mice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group. IFN-${\gamma}$ mRNA expression levels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group. 3. Judged from that IL-$1{\beta}$, TNF-${\alpha}$, IL-6 express of gene, effect of inflammatory Cytokines revelation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group. 4. Depend on the strength of TH, inflammatory RAW 264.7 in the serum of TH were inhibited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serum that leaded a COX-2 activity model. 5. Histological observation of the ear and skin tissues showed that the extents of inflammation and infiltrated immune cells in the epidermis and dermis of TH treated NC/Nga mice were highly reduced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group.

세균 독소를 작용시킨 섬유아 세포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_1$의 생성 (PRODUC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_1$ IN HUMAN FIBROBLASTS INDUCED WITH BACTERIAL TOXINS)

  • 이성근;김광혁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4호
    • /
    • pp.345-354
    • /
    • 2000
  • TGF-${\beta}_1$ is a potent chemotactic factor for inflammatory cells and fibroblasts. It also stimulates the celluar source and components of extracellular matrix and the production of proteinase inhibitors. Collectively, these biologic activities lead to the accumulation and stabilization of the nascent matrix, which is vital to wound heal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oduction of TGF-${\beta}_1$ in vitro fibroblast culture in the presence of Staphylococcus enterotoxin B(SEB) and/or lipopolysaccharide(LPS) and to elucidate the role of TGF-${\beta}_1$ which may be responsible for wound healing. The fibroblasts were originated from facial dermis and hypertrophic scar in 26 year-old male patient. In the presence of LPS($0.01{\mu}g$, $0.1{\mu}g$, $1.0{\mu}g$), SEB($0.01{\mu}g$, $0.1{\mu}g$, $1.0{\mu}g$) respectively, cells($5{\times}10^3ml$) were cultivated in vitro. At 1, 3, and 5 days after incubation, cells were counted. Also, cells($2.5{\times}10^5ml$) were cultivated in EMEM with LPS(0.01, 0.1 and $1.0{\mu}g$), SEB(0.01, 0.1 and $1.0{\mu}g$) respectively and LPS($0.1{\mu}g$) and SEB($0.1{\mu}g$) in combination for 24, 48, and 72 hours respectively. Culture supernatants were harvested at 1, 2, and 3 days after incubation period and triplicate culture supernatants were pooled and TGF-${\beta}_1$ was assayed in duplica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facial dermal fibroblast induced with SEB and LPS respectively or in combination, the suppression of cell proliferation occurred very significantly at 1 day after incub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SEB exposure, the production of TGF-${\beta}_1$ was decreased very significantly at 1 day after incub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However, in LPS, SEB and LPS exposure, the production of TGF-${\beta}_1$ was increased very significantly at 1 day after incub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2. In hypertrophic scar fibroblast induced with SEB and LPS respectively or in combination, the suppression of cell proliferation did not occur at 1 day after incub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SEB and LPS exposure in combination, the production of TGF-${\beta}_1$ was increased very significantly at 1 day after incuba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However, the production of TGF-${\beta}_1$ did not occur in SEB and LPS exposure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concentration of bacterial toxins and the incubation period correlated with cell proliferation and production of TGF-${\beta}_1$ very significantly and both fibroblasts have different phenotype each other in this regard. This data suggest that the significant production of TGF-${\beta}_1$ may develope abnormal wound healing associated with tissue fibroproliferative disorder, such as hypertrophic scar and keloid formation.

  • PDF

케토롤락과 치자엑스 가수분해물이 함유된 하이드로겔제의 물성 및 생체 부착성 (Property and Bio-adhesiveness in Hydrogel Material with Content of Ketorolac and Gardeniae Fructus Hydrolysis Products)

  • 김미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9-83
    • /
    • 2010
  • 소염진통제인 Ketorolac tromethamine에 치자엑스 복합제제를 혼합하여 4종의 하이드로겔을 제조한 다음 주성분의 확인, 점도, 표면장력, 인장강도 및 생체부착성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KGE 및 KGH gel 제제 중 Ketorolac tromethamine의 함량은 1.02~0.97%이었고, Geniposide의 함량은 KGE gel A와 C에서 0.34%이었으나, KGH gel B와 D에서 0.11%로 낮아졌고, Genipin의 함량은 KGE gel A와 C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KGH gel B와 D에서 0.13%로 나타났다. 2. Gel 제제의 온도에 따른 점도는 gel 화제로 Carbopol 940을 단독으로 사용한 gel이 Poloxamer 407을 추가한 gel보다 더 높은 점도를 유지하였으며, 각 제제에서의 표면장력은 $37^{\circ}C$에서 34.77~40.58 dyne/cm를 나타냈다. 제제의 인장강도는 KGH gel B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3.5배 정도 높은 인장강도를 나타냈다. 3. 생체부착성은 등피부 상부(표피층)와 배피부의 경우 KGH gel B 에서 50.62 N으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해 5배 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등피부 하부(진피층)와 배피부의 경우 KGH gel B의 에서 35.93 N으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해 3.5배 정도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스쿠지카섬모충에 중감염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관찰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fingerlings of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ith severe scuticociliatosis)

  • 이남실;박정희;한규식;허민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1-160
    • /
    • 1994
  • 스쿠지카섬모충(Scuticociliatid) 감염에 따르는 어체조직의 조직학적 손상유형과 심부조직으로의 이행 경로를 규명하기 위하여 중감염된 빈사상태의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 18 마리를 대상으로 전 장기 및 조직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피부 및 하부의 골격근조직은 다수의 스쿠지카충의 침입에 기인하여 심한 변성 또는 괴사소견과 함께 대식구의 침윤이 현저하였다. 비교적 초기병변에서는 치밀결합조직인 진피나 골격근섬유의 변성보다 이들을 지지하는 소성결합조직성분이 더욱 심한 변성소견을 보였다. 이들 병변부내 또는 병변부와 격리된 소성결합조직내의 혈관 또는 임파공간내에 수개의 충체가 확인되었다. 신경다발과 신경절내 또는 주위 소성결합조직내에 다수의 충체침입이 확인되었으나 실질의 조직학적 이상은 비교적 경미하였다. 뇌 및 척수의 경막하강에 다수의 충체밀집과 함께 신경실질을 포함한 인접조직은 경도 내지 심한 괴사소견을 보였으며 충체의 침입부위는 피질역에 주로 한정되어 있었다. 각종 아가미관련조직에서 섬모충의 기생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소성결합조직은 다수의 충체침입으로 심한 변성소견을 수반하였으며, 특히 새궁 및 일차새변의 혈관내에서 충체가 인정되었다. 본 병리학적 검사결과에서 넙치치어에서의 스쿠지카섬모충은 어체내 침입 후 실질조직보다 소성 결합조직을 우선적으로 파괴하는 동시에 결합조직내의 혈관 또는 임파관으로 쉽게 이행하여 단시간내에 심부조직으로 확산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어린 숭어(Mugil cephalus)의 염분농도별 성장과 생존을 비교 (Comparison of Growth and Survival Rates of Juvenile Grey Mullets (Mugil cephalus) in Different Salinities)

  • 장영진;이영춘;이복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11-320
    • /
    • 1996
  • 어린 숭어, Mugil cephalus에 대한 저염분 해수 및 담수 사육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장 $4.8{\pm}0.6$ cm, 체중 $1.0{\pm}0.3$ g 및 전장 $13.6{\pm}0.2$ cm, 체중 $20.0{\pm}0.5$ g의 2군을 대상으로 염분농도별 성장과 생존율을 조사하고, 산소소비량 및 피부의 두께 등을 측정하여 생리활성을 서로 비교하였다. 1, 2차 실험 모두에서 $25\~75\%SW$의 저염 분구가 성장과 생존에 있어 $100\%SW$보다 좋은 편이었다. 그러나, 단계적 순치과정을 거치지 않고 $100\%SW$로부터 $0\%SW$로의 급격한 염분변화는 어체의 성장 및 생존율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일간사료섭식률은 $25\%SW$에서 $3.6{\pm}0.8\%$로 가장 높았다. 식욕에 있어서는 $50\%SW$에서 가장 높았다. 일간성장률은 $25\%\;SW$에서 가장 좋았고 ($2.7{\pm}0.9\%$), 다음으로 $50\%SW,\;100\%SW,\;0\%SW$이 순으로 나타났다. 염분에 따른 각 실험구별 어체의 표피와 진피의 두께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지방층은 $0\%SW$의 실험어에서 $50\%SW$$100\%SW$의 숭어 보다 유의하게 두꺼웠다. 숭어의 산소소비량은 염분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유의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염분농도별 숭어의 저산소 내성은 $0\%SW$에서 비교적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헛개나무 추출물의 화장품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Cosmeceutical Activities of Hovenia dulcis var. koreana Nakai Extracts)

  • 김세현;전동하;장민정;이진태;이창언;한진규;김진철;이도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36-842
    • /
    • 2010
  • 본 연구는 기능성 식 약용 소재로 널리 이용되는 헛개나무의 화장품원료로의 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헛개나무 과병과 뿌리의 열수추출물 및 에탄올추출물에 대한 DPPH법, ABTS법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 측정시 열매, 뿌리 모두 열수추출물에서 뛰어난 항산화효과를 나타냈으며, 멜라닌 색소합성에 관여하는 tyrosinase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tyrosinase 저해활성은 과병에탄올추출물(HDFE) 500 mg/L에서 32.0%의 억제능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뿌리에탄올추출물(HDRE)은 21.8%의 억제능을 보였다. 더 높은 농도인 1,000 mg/L에서는 과병열수추출물(HDFW), HDFE 순으로 저해활성이 나타났다. 주름개선효과에 관한 활성은 collagenase와 elastase 저해활성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elastase에서 과병에탄올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추출물이 두 효소를 모두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같은 농도에서는 collagenase의 활성이 더 크게 저해됨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헛개나무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미백 및 주름개선효과를 이용하여 기능성 화장품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가토 피부상처에서의 개방드레싱과 밀봉드레싱의 효과에 대한 형태학적 비교 (Morphological Comparision of the Effect of Open and Occlusive Dressing on Rabbit Skin Wound)

  • 강영희;홍해숙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5권1호
    • /
    • pp.23-33
    • /
    • 2003
  • 본 연구는 체중 3.0kg의 가토 수컷 10마리를 이용하여 피부의 외상을 입힌 후 개방드레싱과 밀봉드레싱이 상처의 치유과정에서의 효과와 형태학적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1cm의 절개창과 $1.0{\times}0.2cm$의 피부절제창을 만든 후 개방드레싱군은 1일 2회 betadine으로 소독한 후 상처부위를 노출시켜 5, 10 및 15일째에 관찰하였으며, 밀봉드레싱군은 매일 betadine으로 소독하고 1% silver sulfadiazine 크림을 도포한 후 거즈를 덮어 5, 10 및 15일째에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피부를 절개한 군과 절제한 군을 개방드레싱 및 밀봉드레싱을 각각 시행한 5일 후에는 딱지가 형성되었고 표피의 재생은 상처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시작하였다. 진피의 표층에는 호중구, 단구 및 림프구의 침윤이 일어났고 부종과 섬유아세포의 증식이 경하게 일어났다. 수상 후 개방드레싱 및 밀봉드레싱을 시행한 10일 후에는 딱지는 탈락되었고 표피는 재생되어 연속적이었다. 모세혈관의 수와 염증세포의 침윤은 감소하였다. 부종과 섬유아세포의 증식은 더욱 증가하였다. 수상 후 개방 및 밀봉드레싱을 시행한 후 15일에는 표피의 재생은 완성되어 각질이 형성되었다. 진피에는 염증세포의 침윤, 부종 및 혈관의 증식은 소실되었고 섬유아세포 및 교원섬유의 양은 증가하였다. 피부를 절개한 군은 절제 군에 비해 반흔의 양은 적었고 드레싱방법에따른 치유과정의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상처의 치료는 드레싱의 방법보다 상처의 소독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아토피양(樣)피부염 NC/Nga 생쥐에서 자음제습탕가감(滋陰除濕湯加減)과 아토피 크림-자운고(紫雲膏)의 병용투여가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JaUmJeSeupTangKaKam(JUJSTK) and Atopy Cream, Jawoongo(AJ) on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 NC/Nga Mouse)

  • 이남열;김윤희;한재경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9-36
    • /
    • 200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JUJSTK and AJ on atopic dermatitis in an in-vivo experiment. Thus, this study is expressed by using NC/Nga atopic dermatitis mice which have histological and clinical similarities to that of humans have been used. Methods Clinical skin score, hematology, serum total IgE and IgG1 of the mouse was evaluated, and cytokine levels, total number of the cell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histological features of axillary lymph node(AL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PBMCs), and a dorsal skin tissue of the mouse were analyzed. Results Oral administration of JUJSTK and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JUJSTK and AJ lowered the clinical skin score, total cell number of WBC, eosinophils in blood, and serum total of IgE & IgG1, IFN-$\gamma$, IL-5, IL-13, IL-17. In addition, total cell number of ALN and dorsal skin tissue, absolute cell number of $CD3e^+$ T cell, $CD4^+$ Th cell, $CD8^+$ c/sT cell, $CD3^+CCR3^+$ cell, $CCR3^+$ cell, $CD3^+CD69^+$, $CD4^+CXCR5^+$ in ALN, PBMCs, absolute cell number of $CCR3^+$, $CD3^+/CD69^+$, $CD11b^+/Gr-1^+$, $CD11b^+/Gr-1^+$ in dorsal skin tissue, Eotaxin2 mRNA, CCR3 mRNA in dorsal skin tissue and gene expression of IL-5 mRNA, IL-13 mRNA in AL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Furthermore, thickness of epidermis infiltrated inflammatory immune cell & mast cell in dermis, histological infiltration of mast cell, the size of inflammatory lymphocytes cells & plasma cells in ALN and histological infiltration of $CD4^+$ & $CCR3^+$ in ALN and dorsal skin tissu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well. Conclusions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JUJSTK and AJ on atopic dermatitis in an in-vivoexperiment by using an NC/Nga atopic dermatitis mouse was very effective as an atopic dermatitis treatment.

  • PDF

Expression, Purification and Transduction of PEP-1-Botulinum Neurotoxin Type A (PEP-1-BoNT/A) into Skin

  • Kim, Dae-Won;Kim, So-Young;An, Jae-Jin;Lee, Sun-Hwa;Jang, Sang-Ho;Won, Moo-Ho;Kang, Tae-Cheon;Chung, Kwang-Hoe;Jung, Hyun-Ho;Cho, Sung-Woo;Choi, Jin-Hi;Park, Jin-Seu;Eum, Won-Sik;Choi, Soo-Young
    • BMB Reports
    • /
    • 제39권5호
    • /
    • pp.642-647
    • /
    • 2006
  • Botulinum neurotoxin A (BoNT/A) has been used therapeutically to treat muscular hypercontractions and sudomotor hyperactivity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BoNT/A might have analgesic properties in headache. PEP-1 peptide is a known carrier peptide that delivers fulll-ength native proteins in vitro and in vivo. In this study, a BoNT/A gene were fused with PEP-1 peptide in a bacterial expression vector to produce a genetic in-frame PEP-1-BoNT/A fusion protein. The expressed and purified PEP-1-BoNT/A fusion proteins were efficiently transduced into cells in a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when added exogenously in a culture medium. In addition,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revealed that PEP-1-BoNT/A fusion protein efficiently penetrated into the epidermis as well as the dermis of the subcutaneous layer, when sprayed on mice sk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P-1-BoNT/A fusion protein provide an efficient strategy for therapeutic delivery in various human diseases related to this protein.

동면어류의 시기별 근육성분 분포에 관한 조직학적 관찰 - 1.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 근육조직중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질 분포의 변화 (Histological Observation on the Seasonal Changes of Distribution of Muscle Components in Hibernant Fish - 1. Distributional Changes of Carbohydrate, Protein and Lipid Components in the Muscle Tissues of Loach, Misgurnus mizolepis)

  • 박일웅;홍재식;이근광;김명곤;김종배;강귀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7-194
    • /
    • 1995
  • 동면어류의 물질대사에 대한 학술적 기초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자연산 미꾸라지의 암컷과 수컷을 시료로 하여 시기별 (산란기 전 ; 5월, 산란기 후 ; 8월, 동면직전 ; 11월, 동면직후 ; 3월)근육성분의 조성과 육조직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질 분포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만도(肥滿度)는 암,수 모두가 산란기후에 다소 높았고, 동면직후에 가장 낮았다. 수분함량은 산란기 후에 가장 적었으나 동면직후에 가장 높았고, 조단백질과 조지방은 산란기 후가 가장 높았으나 동면직후에 가장 낮아 이들 함량의 변화 pattern이 상보적(相補的)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탄수화물은 동면직전이 다소 많으나 동면직후에는 감소된 경향이었다. 근육 조직의 PAS염색 결과, 산란기후 표피의 점액 부위와 피하조직의 근육세포에서 비교적 강한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또한 진피층의 두께가 동면직후와 산란기 전이 산란기 후와 동면 직전보다 얇게 나타났다. Sudan black B 염색결과, 지방 성분 염색반응이 암컷은 산란기 전에 근육 세포층에 비교적 넓게 분포된 경향이었고, 수컷은 주로 점액층과 표피층에 나타났다. 산란기 후는 주로 표피 및 피하조직에 나타났고 동면직전과 후는 조직 전체에 분포하였으나 그정도가 동면직후에 다소 적은 편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