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rmal toxicity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6초

다양한 위해성평가 방법에 따라 도출한 오염토양 선별기준의 차이에 관한 연구 (I): 매체 간 이동현상 해석에 따른 차이 (Analysis on the Risk-Based Screening Levels Determined by Various Risk Assessment Tools (I): Variability from Different Analyses of Cross-Media Transfer Rates)

  • 정재웅;류혜림;남경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6권2호
    • /
    • pp.12-29
    • /
    • 2011
  • Risk-based screening levels (RBSLs) of some pollutants for residential adults were derived with risk assessment tools developed by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STM), and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KMOE) and compared each other. To make the comparison simple, ingestion of soil, dermal contact with soil, outdoor inhalation of vapors, indoor inhalation of vapors, and inhalation of soil particulates were chosen as exposure pathway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rived RBSLs varied for every exposure pathway. For direct exposure pathways (i.e., ingestion of soil and dermal contact with soil), the derived RBSLs varied mainly due to the different default values for exposure factors and toxicity data. When identical default values for the parameters were used, the same RBSLs could be derived regardless of the assessment tools used. For inhalation of vapors and inhalation of soil particulates, however, different analysis methods for cross-media transfer rates were used and different assumptions were established for each tool, identical RBSLs could not be obtained even if the same default values for exposure factors were used. Especially for inhalation of soil particulates pathway, screening level derived using KMOE approach (most conservative) was approximately 5000~10000 times lower than the screening level derived using ASTM approach (least conservative). Our results suggest that, when deriving RBSL using a specific tool, it is a prerequisite to technically review the analysis methods for cross-media transfer rates as well as to understand how the assessment tool derives the default values for exposure factors.

치과용 Ni-Cr합금 용출배지에 의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 성장도 관찰 연구 (A Study on the Viability of Human Dermal Fibroblast Cell by Media for Ni-Cr alloy elution)

  • 김갑진;최성민;김치영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26
    • /
    • 2009
  • Purpose: Standards of alloy for porcelain fused to metal crown be classified by metallic factor and biological factor. Metallic factors consist of stability of alloy composition and mechanical strength and surface characteristics for chemical bond. Biological factors be considered properties of metallic elements and problems originated by toxicity and hypersensitive reaction. Alloys considered such controversial points are the most suitable alloy for dental instrument. Method: Alloys added Be and Nb using Ni-Cr alloy which has been widely used for dental instrument be selected and classified experimental group. Non-addition Be and Nb to Ni-Cr alloy classify control group and addition Be alloy is Be-experimental group, addition Nb alloy is Nb-experimental group. Specimens for cytotoxicity analysis gave effect to washing and sterilization. and then made an experiment on elution with cell medium after disinfection. It conducted specimens within cell medium with 24hours, 48hours, 72hours, respectively. It cultured human dermal fibroblast(HDF) using cell medium for cytotoxicity test and then investigated elution rate through spectroscopic analysis by MTT-assay. Result: As results of cytotoxicity test by MTT-assay, cultured cell rate of VII measured more low numerical value within elution medium for 24hours focused on control group. Also, cultured cell rate of K3 alloys observed low value for 48hours, 72hours than value of control group. Conclusion: According to final result that synthesize above results, Ni-Cr alloy added Be and Ni has little difference in Cytotoxicity by MTT-assay.

  • PDF

검은콩과 발효검은콩 추출물이 인간 모유두 세포 성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lack Soybean and Fermented Black Soybean Extracts on Proliferation of Human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 최지혜;이명숙;김현정;권정일;이윤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71-680
    • /
    • 2017
  • 본 연구 결과 검은콩 물 에탄올 추출물과 Lactobacillus rhamnosus GG(LGG)와 Bifidobacterium animals subsp. lactis BB-12(BB-12)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발효검은콩 물 에탄올 추출물의 발효 전과 후의 성분변화를 분석하고, 검은콩과 검은콩 발효 추출물이 모유두 세포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primary 인간 모유두 세포(HFDPC)에 검은콩 추출물(BWE, BEE)과 발효검은콩 추출물(BWE-F, BEE-F)을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적정 처치 농도를 결정하여 모발 성장촉진(VEGF와 KGF/FGF7)과 억제($TGF-{\beta}1$과 AR)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을 mRNA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나아가 검은콩 추출물이 HFDPC의 생존 촉진에 미치는 영향을 Akt와 Erk의 인산화 활성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LGG와 BB-12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검은콩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pH, 총폴리페놀, 총당 환원당의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검은콩 4종 추출물(BWE, BEE, BWE-F, BEE-F) 중 BWE, BEE, BWE-F가 VEGF의 mRNA 발현을 증가시키고, 모든 처리군에서 KGF/FGF7의 mRNA 발현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BWE, BEE, BWE-F가 Erk의 활성을 증가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검은콩 물 추출물과 검은콩 에탄올 추출물, 그리고 발효검은콩 물 추출물이 인간 모유두 세포의 세포성장에 모발 성장 촉진인자의 활성과 Erk의 활성화 등을 통한 기전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모발 성장 및 모발 건강을 위한 기능성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산균 2종(LGG, BB-12)을 이용한 발효검은콩이 검은콩과 비교하여 모발 성장 촉진 관련 단백질 발현에서는 유의적인 우월성을 가지지는 않음을 확인하였다. 추후 다른 유산균 균 총을 이용한 발효검은콩의 연구와 더불어 보다 정밀한 발효를 통한 검은콩 추출물의 성분과 조성의 변화를 바탕으로 한 모발 성장 및 모주기 관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파라벤류의 독성과 내분비계장애 효과 (Toxicity and Endocrine Disrupting Effect of Parabens)

  • 안혜선;나원흠;이재은;오영석;계명찬
    • 환경생물
    • /
    • 제27권4호
    • /
    • pp.323-333
    • /
    • 2009
  • 파라벤은 p-하이드록시 벤조산(p-hydroxybenzoic acid)의 알킬에스테르로, 비교적 빠르게 흡수, 대사 및 배설되는 살균성 보존제로 식품, 화장품, 약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실제 인체는 파라벤 복합물에 노출된다. 파라벤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결과들에 대한 고찰 결과 파라벤 종류에 따라 다양한 독성종말점을 대상으로 파라벤의 급성, 아급성 및 만성독성 영향은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파라벤은 에스트로젠 유사활성을 가지며 화장품을 통한 경피흡수를 통해 유방암과의 상관성이 보고되었으나, 이와 상반된 견해도 있다. 파라벤의 항안드로젠성은 남성생식기계의 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나 이와 상반된 견해도 있다. 파라벤은 정자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및 남성호르몬 생성을 저해할 수 있으나 이와 상반된 견해도 있다. 배아발달에는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독성으로는 세포용혈, 미토콘드리아 막투과성 변화, 세포사멸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수환경에서 파라벤은 환경에스트로젠으로 작동하여 어류에서 내분비장애 효과를 발휘한다. 결론적으로 파라벤은 저독성물질로 분류할 수 있으나, 인체 및 수생동물들에서 파라벤의 노출경로 및 농도, 사용기간 등에 따른 독성과 내분비계장애 효과에 대하여는 다양한 종말점을 대상으로 좀 더 구체적인 독성자료들이 요구된다.

식물 추출물 라벤더, 레몬 유칼립투스 및 계피 오일의 급성독성평가 (Evaluation of Acute Toxicity of Plant Extracts, Lavender, Lemon Eucalyptus and Cassia Essential Oil)

  • 정미혜;권미정;박수진;홍순성;박경훈;박재읍;연성흠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39-346
    • /
    • 2010
  • 본 연구는 생리활성이 높은 식물오일의(라벤더, 레몬유칼립투스 및 계피 오일) 친환경 살충소재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급성독성(급성경구독성, 급성경피독성, 피부자극성 및 안점막자극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랫드를 이용한 급성경구독성시험결과 라벤더, 레몬 유칼립투스 및 계피 오일의 $LD_{50}$은 2,000 mg/kg bw 이상이었고, 급성경피독성시험결과 모든 시험물질의 $LD_{50}$이 4,000 mg/kg bw으로 나타났다. 피부자극성시험결과 라벤더와 레몬 유칼립투스 오일은 자극성이 없었고, 계피 오일은 중도의 자극성을 나타냈다. 안점막자극성시험결과 라벤더, 레몬 유칼립투스 오일은 자극성이 없었고, 계피오일은 중도의 자극성을 나타냈으나 세척시험 결과 자극성은 없었다. 따라서, 라벤더 및 레몬 유칼립투스 오일은 독성이 낮았으나, 계피 오일은 중도의 피부자극성 및 안점막자극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토양선충 Caenorhabditis elegans를 이용한 나노독성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for Nanotoxicity Using Soil Nematode Caenorhabditis elegans)

  • 김신웅;이우미;안윤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12호
    • /
    • pp.855-862
    • /
    • 2012
  • Free-living 선충으로 알려진 Caenorhabditis elegans는 주로 토양 공극수에서 서식하며, 토양 영양단계, 에너지 흐름, 그리고 분해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들어, C. elegans는 나노독성연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C. elegans를 이용한 나노독성과 그에 대한 기작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조사하였으며, 총 20건의 연구를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연구는 K-medium, S-medium, 그리고 NGM (Nematode Growth Medium) plate를 노출매체로 이용하고 있으며, 나노물질에 노출된 C. elegans로부터 관찰된 영향으로는 노화억제, 광독성영향, 유전독성, 그리고 표피자극 등이 포함되었다. C. elegans를 이용한 독성기작 연구는 개체 생활사 영향 평가, 산화스트레스 영향 평가, 유전독성영향 평가, 나노물질의 생체 내 분포, 그리고 나노물질 특성에 의한 독성영향 평가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세포활성, 잘 알려진 유전정보, 그리고 투명한 구조로 인한 나노물질 관찰의 용이성을 바탕으로, C. elegans를 이용한 나노독성연구의 장점을 확인하였다. C. elegans는 나노독성을 평가하기에 적합한 시험종으로 고려되고 있다.

황토유황합제의 pH차이에 따른 급성독성평가 (Acute Toxicity Evaluation of Loess-sulfur Complex in different pH)

  • 백민경;심창기;이제봉;오진아;정미혜;김두호;김민정;지형진;최은지;조현조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9-375
    • /
    • 2012
  • 황토유황합제는 우리나라에서 농작물 생산에 살균살충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친환경유기농자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알칼리성이 강하여 작물에 약해를 보일 뿐 아니라 농업자의 피부 및 안점막에 자극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제품으로서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작물의 약해를 저감하기 위해 pH를 조정하여 제조한 황토유황합제 3종(pH 9, pH 10, pH 11)의 인축 급성독성시험을 시행하여 인체 안전성을 확인함으로써 친환경유기농자재 개발시 최적의 제품 선정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랫드를 이용한 급성경구독성시험 결과 황토유황합제는 $LD_{50}$이 2,000 mg/kg b.w. 이상이었으며, 급성경피독성시험 결과 또한 모두 4,000 mg/kg b.w. 이상인 저자극성으로 분류되었다. 피부 및 안점막자극성 시험 결과에서도 모두 저자극성으로 구분되었으며 pH 9~11 범위에서 제품간 독성분류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식물추출물 후추, 클로브버드, 로즈마리 및 오리가늄오일의 급성독성평가 (Evaluation of Acute Toxicity of Black Pepper extracts, Clove bud, Rosemary and Origanum Essential oils)

  • 정미혜;박수진;권미정;유아선;박경훈;뱍재읍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1-237
    • /
    • 2011
  • 본 연구는 후추출물, 클로브버드, 로즈마리 및 오리가늄오일의 친환경 살충소재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급성경구독성, 급성경피독성, 피부자극성 및 안점막자극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랫드를 이용한 급성경구독성시험결과 후추추출물, 클로브버드, 로즈마리 및 오리가늄오일의 $LD_{50}$은 2,000 mg/kg bw이상이었고, 급성경피독성시험결과 모든 사험물질의 $LD_{50}$이 4,000 mg/kg bw으로 나타났다. 피부자극성시험결과 후추추출물, 클로브버드 및 로즈마리오일은 자극성이 없었고, 오리가늄오일은 중도의 자극성을 나타냈다. 안점막자극성시험결과 후추추출물과 로즈마리오일은 자극성이 없고, 클로브버드오일은 경도의 자극성을 나타냈으며, 오리가늄오일은 중도의 자극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후추와 로즈마리오열은 독성이 낮았으나, 클로브버드오일은 경도의 안점막자극성을 갖고, 오리가늄오일은 중도의 피부자극성과 안점막자극성이 있는 것으로 구분되었다.

The Effect of Trigonella foenum-graceum L. (Fenugreek) Towards Collagen Type I Alpha 1 (COL1A1) and Collagen Type III Alpha 1 (COL3A1) on Postmenopausal Woman's Fibroblast

  • Yusharyahya, Shannaz Nadia;Bramono, Kusmarinah;Sutanto, Natalia Rania;Kusuma, Indra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5권3호
    • /
    • pp.208-214
    • /
    • 2019
  • Trigonella foenum-graceum L. (fenugreek) is a phytoestrogen, a nonsteroidal organic chemical compound from plants which has similar mechanism of action to sex hormone estradiol-$17{\beta}$.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effectivity of fenugreek seeds extract on collagen type I alpha 1 (COL1A1) and collagen type III alpha 1 (COL3A1) which are both decreased in aging skin and become worsen after menopause. This in vitro experimental study used old human dermal fibroblast from leftover tissue of blepharoplasty on a postmenopausal woman (old HDF). As a control of the fenugreek's ability to trigger collagen production, we used fibroblast from preputium (young HDF). Subsequent to fibroblast isolation and culture, toxicity test was conducted on both old and young HDF by measuring cell viability on fenugreek extract with the concentration of 5 mg/mL to $1.2{\mu}g/mL$ which will be tested on both HDF to examine COL1A1 and COL3A1 using ELISA, compared to no treatment and 5 nM estradiol. Old HDF showed a 4 times slower proliferation compared to young HDF (p<0.05). Toxicity test revealed fenugreek concentration of $0.5-2{\mu}g/mL$ was non-toxic to both old and young HDF. The most significant fenugreek concentration to increase COL1A1 and COL3A1 secretion was $2{\mu}g/mL$ (p<0.05).

코코넛 오일로부터 유래된 카르복실레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합성 및 계면 특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of Carboxylate-Based Anionic surfactant from Coconut Oil Source and Characterization of Interfacial Properties)

  • 이예진;박기호;신희동;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32권3호
    • /
    • pp.260-26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코코넛 오일로부터 카르복실레이트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SLEC-3을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계면활성제의 구조를 FT-IR, 1H-NMR 및 13C-NMR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합성한 계면활성제 SLEC-3에 대하여 임계 마이셀 농도, 정적 및 동적 표면장력, 유화력, 거품 안정성 등의 계면 물성을 측정한 결과, 기존 세제 제품에서 널리 사용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SLES와 비교하여 계면 활성이 보다 우수하고 계면 에너지를 낮추는데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SLCE-3에 대한 생분해성, 급성 경구 독성 및 급성 피부자극 시험을 실시한 결과, 저자극 및 저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세제 및 세정제 제품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