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th from Defocu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5초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Depth From Defocus (Depth From Defocus using Wavelet Transform)

  • 최창민;최태선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2권5호
    • /
    • pp.19-2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들 간의 상대적인 열화(Blur)를 이용하여 물체의 3차원 형상 및 거리 정보를 얻을 수 있는 Depth From Defocus(DFD)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논문의 주파수 영역에서 디포커스(Defocus) 연산자를 구하는 역필터링(Inverse filtering) 방법은 정확도가 떨어지고, 윈도우 효과(Windowing effects) 및 영상의 경계 효과(Border effect)와 같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영상은 비정체성 (Nonstationary)이기 때문에, 임의의 텍스처에 대한 가우시안(Gaussian) 및 라플라시안(Laplacian) 연산자 등의 필터를 이용하는 디포커스 방법의 추정값은 결과가 좋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지역적 분석과 함께 다양한 크기의 윈도우를 제공하는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DFD 방법을 제안한다. 복잡한 텍스처 특성을 갖는 영상의 깊이 추정을 위해서는 웨이블릿 분석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Parseval의 정리에 의해 영상 간의 웨이블릿 에너지의 비율이 열화 계수(Blur parameter) 및 거리와 관련 있음을 증명하였다. 제안된 DFD 알고리즘의 성능을 계산하기 위해 실험은 종합적이며 실제적인 영상을 이용하여 행하였다. 본 논문의 DFD 방식은 기존의 DFD 방법보다 RMS 에러 측면에서 정확한 결과를 보였다.

단일 영상에서 디포커스 맵을 활용한 보케 효과 알고리즘 (Bokeh Effect Algorithm using Defocus Map in Single Image)

  • 이용환;김흥준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87-91
    • /
    • 2022
  • Bokeh effect is a stylistic technique that can produce blurring the background of photos. This paper implements to produce a bokeh effect with a single image by post processing. Generating depth map is a key process of bokeh effect, and depth map is an image that contains information relating to the distance of the surfaces of scene objects from a viewpoint. First, this work presents algorithms to determine the depth map from a single input image. Then, we obtain a sparse defocus map with gradient ratio from input image and blurred image. Defocus map is obtained by propagating threshold values from edges using matting Laplacian. Finally, we obtain the blurred image on foreground and background segmentation with bokeh effect achiev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an efficient image processing method with bokeh effect applied using a single image is presented.

흐린 초점의 단일영상에서 깊이맵 생성 알고리즘 (Depth Map Generation Algorithm from Single Defocused Image)

  • 이용환;김영섭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67-71
    • /
    • 2016
  • This paper addresses a problem of defocus map recovery from single image. We describe a simple effective approach to estimate the spatial value of defocus blur at the edge location of the image. At first, we perform a re-blurring process using Gaussian function with input image, and calculate a gradient magnitude ratio with blurring amount between input image and re-blurred image. Then we get a full defocus map by propagating the blur amount at the edge location. Experimental result reveals that our method outperforms a reliable estimation of depth map, and shows that our algorithm is robust to noise, inaccurate edge location and interferences of neighboring edges within input image.

A Defocus Technique based Depth from Lens Translation using Sequential SVD Factorization

  • Kim, Jong-Il;Ahn, Hyun-Sik;Jeong, Gu-Min;Kim, Do-Hyu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5년도 ICCAS
    • /
    • pp.383-388
    • /
    • 2005
  • Depth recovery in robot vision is an essential problem to infer the three dimensional geometry of scenes from a sequence of the two dimensional images. In the past, many studies have been proposed for the depth estimation such as stereopsis, motion parallax and blurring phenomena. Among cues for depth estimation, depth from lens translation is based on shape from motion by using feature points. This approach is derived from the correspondence of feature points detected in images and performs the depth estimation that uses information on the motion of feature points. The approaches using motion vectors suffer from the occlusion or missing part problem, and the image blur is ignored in the feature point detection. This paper presents a novel approach to the defocus technique based depth from lens translation using sequential SVD factorization. Solving such the problems requires modeling of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light and optics until reaching the image plane. For this mutuality, we first discuss the optical properties of a camera system, because the image blur varies according to camera parameter settings. The camera system accounts for the camera model integrating a thin lens based camera model to explain the light and optical properties and a perspective projection camera model to explain the depth from lens translation. Then, depth from lens translation is proposed to use the feature points detected in edges of the image blur. The feature points contain the depth information derived from an amount of blur of width. The shape and motion can be estimated from the motion of feature points. This method uses the sequential SVD factorization to represent the orthogonal matrices that are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Some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with a sequence of real and synthetic images comparing the presented method with the depth from lens translation. Experimental results have demonstrated the validity and shown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to the depth estimation.

  • PDF

단일 카메라를 이용한 3D 깊이 추정 방법 (3D Depth Estimation by a Single Camera)

  • 김승기;고영민;배철균;김대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281-291
    • /
    • 2019
  • 3D 카메라 기술 중에서 초점의 흐려짐을 이용한 깊이 추정은 카메라의 초점거리 평면의 물체는 선명한 상이 맺히지만 카메라의 초점거리 평면으로부터 멀어진 물체는 흐린 영상을 만들어낸다는 현상을 이용해 3D 깊이를 추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의 흐림 정도를 분석하여 3D 깊이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연구하였다. 단일 카메라의 1 개의 영상 또는 단일 카메라의 초점이 서로 다른 2 개의 영상을 사용하여 초점의 흐려짐을 이용한 3D 깊이를 추정하는 방법을 통해 최적화된 피사체 범위를 도출하였다. 1 개의 영상을 이용한 깊이 추정에서는 스마트폰 카메라와 DSLR 카메라 모두 250 mm의 초점거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2개의 영상을 이용한 깊이 추정에서는 스마트폰 카메라 영상은 150 mm와 250 mm로 그리고 DSLR 카메라 영상은 200 mm와 300 mm로 초점거리를 설정하였을 때 가장 좋은 3D 깊이 추정 유효 범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Investigation on the Applicability of Defocus Blur Variations to Depth Calculation Using Target Sheet Images Captured by a DSLR Camera

  • Seo, Suyoung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9-121
    • /
    • 2020
  • Depth calculation of objects in a scene from images is one of the most studied processes in the fields of image processing, computer vision, and photogrammetry. Conventionally, depth is calculated using a pair of overlapped images captured at different view points. However, there have been studies to calculate depths from a single image. Theoretically, it is known to be possible to calculate depth using the diameter of CoC (Circle of Confusion) caused by defocus under the assumption of a thin lens model. Thu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thin lens model to calculate depth from edge blur amount which corresponds to the radius of CoC. For this study, a commercially available DSLR (Digital Single Lens Reflex) camera was used to capture a set of target sheets which had different edge contrasts. In order to find out the pattern of the variations of edge blur against varying combination of FD (Focusing Distance) and OD (Object Distance), the camera was set to varying FD and target sheet images were captured at varying OD under each FD. Then, the edge blur and edge displacement were estimated from edge slope profiles using a brute-force metho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attern of the variations of edge blur observed in the target images was apart from their corresponding theoretical amounts derived under the thin lens assumption but can still be utilized to calculate depth from a single image for the cases similar to the limited conditions experimented under which the tendency between FD and OD is manifest.

인포커스 및 디포커스 영상으로부터 깊이맵 생성 (A Depth Estimation Using Infocused and Defocused Images)

  • ;김만배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4-115
    • /
    • 2013
  • The blur amount of an image changes proportional to scene depth. Depth from Defocus (DFD) is an approach in which a depth map can be obtained using blur amount calculation. In this paper, a novel DFD method is proposed in which depth is measured using an infocused and a defocused image. Subbaro's algorithm is used as a preliminary depth estimation method and edge blur estimation is provided to overcome drawbacks in edge.

  • PDF

단일 프레임 영상에서 초점을 이용한 깊이정보 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reate Depth Map using Focus/Defocus in single frame)

  • 한현호;이강성;이상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4호
    • /
    • pp.191-197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단일 프레임 영상에서 초점을 이용하여 초기 깊이정보를 추출한 후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단일 프레임 영상에서 깊이를 추정하기 위해 원본 영상과 가우시안 필터를 중첩 적용하여 생성된 영상의 비교를 통해 영상의 초점 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값을 기반으로 초기 깊이정보를 생성하도록 하였다. 생성된 초기 깊이정보를 Normalized cut을 이용한 객체 분할 결과에 할당하고 각 객체의 깊이를 객체 내 깊이 정보의 평균값으로 보정하여 동일 객체가 같은 깊이 값을 갖도록 하였다. 객체를 제외한 배경 영역은 객체를 제외한 배경 영역의 에지 정보를 이용하여 깊이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깊이를 DIBR(Depth Image Based Rendering)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으로 변환하였고 기존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된 영상과 비교 분석하였다.

초점 영상 및 비초점 영상으로부터 깊이맵을 생성하는 방법 (Depth Map Generation Using Infocused and Defocused Images)

  • 사이드 마흐모드포어;김만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62-371
    • /
    • 2014
  • 카메라 초점에 의해 발생하는 흐림(blur)의 변화는 깊이값을 측정하는데 사용한다. DFD(Depth from Defocus)는 깊이값과 흐림의 비례 관계를 이용하여 흐림의 양을 측정하는 기술이다. 기존 DFD 방법은 입력으로 두 장의 비초점 영상(defocused image)을 사용하는데, 기술적인 문제로 낮은 품질의 복원된 초점 영상(infocused image)과 깊이맵을 얻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초점영상과 비초점 영상을 이용함으로써 복원된 초점 영상의 품질 저하를 해결한다. 제안 방법에서는 Subbaro가 제안한 DFD 방법에 새로운 에지 흐림 측정 방법을 결합하여 보다 정확한 흐림 값을 구한다. 또한 명암의 변화가 적은 영역에서는 흐림의 양을 측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관심맵(saliency)을 이용하여 비에지 영역을 채울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에서는 초점 조절 기능이 있는 카메라로부터 20장의 2K FHD 해상도의 초점 및 비초점 영상을 생성한 후에 제안 방법을 이용하여 깊이맵을 생성하고, 마지막으로 입력 초점 영상과 깊이맵으로부터 3D 입체영상을 제작하였다. 3D 모니터로 시청한 결과 안정된 3D 공간감과 입체감을 얻을 수 있었다.

2D/3D 동영상 변환을 위한 초점/비초점 분석 기반의 전경 영역 추출과 깊이 정보 생성 기법 (Foreground Extraction and Depth Map Creation Method based on Analyzing Focus/Defocus for 2D/3D Video Conversion)

  • 한현호;정계동;박영수;이상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243-24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2D/3D 동영상 변환을 위해 깊이가 할당될 전경을 초점 정보와 색상분석 기반의 그룹화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전경의 깊이를 초점 정보와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2D영상에서 전경을 추출하기 위해 영상의 초점 정보의 움직임을 추정하여 전경 후보 영상을 생성하고, 전경 후보 영상에 존재하는 객체 내부의 홀 영역을 색상 분석을 이용한 채움 과정을 수행하여 전경 영역을 추출하였다. 생성된 전경 영역에 깊이를 할당하기 위해 해당 프레임에 존재하는 초점 값을 분석하여 초기 깊이 정보를 생성하고 움직임 정보를 가중하여 깊이 정보를 할당하였다. 생성된 깊이 정보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에 제안된 알고리즘의 결과 영상과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