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ression symptoms

검색결과 1,455건 처리시간 0.022초

상부위장관내시경 소견과 핵심칠정척도 단축형을 활용한 정서적 특성 연구 (A Study on Emotional Characteristics Using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ic Findings and The Core Seven Emotions Inventory-Short Form)

  • 김광우;고경진;한민석;강성현;강형원;유영수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1-31
    • /
    • 2022
  • Objectives: To perform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Core Seven Emotions Inventory-Short Form (CSEI-s), Beck Anxiety Inventory (BAI),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gastroscopic findings and to compare emotional characteristic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ic findings. Methods: In this study, medical records of 38 participants who visited the hospital for examination purposes or complained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completed the CSEI-s, BAI, BDI, and Questionnaire for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sion 25.0.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s U-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The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 group showed higher levels of anger, sorrow, depression, and anxiety than the asymptomatic group. On gastroscopy, the normal group had higher levels of Joy than the abnormal group. The reflux esophagitis group showed higher levels of thought, depression, sorrow, and anxiety than the non-reflux esophagitis group. Jo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DI score. However, anger, depression, sorrow, BAI, and BDI scor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Conclusions: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SEI-s can be used to treat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reflux esophagitis.

여성의 연령과월경 전후기 증상 정도 및 유형에 관한 연구 (The Serverith Leverls and Patterns of Perimenstrual symptoms among Korean Women in relation to their Ages)

  • 박영주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62-175
    • /
    • 1999
  • The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and explore the preimenstrual symptoms, their severity levels, their patterns and the relationships of the age to those symptoms and patterns among Korean wome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844 women in one highschool, one Nursing college and on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in Seoul, from Nov, 1997 to Jun. 1998. The instruments were the Menstrual Symptoms Questionnaire developed by Chesney an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developed by Radloff.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Duncan's multiple comparison test, $X^2$-test,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pc-SA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Korean women had more symptoms of abdominal bloating, fatigue, abdominal discomfort and backache in perimenstrual period. There Teenages had more symptoms of depression and uterine cramps in the day before or the first day of menstruation. Women in their twenties had more symptoms of abdominal pain or abdominal discomfort, backache, abdominal bloating and the sensitiveness /discomforts in the lower back, abdomen and inner part of thighs. women in their thirties had more symptoms of abdominal bloating, fatigue, tension and nervousness before the menstruation, abdominal discomfort and backpain in the first day of menstruation. Women in their forties had more symptoms of backache, breast discomforts, abdominal pain and discomforts. 2. The severity levels of the perimenstrual symptoms showed the highest score(mean=2.73) in twenties and the lowest score)mean=1.96) in forties The perimenstrual symptom patterns were prevailed the spasmodic menstrual symptoms in teenage and twenties and the congestive menstrual symptoms in thirties and forties. The age was a determinant of perimenstrual symptom patterns and the precipitative equation was log[p(age)/(1-p(age)]=2.7356-0.0982 age. 3. The relationship of the age to perimenstrual symptoms was vanished or lessened, controlling for parity as a test factor. this finding supports the notion that parity is an extraneous variable.

  • PDF

우울증으로 오진되었던 이차성 부신기능저하 : 증례 보고 (Secondary Adrenal Insufficiency Initially Misdiagnosed as Depression : A Case Report)

  • 문덕수;강원섭;백종우;송지영;김종우
    • 정신신체의학
    • /
    • 제19권2호
    • /
    • pp.109-114
    • /
    • 2011
  • 연구목적: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의 이상은 다양한 정신과적 증상과 연관이 있으며, 우울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저자들은 뇌하수체 기능저하 및 이차성 부신기능저하와 연관된 두통, 무의욕, 무기력, 정신운동 저하, 식욕 저하, 불면 및 걱정 등의 우울 증상을 주소로 정신과에 입원한 71세 남자 환자에 대해 증례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정신과 입원 후 두통, 불면, 불안 및 소화기 증상은 호전되었으나, 무기력감은 지속되었다. 퇴원 후 고열 및 의식 혼탁으로 감염내과에 재입원을 하였으며, 부신기능 저하소견을 동반한 범뇌하수체기능저하증이 진단되었고, 코티졸 투여로 전반적인 증상이 호전되었다. 뇌하수체 기능저하에 따른 갑상선 기능저하, 부신기능저하, 성장호르몬 저하 등은 무기력, 피곤, 불면, 체중 감소, 식욕 저하 등의 여러 가지 비특이적 증상들을 나타내고, 임상에서 이러한 비특이적 우울 증상을 가진 환자의 경우, 내분비 질환에 대한 감별이 필요하다.

  • PDF

일 도시 청년 인구의 불안 우울 공존 증상 네트워크 분석 (Network Analysis of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 in Young Adult of an Urban City)

  • 박종완;이효철;홍재은;이석범;이정재;김경민;정효석;김도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31권2호
    • /
    • pp.118-124
    • /
    • 2023
  • 연구목적 우울장애와 불안장애는 흔히 공존하며 임상전단계에서도 흔히 공존한다. 본 연구는 일반인구 집단에서 우울장애와 불안장애가 공존시의 복합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중심 증상과 중개 증상을 밝히고자 했다. 방 법 2022년 아산시 청년 정신건강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일반 인구집단 81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PHQ-9과 GAD-7을 이용하여 각각 우울과 불안증상의 정도를 측정하였고, 각 증상에 대해 Isingfit model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구조를 도출하였다. 주요 증상 및 중개 증상을 찾기 위해 네트워크 지표 중 강도 중심성과 bridge expected influence를 활용하였다. 결 과 우울한 기분, 안절부절 못함과 초조함이 네트워크에서 가장 높은 강도중심성을 보였으며, 불안증상과 우울증상 간의 높은 중개 역할을 하는 증상은 안절부절 못함과 과민성이었다. 결 론 일반 인구집단에서 우울증상과 불안증상이 공존할 때의 중심증 상과 중개증상을 규명하였고 치료적 중재의 목표가 되면 두 질환의 동반이환율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분석: 부모의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 효능감,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 (Factors influencing stress and depression among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With specific focus on parental social support, resiliency of efficacy and stress management behavior)

  • 박영신;;김의철 ;한기혜 ;김의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5권1호
    • /
    • pp.1-28
    • /
    • 2009
  •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부모의 사회적 지원과 어려움극복 효능감 및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을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부모의 사회적 지원은 어려움극복 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어려움극복 효능감은 스트레스 관리행동과 스트레스 및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어려움극복 효능감은 부모의 사회적 지원이 스트레스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과정에서 매개변인의 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 4] 스트레스 관리행동은 스트레스 및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가설에 기초하여 연구모형이 제안되었다. 분석대상은 총 469명으로, 한국 대학생 289명(남 156, 여 133)과 일본 대학생 180명(남 112, 여 68)이었다. 측정도구는 간편형 로드아일랜드 스트레스 척도(Horiuchi, Tsuda, Tanaka, Yajima & Tsuda, in press), 스트레스 관리행동 척도(Evers et al., 2006), 우울 척도(CES-D, Radloff, 1977; BDI-II, Beck, Steer & Brown, 1996), 어려움극복 효능감 척도(Bandura, 1995), 부모의 사회적 지원 척도(김의철, 박영신, 1999b)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설 1, 2, 3은 한국과 일본 대학생 자료에서 모두 긍정되었다. 가설 4는 일본 대학생 자료에서는 부정되었고, 한국 대학생 자료에서는 부분적으로 부정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로부터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을수록 어려움극복 효능감이 높았다. 둘째, 어려움극복 효능감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관리행동을 잘 하고, 스트레스가 낮을 뿐만 아니라, 우울 수준이 낮았다. 셋째, 어려움 극복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 의미 있는 작용을 하였다. 넷째, 스트레스 관리행동은 스트레스에 대해 의미 있는 영향이 없었다. 따라서 부모의 사회적 지원과 어려움극복 효능감은 스트레스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 PDF

무용/동작치료가 입원중인 정신분열증 환자의 정신건강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nce/Movement Therapy on Mental Health in In-patient with Schizophrenia)

  • 김홍자;김인숙;김도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58-467
    • /
    • 2011
  • 본 연구는 무용/동작치료가 입원중인 정신분열증 환자의 정신건강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STAXI, BDI, STAI, PANSS 비교분석 하였다. 대상자는 대전 J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정신분열증 환자 중 선정기준에 적합한 38명을 무용/동작치료군 18명, 대조군 20명씩 할당하여 분노는 STAXI, 우울은 BDI, 불안은 STAI로, 양성 및 음성증상은 PANSS를 사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상태 분노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분노 표현 중에서 분노 통제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우울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음성 증후군 척도에서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입원한 정신분열병 환자에게 무용/동작치료는 상태 분노를 감소시키고, 분노 통제를 증진시켰고, 우울을 감소와 음성 증상에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일부 남자 고등학생들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Self-Perceived Psychosocial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Male High School Students)

  • 신은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45-56
    • /
    • 2016
  • 본 연구는 남자 고등학생들의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의 남자 고등학생 573명으로 하였으며, 2015년 10월에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학생들의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의 분포는 건강군 14.8%, 잠재적 스트레스군 71.9%, 고위험스트레스군 13.3%이었으며, 우울수준의 분포는 정상군 71.4%, 경도 우울군 25.3%, 중등도 우울군 3.0%, 중증 우울군 0.3%이었다. 조사대상 학생들의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주관적인 건강상태, 아침식사 여부, 수면시간, 학교성적, 고민거리,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 가정의 경제 상태 및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가 선정되었으며, 특히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는 우울수준과 높은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어 학생들의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된다.

청소년 자폐스펙트럼장애에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에 미치는 우울, 불안 증상의 영향 (The Effects of Anxiety and Depression on Treatment Outcome of Social Skills Training in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홍정경;노동현;오미애;김주현;봉귀영;유희정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9-105
    • /
    • 2018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depression and anxiety on treatment response of social skills training in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Methods : A total of 107 teenagers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the Education and Enrichment of Relational Skills (PEERS$^{(R)}$) between 2011 and 2015 were analyzed using linear regression. Outcome measures used were the Korean version of Social Responsiveness Scale (SRS), the Test of Adolescent Social Skills Knowledge-Revised (TASSK-R), and the Korean version of 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 (K-ADOS). Depression and anxiety were assessed by the Korean version of Child Depression Inventory (CDI), the Korean version of State and 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STAIC), and the Korean version of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Results : As a result, depressive symptoms measured by CDI (p<0.05) and anxiety symptoms measured by STAIC (p<0.05)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score change of social interaction domain of ADOS. It remained significant even after the baseline score was adjusted as covariates (p<0.05). Conclusion : We observed that pre-treatment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of teenage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treatment outcome of PEERS$^{(R)}$, especially in terms of face-to-face social interaction.

유방암 환자의 항암화학요법 관련 인지기능 변화와 삶의 질의 구조모형 (A Structural Model for Chemotherapy Related Cognitive Impairment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 이정란;오복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75-385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test a structural model for chemotherapy-related cognitive impairment of breast cancer patient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Hess and Insel's chemotherapy-related cognitive change model. Method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50 patients who were ${\geq}19$ years of age. The assessment tools included the Menopause Rating Scale, Symptom Experience Scal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Everyday Cognition, and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Breast Cancer.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Results: The modified model was a good fit for the data. The model fit indices were ${\chi}^2=423.18$ (p<.001), ${\chi}^2/df=3.38$, CFI=.91, NFI=.91, TLI=.89, SRMR=.05, RMSEA=.09, and AIC=515.18. Chemotherapy-related cognitive impairment was directly influenced by menopausal symptoms (${\beta}=.38$, p=.002), depression and anxiety (${\beta}=.25$, p=.002), and symptom experiences (${\beta}=.19$, p=.012). These predictors explained 47.7% of the variance in chemotherapy-related cognitive impairment. Depression and anxiety mediated the relations among menopausal symptoms, symptom experiences, and with chemotherapy related cognitive impairment. Depression and anxiety (${\beta}=-.51$, p=.001), symptom experiences (${\beta}=-.27$, p=.001), menopausal symptoms (${\beta}=-.22$, p=.008), and chemotherapy-related cognitive impairment (${\beta}=-.15$, p=.024) had direct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and these variables explained 91.3%.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emotherapy-related toxicity is highly associated with cognitive decline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Depression and anxiety increased vulnerability to cognitive impairment after chemotherapy. Nursing intervention is needed to relieve chemotherapy-related toxicity and psychological factor as well as cognitive decline for quality of life in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Nature Experience-based Virtual Reality Improves Depressive Symptoms in a Young Population: A Pilot Study

  • Da-Been Lee;Seung-Lim Yoo;Sang Shin Pyo;Jinkwan Kim;Bo-Gyu Kim;Suhng-Wook Kim;Byung-Jung Ko;Dae Wui Yoo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
    • /
    • 2024
  • Al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attempts to use virtual reality (VR) in the treatment of depression, the results have been inconsistent and existing studies have mostly relied on subjective measure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VR in improving depress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ature experience-based VR intervention on depressive symptoms in a young population using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ments.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15 participants who had more than 14 identifiers of the Korean Beck Depression Inventory (K-BDI)-II. Participants received three weeks (four times per week) of VR intervention. The effectiveness of VR was assessed through changes in K-BDI-II scores and depression-related blood biomarkers. Nature experience-based VR intervention led to an approximately 50% reduction of K-BDI-II score (before 25.7±7.7 vs. after 12.5±8.3 (P<0.001)). Of these, loss of pleasure and fatigue showed the largest amount of improvement. However, levels of cortisol,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nd interleukin-6 did not differ from those at baseline. The findings of our pilot study suggest that nature experience-based VR can be a useful adjunctive treatment method for improving depressive symptoms in individuals who have difficulty accessing the real outside natural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