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ure retention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16초

임플란트용 플라스틱 트레이를 이용하여 하악 흡착의치를 제작하는 방법 (Technique for fabricating a mandibular suction denture with a plastic implant tray)

  • 이주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36-42
    • /
    • 2021
  • 하악 무치악 환자에게 치과용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가 우선적으로 추천된다. 그러나 많은 환자들은 경제적, 건강상태를 이유로 전통적인 총의치를 선택하기도 한다.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작된 총의치는 치조골 흡수가 심한 환자에서 간혹 유지 및 안정에 한계를 보인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폐구인상법을 이용한 흡착의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은 Frame cut back tray, Centric tray, Gnathometer M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진료실에서 흔히 사용되는 치과재료를 이용한 하악 흡착의치 제작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CAD-CAM으로 제작된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이용한 무치악 환자의 보철 수복 증례 (Rehabilitation of the edentulous patient with implant overdenture using CAD-CAM denture system: A case report)

  • 이한나;심지석;이정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374-381
    • /
    • 2022
  • 본 증례는 74세 남환으로 20년 전 제작한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잦은 탈락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기존 의치 사용 시 수직고경이 감소되었으며, 상악 총의치는 입술 지지 및 유지력이 부족하였으며, 하악 피개의치는 bar attachment 손상으로 clip의 유지력 부족이 관찰되었다. 손상된 bar attachment를 제거 후 ball attachment로 교체하였으며, DENTCATM Tray를 이용하여 인상 채득, 수직고경을 측정하고, 고딕 아치 기록방법으로 중심위를 결정하여 교합기록을 시행하였다. 채득한 인상체를 스캔하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최종 의치의 형태를 디자인하였고, 3D 프린터로 시적의치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적의치를 장착하여 교합평면 및 교합관계, 안모 형태, 발음 등을 평가한 후 교합기록을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최종 의치를 제작하였다. 최종 의치의 내면 조정 및 양측성 균형교합을 형성하였으며, 하악 의치에서는 직접법으로 attachment를 연결하였다. 새로 제작된 상하악 의치 사용 시, 수직고경의 증가 및 입술지지를 회복하여 개선된 안모가 관찰되었으며, ball attachment 교체로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유지력이 증가하여 기능적으로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하악에서 완압형 자성 어태치먼트를 부착한 임플란트-자연치 피개 의치: 10년 증례보고 (Mandibular implant-natural tooth retained overdenture using magnetic attachment with stress breaker)

  • 박은철;이수연;김희중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4호
    • /
    • pp.378-386
    • /
    • 2015
  • 피개 의치는 의치의 안정과 유지력 증가라는 장점을 갖지만 지대치가 우식 또는 치주질환에 이환되기 쉬우며 의치의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의치가 파절되기 쉽다는 단점도 갖고 있다. 자성 어태치먼트 피개 의치는 수직적 유지력은 크지만 수평적 유지력은 작으므로 지대치나 임플란트에 덜 위해한 힘을 가하며, 다른 기계적 유지장치에 비해 마모나 파손 등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피개 의치에서 나타나는 의치의 파절은 의치상의 두께가 얇아져서 발생하기도 하지만, 연조직과 경조직, 임플란트와 자연치의 압하량 차이로 인해 발생하기도 한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silicone ball이 자석 안에 삽입되어있는 자성 어태치먼트가 개발되었으며, 이를 이용해 피개 의치를 제작한 증례에서 우수한 결과가 나타나 보고하고자 한다.

상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CM LOC® Pekkton® attachment를 이용한 임플란트 유지 피개의치 수복 증례 (Implant-retained overdenture with CM LOC® Pekkton® in maxillary edentulous patient)

  • 홍문기;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4호
    • /
    • pp.321-328
    • /
    • 2017
  • 무치악은 총의치나 임플란트 보철물로 수복이 가능하며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는 총의치보다 유지와 안정이 우수하고,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에 비해 저렴하고 심미적이다. CM $LOC^{(R)}$ $Pekkton^{(R)}$ 어태치먼트는 여자부가 poly-ether-ketone-ketone으로 마모저항성이 뛰어나다. 한편, SR Ivocap system은 가압주사성형법으로 의치의 수직고경 변화가 적고 강도가 우수하다. 본 증례에서 상악은 4개의 임플란트 식립 후 CM $LOC^{(R)}$ $Pekkton^{(R)}$ 어태치먼트와 SR Ivocap system을 이용한 임플란트 유지 피개의치를, 하악은 가철성 국소의치를 제작하였고 심미적 및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무치악 환자에서 로케이터 부착장치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 증례 (Implant overdenture treatment using Locator attachment system on edentulous patient)

  • 김수엽;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2호
    • /
    • pp.176-183
    • /
    • 2014
  • 심하게 흡수된 치조제는 기능적인 하중을 견디기 어렵고 구강 조직의 유해 변화와 더불어 환자의 의치 적응을 어렵게 한다. 환자의 불편감을 해소하고 의치의 안정성과 유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가 치료 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다. 로케이터 부착장치는 사용상의 편리성이 높으며 다양한 유지력을 갖는 남자부를 보유함으로써 임상에서 볼 형태 부착장치대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증례는 77세 여자환자로서 낮은 수직고경과 심한 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상하악 무치악 상태였다. 이에 하악에 4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상악은 총의치, 하악은 로케이터 부착장치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수복하여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CAD-CAM을 이용한 RPD 지대치의 retrofit crown 제작 증례 (Fabricating retrofit crowns to an existing removable partial denture by CAD-CAM: a case report)

  • 이혁순;김성아;방주혁;김성용;장희원;이근우;이용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40-145
    • /
    • 2024
  • 가철성 국소의치를 사용하는 환자의 잔존 치아가 우식, 마모, 부식, 파절 등의 이유로 보철 수복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가철성 국소의치의 구조물과 접촉하는 부분이 많은 지대치의 보철 수복이 필요한 경우, 서베이드 크라운을 제작 후 가철성 국소의치를 새로 제작하는 것이 통상적인 방법이다. 이럴 경우, 환자가 적응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고,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발생한다. 한편, 손상된 치아 외에 구강 내 다른 부분에서 가철성 국소의치의 지지, 유지 및 안정을 일부분 제공하는 경우 기존 국소의치의 사용은 임상적으로 양호하다. 이 때 기존 국소의치를 유지하면서 해당 치아를 보철 수복한다면, 환자는 불편과 비용을 줄이면서 기존 가철성 국소의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국소의치에 맞추어 보철을 제작하는 retrofit crown 제작과정에서 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CAD-CAM)의 발전과 지르코니아의 물리적 성질이 개선되면서 디지털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본 증례는 하악에서 가철성 국소의치를 사용하는 환자의 지대치가 심하게 마모되어 국소의치에 맞추어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제작한 케이스로,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하는 결과를 얻었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임상가를 위한 특집 2 - 총의치 발달의 역사와 교합원리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Complete denture and its occlusal principle)

  • 임영준;주용훈;이진한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0권1호
    • /
    • pp.13-21
    • /
    • 2012
  • In an edentulous situation, the dentist must make several determinations when constructing artificial teeth. These include vertical and horizontal relationships of mandible with respect to the maxilla, occlusal form and position, vertical dimension, occlusal relationships during both centric closure and eccentric excursive movements. Artificial teeth are attached to a movable base resting on movable and displaceable living tissue subject to damage. They act as a unit; therefore, they must be arranged to function as a unit. Bilateral balanced occlusion is that stability of the denture is attained when bilateral contacts ex ist throughout all dynamic and static states of the denture during function. Lateral excursion in a balanced scheme implies simultaneous working side and nonworking side contact, while occlusal contacts are maintained on both anterior and posterior teeth as the mandible moves anteriorly into protrusion.

Management of flabby ridges using liquid supported denture: a case report

  • Keni, Nandita Nitin;Aras, Meena Ajay;Chitre, Vidya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3권1호
    • /
    • pp.43-46
    • /
    • 2011
  • Flabby ridges commonly occur in edentulous patients. Inadequate retention and stability of a complete denture are the often encountered problems in these patients. A liquid supported denture due to its flexible tissue surface allows better distribution of stress and hence provides an alternate treatment modality in such cases. This case report presents the use of a liquid supported denture in a patient with completely edentulous maxillary arch with flabby tissue in anterior region opposing a partially edentulous mandibular arch.

Frenectomy for improvement of a problematic conventional maxillary complete denture in an elderly patient: a case report

  • Al Jabbari, Youssef S.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3권4호
    • /
    • pp.236-239
    • /
    • 2011
  • Maxillary labial and buccal frena are considered as normal anatomic structures in the oral cavity. However, they may exist intraorally as a thick broad fibrous attachment and/or become located near the crest of the residual ridge, thus interfering with proper denture border extension resulting in inferior denture stability, retention and overall patient satisfaction. This case repor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linical examination and treatment planning which may mandate preprosthetic surgery prior to fabrication of a new conventional complete denture. Adequate patient satisfaction with conventional complete dentures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frenectomy.

시간에 따른 의치접착제의 인장 결합강도와 세포독성의 변화 (Evaluation of changes in adhesive strength and cytotoxicity of a denture adhesive according to time)

  • 정하윤;김지환;이근우;심준성;문홍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32-239
    • /
    • 2009
  • 연구목적: 많은 의치 환자들은 의치의 유지력, 안정성 그리고 저작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의치접착제를 사용하고 있다. 이상적인 의치접착제는 독성이나 자극이 없고, 구강점막에 편안함을 제공하고, 나쁜 냄새나 맛이 없어야 한다. 의치접착 크림의 세포독성 여부를 확인하고, 의치접착제의 효과와 시간에 따른 유지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의치접착크림의 세포독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mouse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MTT 시험을 통해 의치접착크림의 농도와 1일에서 4일까지의 시간에 따른 세포독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의치 접착제가 유지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와 시간에 따른 유지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무치악 덴티폼과 이에 맞는 의치상을 제작하여 의치 접착제 적용 후 3일까지의 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1. 의치접착크림은 농도와 시간에 따라 세포독성이 관찰되는 것은 없었다. 2. 의치접착크림과 인공타액을 동시에 사용한 경우 통계학적으로 가장 높은 인장 결합강도를 나타내었고, 의치접착크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인장 결합강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았다. 이는 인공타액과 의치접착크림의 인장 결합강도의 단순 합계보다 높았다. 3. 의치접착크림과 인공타액을 동시에 사용한 군에서 도포 후부터 1시간 후까지 인장 결합강도는 최대치를 기록하였고 3시간부터 인장 결합강도는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12시간 후는 최대 인장 결합강도의 70%, 1일후에50%까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의치접착크림은 1일에서 4일까지 세포독성이 없었고 의치의 유지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타액과 같이 작용하여 효과를 더 발휘할 수 있었다. 향후 장기적인 사용에 따른 다양한 세포독성 실험과 접착력의 감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