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ition, Mixed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31초

성장기 아동의 연령에 따른 부착치은 폭경에 대한 연구 (A clinical study of the width of attached gingiva in the deciduous, mixed and permanent dentitions)

  • 김지연;정다운;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78-685
    • /
    • 2006
  • 건강한 치주조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폭경의 부착치은이 필요하다. 이러한 부착치은의 폭경은 연령에 따라서 변화한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그 정상치에 대한 보고는 저자들마다 차이를 보이며 또한 한국인에서의 정상 평균값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악골의 발육 및 치아의 맹출과 관련하여 유치열기로부터 초기영구치열기까지의 부착치은의 폭경 및 치은열구 깊이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고, 한국인 아동의 정상치를 구하는 것이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4세에서 14세 사이의 유치열기, 혼합치열기 및 영구치열기 아동88명을 대상으로 유치열기($4{\sim}6$세)에서는 유중절치와 제1유구치, 혼합치열기($7{\sim}10$세)에서는 중절치, 제1유구치 및 제1대구치, 영구치열기($10{\sim}14$세)에서는 중절치, 제1소구치 및 제1대구치에서 협측 부착치은의 폭경과 치은열구 깊이를 치주탐침으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상하악 제1대구치 부착치은의 폭경은 치아맹출 후 연령에 따라서 증가하였다(p<0.05). 하악유전치을 제외한 모든 실험 치아에서 맹출 직후 치은열구 깊이가 증가하는 것을 보였으며 부착치은의 폭경은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p<0.05). 이러한 결과는 부착치은의 폭경이 유치열기부터 영구치열까지 연령에 비례하여 일정하게 증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혼합치열기 어린이에서 Streptococcus mutans와 Streptococcus sobrinus의 분포도 조사 (PREVALENCE OF STREPTOCOCCUS MUTANS AND STREPTOCOCCUS SOBRINUS IN CHILDREN WITH MIXED DENTITION)

  • 이명성;최성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47-254
    • /
    • 2007
  • 본 연구는 125명의 6-11세 혼합치열기 아동을 대상으로 연령에 따라 초기 혼합치열기 A군(6-8세; 62명)과 후기 혼합치열기 B군(9-11세; 63명)으로 분류하고 유치의 dfs, 영구치의 DFS를 기록한 후 자극성 타액을 채취하여 TYCSB 배지에 배양해서 S. mutans와 S. sobrinus를 구분하였으며 PCR을 시행하여 확인하였다. S. mutans와 S. sobrinus의 분포도와 치아우식증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 mutans와 S. sobrinus의 상관계수는 A군 0.70, B군 0.50로 두 군 모두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2. S. mutans와 치아우식증과의 관계는 A군(r=0.25)과 B군(r=0.34) 모두에서 약간의 관련성이 나타났다. 3. A군에서 S. sobrinus와 치아우식증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군(r=0.21)에서는 미약한 상관관계가 성립되었다. 4. S. mutans와 나이의 상관관계는 A군과 B군 모두에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S. sobrinus와 나이의 상관관계는 A군(r=0.32)에서는 약간의 관련성이 나타났고, B군에서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인에서의 혼합치열기 공간분석 (The prediction of the tooth size in the mixed dentition for Korean)

  • 문성환;김성오;유형석;최병재;최형준;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53-261
    • /
    • 2006
  • 이번 연구의 목적은 혼합치열기 아동에서 미맹출된 견치와 소구치의 크기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한국인에 맞는 방정식을 만들기 위함이다. 미맹출 치아의 크기를 예측하는 것은 혼합치열기 교정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미맹출된 견치와 소구치 크기를 예측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하게 쓰이는 것이 모이어의 예측 표와 다나카와 존스턴의 방정식이 있다. 하지만 그것들은 백인을 위해서 제작된 것이고 치아 크기는 인종에 따라서 다르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치아크기를 측정하여 하악 영구 절치의 크기 합과 견치 및 소구치의 크기 합 사이의 상관계수를 구하고 회귀방정식을 이용해서 한국인에 맞는 예측표를 만들었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에 재학중인 178명의 한국 학생(남 108명, 여 70명, 평균연령 21.63)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영구치의 근원심 폭경을 석고모형상에서 calipers를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성별간의 치아 크기는 차이가 있었다 (p<0.05). Correlation coefficient는 0.57에서 0.64의 범위였고, standard errors of the estimates는 여성에서 0.6으로써 남성보다 우수하였다. ${\gamma}^2$값은 0.27에서 0.41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 PDF

치주 질환을 동반한 상악 정중이개(diastema)환자에 있어 치주-교정-보철 치료의 치험 증례 보고

  • 김태훈;이승희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6권11호통권354호
    • /
    • pp.794-799
    • /
    • 1998
  • Many references report that abnormal diastema except temporary diastema existing in mixed dentition period is caused by maxilary heavy labial frenum, malocclusion, progressive periodontal disease, and loss of posterior teeth. We can diagnose patient as diastema caused by periodontal disease, especially, in case of accompanying progressively destructed anterior maxillary alveolar bone defect, and interseptal bone defect. We report Multiple disciplinary approach for diastema associated with periodontal disease. Periodontal treatment(Guided Tissue -Regeneration, alveoloplasty, bone graft), or thodontic treatment (space closure, redistribution), and the final proshodontic restoration for retention were used.

  • PDF

Lip Bumper를 이용한 치료의 성공과 실패 (THE SUCCESS AND FAILURE OF TREATMENT BY USING LIP BUMPER)

  • 맹명호;김종빈;김종수;김용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07-512
    • /
    • 1999
  • 혼합치열기의 소아환자의 경미한 하악 전치부의 총생을 해결하는 문제와 하악 제 2 유구치의 조기 상실로 인한 하악 제 1 대구치의 근심경사 그리고 이에 따른 제 2 소구치의 맹출 공간 부족 등을 해소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방법들이 시도되어왔지만 저마다 그 술식의 적용범위나 방법 등에는 많은 어려움 들이 있어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런 선택의 어려움을 가만하여 실제 임상에서 보다 간편하고 환자의 불편감을 줄여줄 수 있는 한 방법으로 Lip Bumper를 이용한 술식을 소개하고 그 적용례를 통하여 성공과 실패 사례들을 소개함으로써 임상가들에게 보다 유익한 정보를 주기 위함이다.

  • PDF

Conservative Treatment Using Marsupialization for Cysts Occurring in the Jaw of Adolescents: A Case Report

  • Yun, Sun-Ung;Jung, Hai-Won;Cho, Byung-Yong;Choi, Byung-Joon;Lee, Baek-Soo;Kwon, Yong-Dae;Ohe, Joo-Young;Lee, Jung-Woo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7권1호
    • /
    • pp.31-37
    • /
    • 2014
  • Dentigerous cyst (DC) is an odontogenic cyst associated with the crown of an impacted, embedded, unerupted, or developing tooth. It is the second most common type of odontogenic cysts, accounting for 14% to 24% of all jaw cysts. Although these cysts occur more frequently during the second and third decades of life, they can also be found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mixed dentition stage. Treatment of the odontogenic cyst involves enucleation or marsupialization/decompression methods. The latter approach is preferred for larger cysts, and it is especially helpful in adolescent patients in conserving the unerupted permanent successors. The aim of treatment for DC is the complete elimination of pathology and maintenance of dentition with minimal surgical intervention. Recently defined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treatment modality include the cyst size and location of the cyst, patient age, dentition involved, stage of root development, position of the tooth involved in the jaw, and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vital structure. Marsupialization or decompression technique has been advocated by several authors for treating DCs among young patients. In this conservative technique, the creation of an accessory cavity helps relieve intra-cystic pressure and accelerate the healing of cystic lesion. This technique has been successfully performed and is indicated for growing children and adolescents. Here, we report a large cyst lesion in the mandible treated by marsupialization for conservative management. In conclusion, successful reduction in size was achieved, and intraoperative complication could be prevented.

혼합 치열기 어린이의 치은 섬유종증 (GINGIVAL FIBROMATOSIS IN MIXED DENTITION)

  • 한효정;김진;김성오;손흥규;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96-700
    • /
    • 2004
  • 치은 섬유종증은 유리 치은과 부착 치은이 점진적으로 증식되는 비염증성 질환이다. 대부분 가족력이 있으며 영구치 맹출과 함께 발병하지만 유치 맹출시기에 드물게 출생 시부터 나타나기도 한다. 본 6세 여아의 경우 태어날 때부터 치은의 일부가 증식되어 있었고 가족력 및 치은 증식을 유발하는 약물을 복용한 병력은 없었다. 구강내 검진 시 섬유성 치은 증식 이 관찰되어 절제 생검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 치은 섬유종증으로 진단하였다. 치은 섬유종증의 치료는 치은 절제술과 철저한 구강 위생의 관리이다. 그러나 치료 후 재발성 때문에 치료시기에 대해서는 논란 중이다. 일반적으로 영구치가 모두 맹출 한 이후에 치료할 것을 추천하지만 조기 치료는 구강의 기능 및 환아의 심미적, 심리적인 문제점을 개선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 PD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automated tooth numbering on panoramic radiographs: A scoping review

  • Ramadhan Hardani Putra;Eha Renwi Astuti;Aga Satria Nurrachman;Dina Karimah Putri;Ahmad Badruddin Ghazali;Tjio Andrinanti Pradini;Dhinda Tiara Prabaningtyas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3권4호
    • /
    • pp.271-281
    • /
    • 2023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coping review wa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and performance of various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models in tooth numbering on panoramic radiographs, achieved through classification, detection, and segmentation tasks. Materials and Methods: An online search was performed of the PubMed, Science Direct, and Scopus databases. Based on the selection process, 12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Results: Eleven studies utilized a CNN model for detection tasks, 5 for classification tasks, and 3 for segmentation tasks in the context of tooth numbering on panoramic radiographs. Most of these studies revealed high performance of various CNN models in automating tooth numbering. However, several studies also highlighted limitations of CNNs, such as the presence of false positives and false negatives in identifying decayed teeth, teeth with crown prosthetics, teeth adjacent to edentulous areas, dental implants, root remnants, wisdom teeth, and root canal-treated teeth. These limitations can be overcome by ensuring both the quality and quantity of datasets, as well as optimizing the CNN architecture. Conclusion: CNNs have demonstrated high performance in automated tooth numbering on panoramic radiographs. Future development of CNN-based models for this purpose should also consider different stages of dentition, such as the primary and mixed dentition stages, as well as the presence of various tooth conditions. Ultimately, an optimized CNN architecture can serve as the foundation for an automated tooth numbering system and for further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on panoramic radiographs for a variety of purposes.

혼합치열기 뇌성마비환자의 상악전돌에 대한 교정치료 : 치험례 (ORTHODONTIC APPROACH TO THE CEREBRAL PALSY PATIENT WITH MAXILLARY PROTRUSION IN THE MIXED DENTITION : A CASE)

  • 김종수;조안나;김지연;정태성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3-46
    • /
    • 2014
  • 뇌성마비로 인하여 협조를 얻기가 어려운 일부 혼합치열기 환자의 심미적, 기능적 개선을 위한 구내 고정성 장치의 사용은 대체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와 같은 문제를 보이는 환자의 근본적인 원인인 근육 조절의 불균형을 바로잡는 재활훈련과 함께 이동된 위치에서 치열의 안정적인 적응을 위하여 구강주위 근육훈련이 병행되어야 한다.

혼합치열기의 악안면 경ㆍ연조직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A LATERAL CEPHALOMETRIC STUDY OF THE HARD-AND SOFT TISSUE PROFILE AROUND THE FACE IN THE MIXED DENTITION)

  • 이상래
    • 치과방사선
    • /
    • 제8권1호
    • /
    • pp.49-61
    • /
    • 1978
  • A study was made to investigate a relationship existing in the dentoskeletal framework and the soft tissue profile around the face, and compare the sexual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having the normal occlusion in the mixed dentition. The lateral cephalograms were composed of 67 boys aged 10.3 years and 68 girls aged 10.4 years, respectively. By means of the lateral cephalograms, both the hard-and soft tissue structures were simultaneously analyzed, measured and evaluated by introducing the several reference items: S-N plane, palatal plane, mandibular plane, N-A line and A-P line for the dentoskeletal structures and N’-P’line for the soft tissue, and the 21 measuring points for the both structures. The significant findings were as follows: 1. In general the boys showed the larger nasal component dimension than did the girls, but the length and height of nose(N’-Prn and NA-Prn) showed the significant sexual difference among those when evaluated statistically. 2. The lip-thickness was found to be minimal in the region of nasion, greater in the region of pogonion, and much greater in the region of point A in the both sexes, but the only thickness over point A(A-A’) showed the significant sexual difference statistically. 3. The upper and lower lip position were found to be located anteriorly to the esthetic line in the both sexes, but upper lip position showed the significant sexual difference when evaluated statistically. 4. The regions of nose and upper lip had a tendency not to be following the underlying skeletal profi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