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work environment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35초

C지역 치과종사자의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과 사회심리적 특성과의 관계 (A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Symptom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Psychosocial Factors of Dental Professionals in C Region)

  • 한지형;김진;남수현;김창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79-28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충청지역 치과종사자의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과 사회심리적 특성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9년 3월 9일부터 3월 28일까지 충청도에 소재한 치과종사자 206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법을 실시하였으며,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측정부위별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 정도는 신체부위 모두에서 상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2. 성별에 따라 여자가 남자보다 근골격계 질환 관심도가 높았으며(p=.000), 연령별로는 26-30세 이하가 관심도가 가장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 3. 업무만족은 요부군과 하지군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업무스트레스에 있어서는 요부군과 하지군에서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동료만족에서는 상지군과 하지군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병원만족은 상지군과 요부군, 하지군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근무환경과 만족에서는 목군과 어깨군, 상지군, 하지군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각 신체부위에서 사회심리적 특성과 근골격계 자각증상이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는 사회심리적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치과위생사의 행복과 직무만족도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 류혜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8-174
    • /
    • 2017
  • 이번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행복과 직무만족도의 관련요인을 조사하여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행복요인에 대한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부산 경남지역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총 264명을 대상으로 2016년 7월 20일부터 8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자기기입 방식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연령에서 행복지수 하위요인인 삶의 만족(p<0.05)의 경우 36세 이상의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고, 행복지수 하위요인인 부정적 정서(p<0.01)의 경우 25세 이하, 26~30세 이하, 31~35세 이하의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경력에서는 4~10년 이하 집단에서 부정적 정서(p<0.05)가 높게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으로 행복의 하위요인인 삶의 만족(${\beta}=0.393$)이 높은 경우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치과위생사의 주 업무(${\beta}=0.171$)에 따라, 행복의 하위요인 긍정적인 정서(${\beta}=0.139$)가 높은 경우의 순서로 직무만족도가 높았고, 부정적 정서(${\beta}=-0.173$)가 높은 경우 직무만족도가 낮았다. 치과위생사의 행복감을 개인의 삶의 영역뿐 아니라 직장 내의 건강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 때문에 직장 내에서 원만한 인간관계 유지와 치과위생사의 주 업무에 대한 성취감과 만족감, 그에 따른 보상체계, 근무환경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회제공과 이를 유지하기 위한 행정 및 조직적 체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제도적 뒷받침은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의 향상과 더불어 치위생업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임상 치과위생사의 갈등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n Conflict Experiences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 조은주;임순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49-457
    • /
    • 2016
  • 본 연구는 일대일 심층면접을 통하여 임상 치과위생사들의 갈등 경험을 파악하고 치과위생사 갈등 경험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13명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갈등 경험을 생생하게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나타난 임상 치과위생사의 갈등 경험은 업무 갈등, 대인 갈등, 조직환경 갈등, 갈등 대처를 중심으로 범주화되었다. 첫 번째 범주는 업무 갈등으로 신규 치과위생사로 업무 습득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또한 경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업무역량의 부족함을 느끼고 있으며, 역할이 명확하지 않음에 대한 혼란으로 힘들어 하였다. 치과위생사의 업무가 아닌 업무가 주어질 때, 주어진 역할의 한계에 부딪쳤을 때, 새로운 업무에 대한 요구가 나타났다. 두 번째 범주는 대인갈등으로 직원과의 갈등, 환자와의 갈등, 의사와의 갈등으로 분류하였다. 상사와 동료, 타 직종과의 어려움, 직원의 역량 부족으로 오는 피해로 힘들어 하였다. 환자가 의사와 나를 다르게 대우할 때 회의감을 느끼며, 항상 친절해야 한다는 것으로 감정 노동을 호소하였다. 의사의 권위적인 태도에서 힘들어 하고, 치과위생사를 인정해 주지 않음을 호소하였다. 또한 의사의 진료에 대한 질에 대하여 고민하였다. 세 번째 범주는 조직환경 갈등으로 근무조건, 임신과 출산, 육아에 따른 이해 부족으로 오는 어려움, 선배 치과위생사의 의견과 행동을 무조건 따라야 하는 위계질서 문화, 매출에 대한 부담으로 구성되었다. 네 번째 범주는 갈등 대처로 주위의 지지로 이겨내기, 능동적으로 해결하기, 회피하기, 떠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참여자들은 업무보다 사람들의 태도나 대우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힘들어 하였다. 임상 치과위생사의 갈등 경험에 대한 다각적 접근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임상 치과위생사들의 갈등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과 갈등과 스트레스를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대인관계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임상치과위생사의 동기부여 및 조직공정성과 재직의도와의 융합적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Fairness and Retention Intention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 도유정;지민경;이혜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210-21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동기부여 및 조직공정성과 재직의도와의 상호 관계성을 파악하여 합리적인 근무환경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3월 1일부터 2019년 4월 12일까지 서울 경기 충청 전라지역에 치과 병 의원에서 근무하는 임상치과위생사를 편의표본추출 하였으며,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작성하게 하였다. 동기부여와 조직공정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재직의도와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조직공정성은 재직의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임상치과위생의 동기부여, 조직공정성, 재직의도 간의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치과위생사들의 재직의도를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동기부여 프로그램 적용과 올바른 조직공정성을 토대로 한 근속기간 확립으로 업무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디지털 덴티스트리의 전환과 치위생교육 도입의 필요성 (Transformation of digital dentistry and the need of introducing education in dental hygiene)

  • 고혜빈;서영주;원복연;오상환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467-475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definitions, types, and principles of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and scanners due to the introduction of digital workflows.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information from the government's law and articl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Results: CAD/CAM is a technology that measures the shape three-dimensionally, saves it as data, designs it into the desired shape, and processes the product. Scanners, which are classified as intraoral and extraoral scanners, measure teeth and the intraoral environment three-dimensionally and convert them into three-dimensional (3D). A 3D printer is a machine that creates a 3D object by layering materials based on a 3D drawing. It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method: extrusion, powder bonding, lamination, and photopolymerization methods. The most used 3D printer methods in dentistry are stereolithograhpy and digital light processing, and they are widely used in prosthetic, surgical, and orthodontic fields. Conclusions: As the dental system is digitized, it is expected that the government will classify the dental hygienist scope of work and the universities will reflect th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develop excellent dental hygienists, diversify the educational pathways, and establish policies to meet the needs of the increasing number of patients.

치과근로자의 근무환경 특성에 따른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인식 차이 (Awareness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s(MSDS) according to work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dental workers)

  • 오나래;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5-296
    • /
    • 2017
  •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38명을 대상으로 병원유형에 따른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의 인식정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병원급과 의원급에 대한 의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도 MSDS인식정도가 높지 않았다. 치과근로자들의 근로환경 질의 향상을 위하여 소규모 치과의원에 대한 더욱 적극적인 홍보 및 교육이 필요하며, 구체적인 정책 및 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라 사료되어 진다.

  • PDF

치과기공사의 신체자각증상과 건강행위 실천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ubjective Symptoms and Practice of Health Behavior of Dental Technicians)

  • 권은자;한민수;오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484-4492
    • /
    • 2011
  • 본 연구는 치과기공사의 자각증상과 건강행위 실천도를 분석하고 그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시, 인천시, 전북지역의 치과기공사 250명을 선정하고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0년 10월 11일부터 11월 25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결과, 자각증상 전체 평균은 2.83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행위 실천의 영역별 전체 평균은 2.76으로 나타났다. 자각증상과 건강행위 실천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변수가 유의한 수준의 역 상관관계로 나타나 작업 시 건강행위 실천도가 높을수록 신체적 자각증상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치과기공사의 작업장 환경 개선과 건강행위를 실천하여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치과위생사의 직무관련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요인분석 (Dental hygienist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factor analysis)

  • 박새롬;심연수;정상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685-693
    • /
    • 2012
  • Objectives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find the subjective symptoms of musculoskeletal system for main jobs and job posture.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5, 2011 to October 7, 2011 and 357 dental hygienists were responded. The survey was consisted of the working environment and medical equipment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health habits and education, job posture, subjective symptoms of musculoskeletal system pain, and so on. Results : In the survey on the frequency of job posture of dental hygienists by jobs, said they cast down or tilt their head by 15 degrees or more or twist or bend their back.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subjective symptoms of musculoskeletal system by main job showed that they experienced a pain in neck, shoulder, and back, although the order differed. The order of subjective symptoms of musculoskeletal system for casting down or turning head by 15 degrees or more, twisting or bending back, having shoulders not parallel to the ground, sitting at the end of a chair, and supporting the whole body with one leg or pressing on a pedal for treatment was from the shoulders to the neck to the back. The order of subjective symptoms of musculoskeletal system for having arms too far from the body or hunching for treatment and bending wrists inward or outward for treatment was from the shoulders to the back to the neck. Conclusions :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b which requires one to have a proper view of a patient's oral cavity, most of the postures included casting down of head or bending of back. Therefore a development of new postures is needed to replace the existing job postures which pressure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shift rotation can be used as a preventive measure.

치과코디네이터의 근무환경과 직무중요도에 관한 조사연구 (A survey research on working environment and job importance in dental coordinator)

  • 원복연;이가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07-220
    • /
    • 2009
  • This study researched into literature materials in order to utilize basic data on job importance in dental coordinator, and analyzed questionnaire on job importance in dental coordinator for about 2 months from August and September in 2008 targeting dental hygienists and other manpower for dental hospitals & clinics where are located in D region and neighboring regio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1. Dental hospital & clinics where dental coordinators work were surveyed to be totally 66.9%. Dental coordinators were indicated to be 71.1% as for dental hospital$^{\circ}{\S}$clinic(women), and to be 28.4% as for a case with non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final academic degree and working place(P<.001). 2. License holders(women) for dental hygienist as dental coordinator accounted for 39.8%. The opposite case accounted for 60.2%. A case of doing duty of dental coordinator given not dental hygienist was indicated to be hig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working place(p<.01). 3. The task importance on job that a dental coordinator directly performs was indicated to be averagely 3.24, thereby having been recognized to be important. 4. As for the recognition on job importance according to working-year number, it was indicated to have higher recognition on task importance in the more working-year number regarding customer management(p<.01), organization management(p<.05), and self-management(p<.01). 5. Given seeing difference in recognition on task importance according to medical institution, it was indicated to be 3.34 for dental clinic and 3.25 for dental hospital. Thus, the task importance was indicated to be slightly high in a person who works for dental clinic.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ght of the above results, in order to educate dental coordinator who can successfully perform a role at dental hospital & clinic, a dental hygienist is required who is equipped with dental-clinic career rather than a person without a major. A professionally educational program for dental coordinator needs to be developed. Even in a dental coordinator's task, there is necessity for the curricular development and the specialized education.

  • PDF

치위생과 졸업예정자의 직업의식과 취업가치관에 대한 조사연구 (Study about Vocational Consciousness and Job Value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Graduating Students)

  • 장성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5-271
    • /
    • 2015
  • 본 연구는 치위생과 졸업예정자들의 직업의식 및 취업가치관에 관련된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학생들의 진로, 취업준비에 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학이나 기관에서 보다 효과적인 진로지도 및 취업지도를 실시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직업의식으로는 전문직종에 관한 질문에는 '구강보건향상의 일익을 담당하는 직업이다', 학술관련으로는 '치석제거는 치과의사보다 더 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대인관계 부분에서는 '동료와의 화목은 업무효율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근로윤리에서는 '치과병(의)원 발전과 치과위생사 발전은 관련성이 있다고 생각한다.'가 높게 나왔다. 취업가치관으로 치과위생사의 직업전망은 조금 발전적이다 55.2%, 지금과 차이가 없을 것이다 27.4% 순으로 나타났으며, 취업희망기관으로는 치과병원 43.2%, 치과의원 24.3%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분야로 취업을 원하는 경우 90.5%, 아직 고민 중으로 답한 경우 9.5%이고, 전공분야로 취업을 원하는 이유로는 보수와 근로환경이 좋다고 생각한다. 24.0%, 치과위생사의 장래성이 밝기 때문 22.1%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분야로 취업을 고민 하는 이유로는 적성과 흥미에 맞지 않아서 5.4%, 보수와 근로환경이 열악해서 1.9%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업의식 부분에서 전문직종의식과 근로윤리의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직업의식의 영역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p<0.01)로 나타나 네 가지 유형 중 어느 한 가지의 특성이 높으면 다른 특성들도 모두 높으며, 전반적인 직업의식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에 따라 전공시간에 전문직 태도 및 직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며 확대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마음가짐이 필요하다는 것이 습득되었고, 자신의 업무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역할이라는 인식이 고취될 수 있는 교육과정이 필요하며, 인문학적 소양을 키울 수 있는 교육과정 등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