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hygiene practice

검색결과 594건 처리시간 0.022초

치주기구사용 전·후의 손의 근력 및 민첩성 비교분석 (Comparison analysis of before and after use of periodontal instruments on strength and agility of hands)

  • 유두한;경소진;백은정;오현회;원솔희;장솔;채나리;강경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17-122
    • /
    • 2019
  • 본 연구는 치석제거 실습수업을 하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습 전·후의 손의 근력, 파지력, 민첩성 변화를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여, 수근관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치위생학과 4학년 재학생 중 손의 해부학적 구조, 근력, 파지력 및 감각에 이상이 없는 15명을 대상으로 치석제거 실습 전과 실습 후에 손의 근력, 파지력, 민첩성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손의 근력과 파지력은 실습 전과 비교하여 실습 후에 감소하였다. 손의 민첩성은 실습 전과 비교하여 실습 후에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스케일링 동작 시 피로를 줄 수 있는 손동작을 자제하고, 스케일링 전후로 스트레칭 등 손의 힘을 기르는 예방운동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임상실습 만족도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to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field practic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 심선주;백하영;엄정선;정하얀;지혜미;황시내;한지혜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2-30
    • /
    • 2017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학생들의 현장임상실습 만족도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연구대상으로는 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 및 취지를 밝히고 설문내용을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한 치위생(학)과 학생 중 임상실습을 경험한 3학년, 4학년 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1일부터 2016년 4월 7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일반적인 특성 5문항, 실습병원의 특성 4문항, 전공만족도는 7문항, 병원특성 및 전공만족도는 12문항 총 2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현장임상실습 만족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방법을 계획함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현장임상실습 만족 여부는 학과 내 교수님들과의 소통 정도가 높을수록, 선후배 간의 소통 정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학교에 대한 적응 정도가 높을수록 현장임상실습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2. 실습병원 특성과 현장임상실습 만족도는 현장 임상실습의 주 당 실습시간이 적절했다고 대답할수록, 실습생들과 직원들과의 친밀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현장임상실습의 총 실습 시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현장임상실습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3. 전공과목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학과 실습실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교과목 편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현장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p<0.01). 결론: 치위생(학)과에서의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전공지식 습득의 효율성을 높이고 다양한 현장임상실습 환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전공만족도와 현장임상실습 만족도를 모두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전공교과목 편성과 교육방법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일부 특수학교 교사의 구강보건지식, 실천 및 인식도 조사 (Knowledge, practice, and awareness toward oral health in the special school teachers)

  • 김정희;유자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731-738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practice, and awareness toward oral health in the special school teachers. Methods :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133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in Seoul, Gyeonggi-do, Chungbuk, and Jeonbuk.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2.0 for frequency,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post hoc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 In oral health knowledge, the average score of female teachers was 8.31 in comparison to 7.75 in male teachers(p<.05). In oral health practice, the average score of female teachers was 3.71 and that of male teachers was 3.69. In oral health awareness, the average score of female teachers was 4.12 and male teachers had 3.93. The teachers in special schools had a clos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 awareness and practice(r=.448, p<.05). Conclusions : The teachers tended to have better knowledge of oral health but they did not practice the oral health behavior. The teachers have the important role in oral health management for the disabled children by providing the right toothbrushing method.

치위생(학)과 학생의 통합성, 임상실습스트레스, 학과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nse of Coherence,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Departmental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 전기하;임순연;김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23-330
    • /
    • 2016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의 통합성, 임상실습스트레스, 학과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임상실습을 1회 이상 경험한 치위생(학)과 학생을 편의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19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스트레스에서는 학제기준에서는 '4년제' 학생이, 학과선택동기에서는 '주변권유로' 치위생(학)과를 선택한 경우가, 임상실습스트레스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만족도는 학제기준에서는 '3년제'가, 학과성적에서는 '4.0 이상'대의 학생들이 높게 나타났다. 임상실습횟수에서는 '2회 이하'의 실습을 한 학생들이 가장 높은 학과만족도를 나타냈다. 둘째, 통합성은 임상실습스트레스(p<0.01)와 음의 상관관계를, 학과만족도(p<0.01)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로분석 결과 통합성에 따른 임상실습스트레스,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따른 학과만족도는 모두 부정적 영향관계를 나타냈으며, 통합성에 따른 학과만족도는 정적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요인간의 직,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간접효과는 0.06으로 낮게 나타나 통합성과 학과만족도 사이에서 임상실습스트레스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나 매우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통합성, 임상실습스트레스, 학과만족도 간에는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간접효과가 낮게 나타난 부분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통하여 확대 후속연구를 제언하며 통합성과 관련한 반복적 연구를 통해 통합성 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직업정체감에 관한 융합 관계 연구 (Convergence relationship study o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professional identity in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 최정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79-8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직업정체감의 융합 관계를 조사하고자 전남지역 3개 대학 치위생과 3학년 17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직업정체감은 임상실습 교육환경(r=-0.352, p<0.01), 임상실습 업무부담(r=-0.185, p<0.05), 환자와의 갈등(r=-0.181, p<0.05)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치위생과 학생들의 직업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요인은 임상실습 교육환경(${\beta}=-0.261$), 적성 고려(${\beta}=0.238$), 타인의 권유(${\beta}=-0.186$), 임상실습 불만족(${\beta}=-0.176$) 순으로 나타났다. 설명력은 23.7%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직업정체감의 관계를 파악하여 원활한 인력공급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 및 임상실습 만족도의 관련성 (The Relevance between Self-efficacy,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mong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 이미라;정수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37-145
    • /
    • 2021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 및 임상실습 만족도의 상관성과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충청남북도 3개 대학의 임상실습을 경험한 치위생과 대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 만족도는 자기효능감(r=.337, p<0.001), 의사소통능력(r=.293, p<0.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기효능감도 의사소통능력(r=.634, p<0.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은 자기효능감, 학점 및 전공만족도였다. 설명력은 19.0%였다. 이에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의사소통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임상실습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치과치료 미충족군과 충족군의 예방적 스케일링 적용에 따른 구강건강지수 비교 (Comparison of oral health index between adequate and inadequate dental care following preventive scaling)

  • 김유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661-667
    • /
    • 2016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oral health index between adequate and inadequate dental care following preventive scaling in regular dental check-up and management. Methods: The subjects in Busan were assigned to two groups including inadequate dental care (140 patients) and adequate dental care (88 patients) after preventive scaling from January 2014 to June 2015. The study instruments included oral health knowledge, awareness, practice, and community periodontal index of treatment needs (CPITN). Results: CPIT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0.05).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in oral heath knowledge and awareness (r=0.462, p<0.05) before application of preventive scaling. There was a close correlation in oral health awareness and practice (r=0.205, p<0.05) before application of preventive scaling. After application of preventive scaling, oral health knowledge and awaren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r=0.643, p<0.05). After application of preventive scaling, there was also a close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practice (r=0.453, p<0.05). Oral health awareness and practice (r=0.512, p<0.05)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fter the application of preventive scaling. However, oral health practice and CPITN (r=-0.189, p<0.05)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Conclusions: Practice made periodontal condition improve. To promote oral health practice in the group without adequate dental ca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adequate dental care and preventive scaling through education by dental hygienists.

치과진료실에서의 직종별 감염방지 실천 정도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among Dental Staffs in Dental Office)

  • 이영애;조민정;배지영;박현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63-269
    • /
    • 2007
  • 치과진료실에서의 감염방지 실태를 분석하여 향후 치과진료실에서의 감염방지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대구광역시 소재 치과 병 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의사 50명, 치과위생사 176명, 간호조무사 100명을 대상으로 감염방지 교육 및 감염성 관리 실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강검진 실시율은 치과의사가 가장 높았고, 예방접종 실시율은 치과위생사가 가장 높았다. 2. 감염방지 교육 경험률은 치과의사가 가장 높았고, 간호조무사가 가장 낮았다(P < 0.05). 3. 개인용 보호장비 착용률은 치과의사가 가장 높았고, 간호조무사가 가장 낮았다(P < 0.05). 4. 진료 후 손 세척 시행률은 치과의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 < 0.05). 5. 기구의 멸균 및 소독 시행률은 치과위생사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높았다. 6. 장비의 표면 소독은 진료용 선반 위주로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과위생사 의 실천률이 높았다.

  • PDF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job satisfaction scale for dental hygienist)

  • 박지현;임순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913-924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dental hygienist's job satisfaction scale and to evaluat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A total of 34 preliminary questions were composed based on the components commonly defined in previous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practice activity, professional satisfaction, income, working conditions, patient relations, and co-worker relations using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Goodness of fit of the model assess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generally met the criteria. On verification of the internal consistency, the Cronbach's alpha for the factors were as follows: 0.821 for practice activity, 0.822 for professional satisfaction, 0.847 for income, 0.765 for working condition, 0.743 for patient relations, and 0.747 for co-worker relations, which implied that the measurement tool was reliable.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 total of 24 items for six factors: six items for practice activity factors, four items for professional satisfaction, three items for income, four items for working conditions, three items for patient relationships, and three items for coworker relations. Conclusion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ntal hygienist's job satisfaction measurement tool were satisfactory. Thus, it may be used for assess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dental hygienists in future.

COVID-19 전·후의 보건계열 학생들의 임상 실습 만족도의 변화 (Changes i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Healthcare Students Before and After COVID-19)

  • 남궁승;노효련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1-50
    • /
    • 2022
  •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the satisfaction levels of healthcare students regarding clinical practice before and after the coronavirus disease 19 (COVID-19) outbreak. METHODS: This was a longitudinal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first survey was conducted before the COVID-19 outbreak in April 2018, and the second survey was conducted after the outbreak from May to June 2022. The questionnaire used before and after COVID-19 had the same content and was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six factors to determin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ractice guidance, practice environment, practice time, practice evalu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effectiveness of practice. Before the COVID-19 pandemic, a total of 153 healthcare students (average age: 22.43 ± 1.47 years old), participated from 4 departments: nursing, physical therapy, occupational therapy, and dental hygiene. After COVID-19, 84 students (average age: 22.75 ± 2.87 years old), from the physical therapy, occupational therapy, nursing, and dental hygiene departm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ULTS: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was evaluated considering the factors of practical guidance, practice environment, practice tim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ractical effects. It was observed that the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increased in nursing, physical therapy, occupational therapy, and dental hygiene students after COVID-19 compared to the situation before the outbreak. There was no difference seen in the practice time and practice evaluation factors in the occupational therapy department and in the practice time factor in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before and after COVID. CONCLUSION: In clinical practice under the extremely constrained circumstances imposed by the COVID-19 pandemic, it seems that the emotional internal response is greater, and the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ppears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before the outbre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