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health care workers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5초

치과의료 질 향상활동 현황과 개선활동 만족도 (Conditions and Performance of Quality Improvement Activity in Korean Dental Hospitals)

  • 김한나;김호;김혜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59-36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치과의료 QI 활동이 활발할 가능성이 있는 21개 대표적인 의료기관을 선정하여 QI 활동의 개괄적인 현황을 조사하고, 동시에 그 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전체를 대상으로 치과의료 QI 활동의 시행 실태 및 QI 활동시행 후 개선효과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고 QI 활동의 활성화 요인과 저해요인 등을 알아봄으로써 치과의료 QI 활동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QI 활동 주제별 시행률은 외부고객만족 주제가 59.9%로 가장 높았고 비용절감 59.4%, 의료의 질 향상 58.8%, 위험관리 52.8%, 업무효율성 향상 46.5%의 순으로 나타났다. 2. QI 활동 시행 후 개선 효과에 대한 만족도 점수는 비용절감 3.68점, 의료 질 향상 3.66점, 위험관리 3.65점, 외부고객만족 3.61점, 업무 효율성 향상 3.45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의료기관 종류별 비교에서는 일반(종합)병원의 QI 활동 시행률이 유의하게 높았고 만족도 점수에서는 치과대학병원이 여러 항목에서 낮은 만족도 점수를 보였다. 4. 가장 많은 응답자가 지적한 QI 활동을 활성화 하는 요인은 병원종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QI 활동의 인력과 예산 부족이 있다. 결론적으로 치과의료 QI 활동은 외부고객만족도 등 가시적인 효과가 용이하게 나타나는 주제에 집중되는 반면 복잡하고 가시적인 효과가 빠른 시간 내에 나타나기 어려운 주제에 대한 QI 활동은 소홀한 경향이 있으므로 균형 있는 사업 시행을 도모하고 QI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노력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보건소 직원의 업무에 대한 인지도 조사 (A Study on Duty Awareness of Public Health-Center Workers)

  • 심문숙;이무식;오나래;강경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83-9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보건소 근무자들의 보건소에 관한 인식도, 보건소 조직에 관한 인식도, 업무환경에 관한 인식도, 보건사업에 관한 인식도를 조사하고 보건소의 기능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조사결과 직원들의 보건소에 대한 인식 설문 문항 중 '보건소 조직의 성공을 위하여 노력할 용의가 있다'가 $4.07{\pm}0.7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건소 조직에 대한 인식도에서는 자신이 속한 조직에 대한 인식도는 7점 만점 중 보통 이상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대상자가 속한 조직의 임무와 업무에 충실하고 있으며, 업무환경에 대한 인식도는 자신이 일하는 곳이 편안한 장소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보건사업 중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업무는 건강행태개선사업, 방역사업,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모자보건, 가족보건, 전염병관리사업 등으로 나타났으며, 보건사업 중 불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업무는 일반진료기능 업무, 증명서 발급 등 행정업무, 각종 민원업무 등으로 나타났다. 향후 보강되거나 꼭 실시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노인보건사업, 고혈압, 당뇨 등 환자등록 관리사업, 건강증진사업 순으로 나타났다.

20대 연령층의 이성교제 여부에 따른 구강위생상태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dating to oral health state among people in their 20s)

  • 이경희;권현정;윤혜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77-18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dating affected young people's concern for their looks and their oral health state, and to motivate students to promote their oral health, as national oral health depended on students who would grow into eligible members of society in the near future. Relevant literature and data were review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residents in and around Seoul, who were in their 20s, for approximately three months from June through August 2006 to find out about their oral health statu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Whether they were seeing someone or not was investigated, and it's found that 37.5 percent had a girl friend or boy friend, and that 6.7 percent hadn't. 2. Concerning the state of dating, 40.3 percent, the largest percentage, had been dating for less than a year, and the largest number of them that accounted for 23.6 percent had been dating one person till then, 4.0 percent were considering getting married with those whom they were seeing. The most dominant type of love was eros(romantic or ardent love; 41.7%), followed by stroge(friendly love; 33.3%), and agape(altruistic, devoted love; 12.5%). 3. As for the impact of dating on oral health status, those who were seeing someone were similar to those who weren't in toothbrushing frequency, toothbrushing time and simplified oral hygiene index. There was no significant gap between the two. 4. Concerning the influence of dating on dental-treatment experienc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experiences of taking dental-caries treatment, bad-breath treatment and teeth-whitening treatme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gap only in scaling experience(pE0.05). 5. Regarding the impact of dating on oral health care, 59.7 percent of those who were dating thought that it affected oral health care, and the same rate of the others who weren't stood at 38.3 perce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 between the two(pE0.01). 6. As to the influence of general characteristics on oral hygiene index, their age and gender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at. By occupation, however, many of the company employees were in good oral health, and many of them were in bad oral health, too. The office work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thers in that regard(pE0.01).

  • PDF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실천이 노출 예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fection control practice on exposure prevention of dental hygienist)

  • 최영숙;전보혜;조영식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55-268
    • /
    • 2010
  • Objectives : In the field of dental hygiene, infections pose a serious problem. This issue has left many patients and dental staff exposed to microbes with potentially far-reaching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solutions which could improve Dental health policies and promote improved methods for the control of infections. This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March 3, 2008 and March 30, 2008,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dental clinics and dental hygienists were surveyed through a questionnaire. Methods : Collected data was examined using the SPSS 14.0 program, using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and Duncan's test. Further analysis was given using Logistic Regression. Results : The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by dental hygienists in Dental Clinics was shown at $2.96{\pm}0.42$. Disinfection, sterilization and the wearing of masks is high at $3.65{\pm}0.64$, $3.64{\pm}0.65$.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infection control is higher among dental hygienists than dentists. Of the dental hygienists surveyed, 83.9% were exposed to at least one accident while at work. Age and years of experience were important in relation to infection control practices. The rate of infections and the number of accidents experienced related to the dental hygienists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The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is influenced by the dental hygienists own perceptions, and the perceptions of their dentists. The dental hygienist's working conditions and their beliefs related to infection control were shown to influence their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practices. Conclusion : At the conclusion of this investigation, it was determined that systematic refresher training of infection control should be delivered through further education and various media. Dental health care workers should be encouraged to practice these action items presented in the training.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fection control in every dental health-care setting, it is highly demanded that effective safe-guard tools, strategic support and standardized action items against infection problems are developed.

치과위생사의 의료인화에 대한 의료종사자들의 견해 (The opinions of health care workers on the inclusion of dental hygienists in the category of medical personnel)

  • 형주희;장윤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013-1024
    • /
    • 2017
  • Objectives: The study investigated health professionals work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Jeolla-bukdo, South Korea, from April 30 to May 17, 2017 to understand their views on the issue of including dental hygienists in the scope of medical personnel of South Korea. Methods:A total of 270 survey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survey consists of 5 questions on general issues; 10 on the awareness of present work of dental hygienist; and 1 on opposition or approval about including dental hygienist in medical personn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for Windows 18.0, as well as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alpha}$) is 0.05. Results: 1. Broken down by gender, male subjects showed more oppositions against including dental hygienists in the category of medical personnel while female subjects showed more favorable opinions (p<0.05). In terms of academic background, those who had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or higher showed a higher propensity for opposition while those who had graduated from a 3-year college showed a higher tendency for approval on the idea (p<0.05), In terms of occupational type, health professionals showed more opposing views whereas medical technologists showed more approvals than others (p<0.001). 2. With respect to the awareness of work specialty and proficiency of dental hygienis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awareness level was. In terms of the occupational type, medical technologists were found to have higher awareness level than health professionals (p<0.001). 3.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view on including dental hygienists in medical personnel, the occupational type of health professional was found to have 6.33 times more oppositions than medical technologists. When the awareness level on proficiency of dental hygienist was low, opposition was 6.52 times more frequent (p<0.05).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e inclusion of dental hygienists in medical personnel seems necessary in properly establishing the specialty and role of dental hygienist in the dentist medical environment of the country in order to enhance national oral health related preventive dental service and expand the demand.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nationwide promotion, work to change the awareness of health professionals in other occupational types, and facilitate public promotion for legal ground establishment.

자활 참여 근로자들의 구강건강 상태와 구강건강 삶의 질의 관계에서 불안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Quality of Life of Workers Participating in Self-sufficiency)

  • 홍민희;이정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76-185
    • /
    • 2021
  • 본 연구는 대전, 대구 4곳의 지역자활센터 프로그램 참여 근로자 415명을 대상으로 2020년 9월 5일~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은 자활 참여 근로자들의 구강 증상을 살펴보고 심리적 불안의 매개변수가 구강건강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구강건조증, 악관절, 치주 질환 증상 모두 구강건강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불안 요인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주관적 구강 증상 경험은 부정적인 불안 상태로 이어져 구강건강 삶의 질을 더욱 저하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추후 자활 근로자들을 위한 심리 상담 프로그램 확대 및 정기적인 구강보건교육을 위한 구강보건정책 개선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산업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구강보건교육의 효과 평가 (Effects of Oral Health Education for Occupational Health Nurses)

  • 이효진;백대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7-83
    • /
    • 2016
  • 이번 연구에서는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증진 및 구강질환 예방을 도모하고,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며, 근로자 구강보건사업의 지지 및 참여를 높이고자 산업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수행하여 교육 전 후의 구강보건지식 및 태도수준을 비교하여 평가함으로써 근로자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산업간호사를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한 후, 교육 전 후 자가인지 구강건강수준 및 구강건강관리법에 대한 인지 및 권장수준의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업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구강보건교육의 시행 후, 자가인지 구강건강수준과 구강건강관심도는 교육 시행 전에 비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치실 혹은 치간솔 사용, 법정 구강검진을 포함한 정기검진, 정기적인 치면세마를 포함한 치주병 예방법에 대한 인지수준이 교육 전에 비해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구강질병 예방 및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구강건강관리법에 대한 권장수준도 교육 전에 비해 매우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와 연관된 요인을 확인해 본 결과, 구강건강관심도가 낮을수록 치주병 예방법별 인지수준과 구강건강관리법별 권장수준의 향상 정도가 모든 항목에서 크게 나타났다. 산업간호사의 근로자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의견을 듣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근로자를 위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항목으로는 구강보건교육 전후 모두 '산업간호사에 대한 구강보건교육'이 1순위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산업구강보건의 중요한 협력자인 산업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지속적인 구강보건교육 시행이 필요하고, 이러한 교육을 통해 산업간호사의 구강보건지식 및 태도가 향상된다면, 앞으로 근로자 구강보건사업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산업간호사의 지지와 참여를 효율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울산지역 근로자의 보철물과 임플란트의 기대수준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n Expectation of Prosthetics and Implant of Workers in Ulsan)

  • 조미숙;김창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81-288
    • /
    • 2014
  • 본 연구는 울산시에 소재하는 H기업 예비군 동원훈련에 참여한 307명을 대상으로 보철물(틀니, 브릿지)과 임플란트 기대 수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환자교육 및 상담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보철물 기대수준의 신뢰도 cronbach'${\alpha}$는 .971, 임플란트 기대수준의 신뢰도 cronbach'${\alpha}$는 .967로 높게 나타났고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로 고려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철물 기대수준은 평균 3.98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플란트 기대수준은 평균 3.74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임플란트 기대수준은 평균 3.74점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3). 넷째, 구강위생관리 관심정도에 따른 임플란트 기대수준의 차이는 평균 3.74점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0<0.001). 다섯째, 보철물 기대수준과 임플란트 기대수준은 0.392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보철과 임플란트에 대한 정확한 정보전달이 필요하다.

Influence of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 Lee, Sang-Yi;Kim, Chul-Woung;Kang, Jeong-Hee;Yoon, Tae-Ho;Kim, Cheoul Si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7권5호
    • /
    • pp.258-265
    • /
    • 2014
  • Objectives: To examine whether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t the hospital-level affects th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Methods: Among the 11 731 nurse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Health and Medical Workers' Union's educational program, 5654 responded to our survey. Data from 3096 nurses working in 185 general inpatient wards at 60 hospitals were analyzed using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modeling. Results: Having a standardized nursing process (odds ratio [OR], 4.21; p<0.001), adequate nurse staffing (OR, 4.21; p<0.01), and good doctor-nurse relationship (OR, 4.15; p<0.01), which are hospital-level variables based on the Korean General Inpatients Unit Nursing Work Index (KGU-NWI),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nurses' job satisfaction. However, no hospital-level variable from the KGU-NWI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nurses'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s: Favorabl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s are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In particular, having a standardized nursing process, adequate nurse staffing, and good doctor-nurse relationship were found to positively influence nurses' job satisfaction. However,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was not related to nurses' turnover intention.

자활사업 참여 근로자의 우울과 자활의지 간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Optim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Willingness for Self-Sufficiency in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ting Workers)

  • 이정민;홍민희
    • 산업과 과학
    • /
    • 제1권2호
    • /
    • pp.1-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자활사업 참여 근로자들의 우울과 자활의지 간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활사업 참여 근로자 775명을 대상으로 우울 질문지, 낙관성 척도, 자활의지 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Baron & Kenny의 조절효과 검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울은 자활의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낙관성은 자활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과 자활의지 간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결과에 따라서, 낙관성이 우울이 자활의지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을 감소시키고 자활의지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자활사업 참여 근로자들의 자활의지 향상 방안으로써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