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and Responsive Transport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2초

미시적 교통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시간 수요대응형 자율주행 버스 영향 평가 (Impact Assessment of an Autonomous Demand Responsive Bus in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 박상웅;김주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70-86
    • /
    • 2022
  • 실시간 수요대응형 자율주행 버스는 자율주행 버스와 실시간 수요대응형 버스의 단점을 상쇄시킨 미래교통수단이다. 하지만 버스 기능의 고도화로 실시간 수요대응형 자율주행 버스 도입 시 영향에 관한 정량화된 연구는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학습 기반 실시간 수요대응형 자율주행 버스를 미시적 교통 시뮬레이션에 적용하여 실시간 수요대응형 자율주행 버스의 정량화된 효과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요 변화에 따라 실시간 수요대응형 자율주행 버스가 도로 네트워크에 끼치는 영향과 이용자 대기시간을 미시적 시뮬레이션 안에서 구현하였다. 시뮬레이션 대상지로는 한국교통대학교 인근을 선정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실시간 수요대응형 자율주행 버스는 기존 노선 고정형 버스 대비 이용자 대기시간과 평균제어지체는 감소하였고, 평균통행속도는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실시간 수요대응형 버스의 도입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기대된다.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체계를 위한 클러스터링 기반의 다중차량 경로탐색 방법론 연구 (Study on Multi-vehicle Routing Problem Using Clustering Method for Demand Responsive Transit)

  • 김지후;김정윤;여화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82-96
    • /
    • 2020
  •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체계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차량의 경로와 스케줄을 설정하는 유동적인 대중교통 서비스이다. 도시 지역에서 대중교통 시스템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체계를 위한 안정적이고 빠른 경로탐색 방법의 개발 또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빠르고 효율적인 다중차량경로 탐색을 위해, 수요 기종점들의 클러스터링 기술을 활용한 종점수요 우선탐색의 휴리스틱 방법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방법은 기종점 수요 분포가 무작위인 경우, 집중된 경우와 방향성을 가지는 경우에 대하여 테스트되었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수요밀도의 증가로 인한 서비스 비율의 감소를 저감시키며, 계산 속도가 비교적 빠른 장점을 보인다. 또한, 다른 클러스터링 기반 알고리즘에 비해 수요밀도 증가에 따른 서비스 비율 감소율이 낮고, 차량 용량의 활용성이 개선된 반면, 차량 운행경로 길이의 증가로 승객의 차량 탑승시간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특성을 보인다.

수요대응형 모빌리티 최적 운영을 위한 동적정류장 배정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Model for Dynamic Station Assignmentto Optimize Demand Responsive Transit Operation)

  • 김진주;방수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7-34
    • /
    • 2022
  • 본 논문은 수요대응형 모빌리티 이용객의 출발지와 목적지까지 최적 경로 산정을 위한 동적정류장 배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여기서 최적화를 위한 변수로는, 운영자 측면에서 버스통행시간과 이용자 측면에서 서비스 이용 시 추가로 소요되는 정류장까지 도보시간 및 대기시간, 우회시간을 사용하였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과 주변 도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승객이 예약한 시종점에서 접근 가능한 동적정류장 리스트를 산정하고 K-means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시종점 그룹들을 각기 차량에 배정하였다. 버스통행시간과 이용자 추가소요시간을 최소화하는 동적정류장 위치 및 버스노선 결정을 위한 모형을 개발하고 다목적 최적화를 위해 NSGA-III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 모델의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이용자 추가소요시간 간의 변수를 조정하여 7개의 시나리오를 설정하였고 이를 통해 목적함수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운영자 측면에서는 버스통행시간과 승객 대기시간만 고려한 시나리오가, 이용자 측면에서는 버스통행시간, 도보시간, 우회시간을 적용한 시나리오가 가장 우수하였다.

벽지노선 대체형 수요응답형교통(DRT) 노선 선정 방안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대중교통 열악지역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Route Selection Method for Demand Response Transport (DRT) Replacement for Bus Services in Vulnerable Areas - Focused on Region Vulnerable to Public Transportation of GyeongSangNam-Do in Korea -)

  • 박기준;송기욱;정헌영
    • 국토계획
    • /
    • 제54권4호
    • /
    • pp.71-78
    • /
    • 2019
  • Due to the rapid pace of low fertility and aging of Korea, population decline is rapidly progressing in the outskirts of the province and county. Demand for public transport is decreasing due to suburban population declines, while local government funding for maintenance of the bus system is expected to increase gradually. The government and municipalities are promoting the introduction of Demand Responsive Transport (DRT)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of financial support for buses while enhancing mobility of the residents in vulnerable areas. However, most DRTs in Korea have been operated mainly in the areas that are not provided with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Although DRT is able to reduce the financial burden of local governments, it is not easy to be introduced because of the objection of the existing bus users. In this study, 11 out of 61 towns with poor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in Gyeongsangnam-Do were selected for the introduction of DRT to replace bus services by using villag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decision making to use DRT instead of bus service for the burden of bus financing for local governments.

수요응답형교통체계 이용요금 가치 추정 연구 (A Study on Fare Estimation for Demand Responsive Transport)

  • 김원철;남궁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03-111
    • /
    • 2015
  • 본 연구는 농촌지역 벽지노선의 공차운행 문제점과 대중교통서비스 사각지역 주민의 이동권을 확보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수요응답형교통체계(DRT) 도입운영을 검토할 때, 이용자 관점에서 어느 정도의 요금수준이 적정할지를 산정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RT 도입에 대한 선호도를 가상선호의식조사(Stated Preference, SP)를 통해 조사한 후 조건부 가치측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을 적용하여 DRT의 편익에 대한 이용요금의 지불의사액을 산정한다. 분석결과, 경제력이 낮은 농어촌지역의 사회적 약자가 평가하는 DRT의 가치는 1,000원의 이용요금을 받는 노선버스 서비스 보다 개선되는 접근성의 가치 38.85%, 원하는 시간대에 이용할 수 있는 편리성의 가치 31.03%, 버스를 기다리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의 가치 30.12%가 높은 약 1,638.73원 정도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DRT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는 DRT 요금수준 결정을 위한 의사결정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령화사회의 DRT(Demand Responsive Transit)시스템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김해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RT System Introduction for Aging Society : A Case Study on Kimhae City)

  • 오윤표;김재열
    • 농촌계획
    • /
    • 제14권3호
    • /
    • pp.27-36
    • /
    • 2008
  • Rapid increase of aging population and progressed migration from rural areas to urban areas have caused deficit of bus routes in local cities. This increasing burden of operation deficit affects the movement strategy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who are using buses. Along with dramatically increased aging in Korea, there is an urgent need to implement a new method which can guarantee mobility rights of public transportation especially for the elderly. This study focuses on the case of Demand Responsive Transit(DRT) system that has been operating in America, Europe, Japan, etc. Kimhae(Sangdong-myeon and Saengnim-myeon) is selected as a study are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adopting DRT system on the perspectives of the consumer and provider by the analysis of traffic condition such as the number of transportation vehicles, present bus service and regulation and conduct of questionnaire survey which includes present bus service and DRT system and so on. In conclusion, DRT system in Kimhae city will reduce transport cost, increase affordability through the betterment of service level and secure mobility rights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자율주행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도입을 위한 운행설계영역 관점의 도로환경 분석 (A Road Environment Analysis for the Introduction of Connected and Automated Driving-based Mobility Services from an Operational Design Domain Perspective)

  • 우보람;김아름;안용준;탁세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07-118
    • /
    • 2022
  • 최근 자율주행 기술이 상용화 단계로 접어들며, 자율주행기반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이 늘어나고 있다. 현재 자율주행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들은 자율주행차량의 주행 성능과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모빌리티 수단별 교통수요와 통행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지역을 선정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모빌리티 서비스인 택시와 수요응답형 교통수단, 특별교통수단의 실제 교통 데이터를 활용하여 모빌리티 수단별 통행 특성을 분석하고 자율주행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모빌리티 서비스별 주요 사용 네트워크를 도출하고 전문가 조사를 기반으로 네트워크별 자율주행 난이도를 산정하여 모빌리티 서비스별 자율주행 적용 지수를 산출한다. 분석 결과, 수요가 분산된 형태의 모빌리티 서비스보다는 밀집된 형태의 서비스에서 자율주행 서비스 제공이 효율적인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네트워크에 할당된 통행수요가 높고 자율주행 난도가 낮은 분포가 가장 큰 것은 특별교통수단으로 도출되었다.

농어촌지역 수요응답형교통(DRT)의 운행비용 특성분석 (A Study on Analysis of Operating Cost Properties to Demand Responsive Transport System in Rural Areas)

  • 전상민;정성봉;김시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6D호
    • /
    • pp.571-577
    • /
    • 2012
  • 최근 농어촌지역의 교통약자에 대한 대중교통서비스 개선 등이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고, 기존 고비용 저효율인 버스운영 시스템의 개선을 통하여 이용자 맞춤형서비스로의 전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기존 농어촌버스의 노선운행시스템 대안으로 수요대응형교통(Demad Responsive Transport)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DRT는 교통소외지역의 이용자편의를 증진시키는 것을 큰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도입에 따른 비용분석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농어촌지역에 DRT를 도입하였을 경우 차량운행대수 및 운행비용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비용측면에서의 도입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농어촌버스의 대당 운행노선수의 과다와 노선혼재의 특성으로 DRT가 도입되더라도 기존 차량대수의 감축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기존 노선운행시스템에 비해 추가차량 소요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추가차량 소요는 운행비용 증가를 가져오게 되어, 도입 전과 비교하여 약 5~12%의 운행비용 증가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향후 농어촌지역에 DRT 도입을 위해서는 교통소외 지역주민의 교통편의증진을 목적으로 할 것인지, 기존 노선운행시스템의 비용비효율 해소를 목적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방향설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서대구S/S SVC의 양주S/S 이설관련 고조파 및 제어특성 검토 (Transport of SVS from Sudagu to Yangju and Study about harmonic wave, feature of control)

  • 장석한;신순영;최만식;윤종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633-635
    • /
    • 2007
  • To cope with increasing power demand in metropolitan area, the power system in Korea has equipped with unit generator of large capacity, high density and uneven distribution, and transmission line of long distance, large capacity and high voltage. As the power system growing up enormous, it has become difficult to maintain the standard voltage in case of radical fluctuation of load or severe change of voltage by power system fault for its weakness of responsive characteristics although the power condenser has been installed to solve the unstability by lack of reactive power. Consequently, we review harmonic wave production and control characteristics to solve unstability problem of voltage in northern metropolitan, to reduce transmission restriction cost and to minimize load shedding by relocation of SVC (Static Var Compensator), which is highly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responsive characteristics for radical voltage fluctuation.

  • PDF

모빌리티 서비스의 운전 주체 및 신기술 경험 여부에 따른 만족도 비교분석 : 자율주행서비스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Mobility Service Satisfaction by Driving Subjects and Experiences of the Latest Technology : Focused on Automated Driving Service)

  • 김탁영;서지훈;방수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03-116
    • /
    • 2022
  • 국토교통부는 원활한 자율주행자동차 서비스 확대를 위해 총 7개 지역을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로 지정·고시하여 매년 운영성과에 대한 평가를 받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자율주행자동차 서비스의 정성적 만족도를 설문조사 기반으로 평가하였다. 첫째, 세종시 자율주행 서비스 이용자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자율주행 서비스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율주행 서비스 이용자가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단계 인지, 이용 의향 등이 일반인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수요대응형 대중교통 서비스 이용자와 세종시 자율주행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비모수통계분석 방법 중 윌콕슨 순위합 검정(Wilcoxon Rank Sum Test)을 통한 분석 결과, 자율주행 서비스 이용자의 경우 안전과 관련된 요인들이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요대응형 대중교통 서비스 이용자들은 서비스 편의성과 관련된 항목들이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설문조사 결과는 향후 자율주행 서비스의 개선사항 및 정책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