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hydrogenase activity

검색결과 1,292건 처리시간 0.027초

Comparative and Interactive Biochemical Effects of Sub-Lethal Concentrations of Cadmium and Lead on Some Tissues of the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 Elarabany, Naglaa;Bahnasawy, Mohammed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5권3호
    • /
    • pp.249-255
    • /
    • 2019
  • Cadmium is a strong toxic heavy metal which presents in paints and liquid wastes and causes oxidative stress in fish. On the other hand, lead is widely used for different purposes, e.g. lead pipes, it targets vital organs such as liver and kidney causing biochemical alterations. The present study evaluates the effects of 60 days exposure to Cd and Pb either single or combined together in African catfish. Sixty-four fishe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nd exposed to $CdCl_2$ (7.02 mg/L) or $PbCl_2$ (69.3 mg/L) or a combination of them along with control group. Activities of acid phosphatase (ACP), lactate dehydrogenase (LDH) and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H) were estimated. Moreover, gill, liver and kidney were assayed for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and levels of glutathione (GSH) and malondialdehyde (MDA). Individual exposure showed that both Cd and Pb significantly decreased LDH activity and SOD activity in the kidney. Pb significantly increased G-6-PDH activity and decreased GSH level in the gill. CAT activity in liver and kidney elevated significantly on Cd exposure while lead caused a significant depletion in the liver and significant elevation in the kidney. Both Cd and Pb significantly increased MDA levels in liver and kidney while Pb increased its level in gills. The combined exposure resulted in normalization of LDH, G-6-PDH activity, and CAT activity in liver and kidney as well as GSH level in both tissues and MDA in gill and kidney. The combination increased SOD activity and MDA level in liver and decreased SOD activity in kidney and GSH level in gills. In conclusion, the antioxidant system of African catfish was adversely affected by prolonged exposure to Cd and Pb. The combined exposure caused less damage than individual exposure and returned most parameters to those of controls.

무 에탄올 추출물의 in vitro 생리활성 분석 (In vitro Biological Activity Assay of Ethanol Extract of Radish)

  • 정민숙;이건순;채희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67-71
    • /
    • 2004
  • 무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기능, 숙취해소, 항균활성 및 항산화능을 분석하였다. Tyrosinase inhibition assay법을 이용하여 미백활법을 측정한 결과 무 줄기와 무 뿌리 추출물의 $IC_{50}$(50% inhibitory concentration)은 각각 0.9 mg/ml와 2.1 mg/ml를 나타냈다. 무뿌리 추출물보다 무줄기 추출물이 2.5배 정도 높은 tyrosinase의 저해율을 보였지만, 무의 품종별로는 별다른 활성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숙취해소 활성의 분석법으로는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assay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ethanol을 분해시키는데 필요한 효소인 alcohol dehydrogenase를 150% 활성화시키는 무줄기와 무뿌리 추출물의 농도가 각각 2.5 mg/ml와 8 mg/ml로 나타났다. 항산화력의 직접적인 지표로 대표적으로 분석되는 항목인 TBARS법에 의한 TBA 값을 천연 항산화제와 비교한 결과, 무줄기 추출물과 무뿌리 추출물(1%)은 ${\alpha}-tochoperol$(2.2%)의 43-61%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생리활성 분석을 통하여 무를 이용한 숙취해소 및 항암 기능식품 개발, 미백 기능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레몬 머틀 잎 추출물의 Hep G2 세포에서의 간 보호 효과 및 알코올대사 효소활성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Hep G2 Cells and the Alcohol-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of Lemon-Myrtle (Backhousia citriodora) Leaf Extracts)

  • 정경임;김판길;갈상완;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262-126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레몬 머틀 잎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새로운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항당뇨 효과와 미백 효과, 알코올 분해능 및 간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레몬 머틀 추출물의 혈당강하효과는 ${\alpha}$-glucosidase 활성 억제능을 측정하였으며,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1 mg/ml 농도에서 각각 7.66%와 40.29%로 에탄올 추출물이 높게 나타났고(p<0.05), tyrosinase 저해활성은 에탄올 추출물 1 mg/ml 농도에서 38.26%로 나타났다. 숙취 해소능을 알아보기 위해 alcohol dehydrogenase (ADH)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활성을 측정한 결과, 두 효소 모두 레몬 머틀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레몬 머틀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tacrine으로 유도된 Hep G2 간암 세포주에 대하여 유의적인 보호 활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레몬 머틀 잎은 항당뇨효과와 숙취 해소효과 및 간세포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에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Grapefruit 종자추출물이 Enterobacter pyrinus의 생리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Inhibitory Effect of Grapefruit Seed Extract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Enterobacter pyrinus)

  • 이태호;정숙정;이상열;김재원;조성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85-990
    • /
    • 1995
  • Grapefruit 종자추출물(GFSE)에는 박테리아와 곰팡이류들에 대하여 항균 효과를 갖는 성분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배나무에 병반에서 분리한 Enterobacter pyrinus도 GFSE를 가하여 준 배지에서 생육이 억제되었다. 대조군이 stationary phase로 접어든 배양 20시간까지 GFSE의 최종 농도가 0.01%를 함유한 배지에서 E. pyrinus는 전혀 성장하지 못하였다. 항균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GFSE를 용매추출하여 친수성 분획과 소수성 분획으로 나누었을 때 억제 효과는 소수성 분획에서 관찰되었다. GFSE가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몇가지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본 결과, hexokinase,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malate dehydrogenase와 succinate dehydrogenase 등에는 별다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세포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beta}-galactosidase$의 인위적 기질인 ONPG의 분해 여부를 조사한 결과, GFSE는 세포막에 영향을 끼침을 관찰하였다. GFSE의 항균 성분을 분리 확인하기 위해서 HPLC $C_{18}$ reverse phase column chromatography를 하여 5개의 peak를 얻었으며, 이중 1개의 분획에서 강한 항균 활성을 검출하였다. 이 분획을 GC-Mass로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1-chloro-2-methyl-benzene (o-toluene), N,N-dimethyl-benzenemethaneamine, 1-[2-(2-ethylethoxy)ethoxy]-4- (1,1,3,3-tetramethyl)-bezene 이외에 분획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1개의 물질을 포함하여, 확인하지 못한 3개의 물질이 있음을 알았으며, GFSE의 항균활성을 보이는 성분은 새로운 물질일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PDF

육체운동이 사염화탄소의 간독성에 미치는 영향

  • 김민경;김영철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165-171
    • /
    • 1991
  • Effects of forced physical exercise on the CCl4 hepatotoxicity were examined in adult female rats. Rats were treated with CCl4 (2 mmol/kg, ip) and introduced into a cylindrical cage rotating at 9 rpm for 20 min/hr for 6 hr. Eighteen hr following the termination of exercise serum sorbitol dehydrogenase (SDH),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activities and glucose-6-phosphatase activity were determined as parameters for hepatotoxicity. Physical exercise inhibited the $CCI_{4-}$induced increases in SDH, GOT, GPT activity, and glucose-6-phosphatase activity were determined as parameters for hepatotoxicity.

  • PDF

Enterobacter sp. YB-46의 myo-Inositol dehydrogenase 유전자 클로닝과 특성분석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myo-Inositol Dehydrogenase from Enterobacter sp. YB-46)

  • 박찬영;김광규;윤기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02-110
    • /
    • 2018
  • myo-Inositol (MI)을 대사하여 다른 물질로 전환하는 미생물을 과수원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균 YB-46은 유일한 탄소원으로 MI이 첨가된 배지에서 성장하였고 16S rDNA 염기서열에 따라 Enterobacter 속의 균주로 추정되었다. Fosmid pCC1FOS 벡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거대 유전체 은행으로부터 MI을 미지의 대사 물질로 전환하는 Escherichia coli 형질전환주를 선발하였다. 이로부터 플라스미드를 분리하고 삽입된 유전자의 일부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336 아미노 잔기로 구성된 myo-inositol dehytrogenase (IolG)를 암호화하는 iolG 유전자가 발견되었다. 분리균 YB-46의 IolG는 E. aerogenes와 Bacillus subtilis의 IolG와 약 50% 수준의 상동성을 보였다. 카르복실 말단에 hexahistidine이 연결되도록 제조한 His-tagged IoG (HtIolG)의 유전자를 재조합 대장균에서 발현하여 균체 파쇄액으로부터 HtIolG를 정제하였다. 정제된 HtIolG는 $45^{\circ}C$와 pH 10.5에서 최대 활성을 보였고 MI과 D-glucose에 대한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D-chiro-inositol, D-mannitol 및 D-xylose에도 90% 이상의 활성을 보였다. 최적 반응조건에서 MI을 기질로 하여 반응 동력학적 계수를 측정한 결과 $K_m$$V_{max}$가 1.83 mM과 $0.724{\mu}mol/min/mg$로 확인되었다. HtIolG의 활성은 $Zn^{2+}$에 의해 1.7배 증가하였으며, $Co^{2+}$와 SDS에 의해서는 크게 감소하였다.

천연소재복합물의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활성 및 호기중 알코올 농도 감소 (Natural herbal extract complex induces the degradation of alcohol and acetaldehyde and reduces the breath alcohol concentration)

  • 황지홍;김미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381-392
    • /
    • 2020
  • 본 연구는 천연소재 12종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 라디칼 소거능, 알코올탈수소효소(ADH), 아세트알데히드탈수소효소(ALDH) 활성도를 측정하고 상승효과를 가지도록 배합한 복합물의 숙취해소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수한 개별 소재를 선정하고 배합비를 달리하여 효능 평가를 통해, 배합비가 효능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8종의 추출물 중 보이차, 소나무, 갈근 순으로 ADH 활성이 높았고, 갈근은 배합량과 효능 간의 양의 상관관계, 보이차, 소나무 등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8종의 소재로 배합한 F1~F7 을 대상으로 ADH, ALDH 활성평가를 통해 F.7에서 상승효과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여 최적 배합비로 도출하였다. F.7를 섭취한 시험군에서 알코올 섭취 30분 후부터 호기 알코올 농도가 섭취 직후 호기중 알코올 농도 대비 58%로 유의적으로 감소되기 시작하였고, 120분 후 27%로 호기중 알코올 농도가 감소되었다. 음주 후 발생하는 숙취증상 설문 결과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에서 음주 후 발생하는 피곤함과 갈증에서 유의적인 개선효과 (p<0.05)가 있었다.

탈수소화효소 반응 및 촉매적 흡착 반응에 의한 액상 포름알데하이드의 제거 효율 연구 (Investigation of Liquid Phase Formaldehyde Removal Efficiency by Enzymatic Formaldehyde Dehydrogenase and Catalytic Chemisorption Reactions)

  • 함규진;박민섭;최권영
    • 공업화학
    • /
    • 제28권1호
    • /
    • pp.50-56
    • /
    • 2017
  • 포름알데하이드는 무색, 무취의 유독성 물질로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포름알데하이드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들이 많이 보고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생물학적 효소 반응 및 화학적 흡착 촉매 반응에 의한 포름알데하이드의 제거 효율을 비활성을 통해 비교하였다. 첫째, Escherichia coli K12포름알데하이드 탈수소화 효소(Formaldehyde dehydrogenase, FDH)를 Escherichia coli BL21(DE3)에 클로닝하여 발현 및 분리하였다. FDH 효소 활성($k_{cat}/K_m$)은 $2.49{\times}10^3sec^{-1}mM^{-1}$로 측정되었으며, 비활성은 8.69 U/mg으로 측정되었다. 둘째, 화학적 흡착 및 화학 촉매를 이용한 포름알데하이드의 제거 효율도 동시에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활성탄과 제올라이트, KI 및 KOH로 처리한 활성탄과 제올라이트를 화학적 포름알데하이드 흡착제로 사용하였으며 $Pd/TiO_2$ 산화 촉매를 이용하여 포름알데하이드의 산화 반응 효율을 결정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 수행한 화학적 흡착 및 산화 촉매 반응의 경우 대략 50%의 비슷한 수준의 포름알데하이드 제거 효율을 보였으며, 특히 비활성의 경우 탈수소화효소의 비활성이 0.01-0.26 U/g 수준의 화학적 흡착 및 산화 촉매보다 월등히 높게 측정되었다.

담수조건하 벼 발아 및 입모단계시 항산화효소 및 Alcohol dehyrogenase활성 변화 (Changes of Antioxidative Enzymes and Alcohol Dehydrogenase in Young Rice Seedlings Submerged in Water)

  • 손지영;고종철;김우재;김보경;김정곤;정남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40-446
    • /
    • 2008
  • 상시담수 하에서 발아 및 안정적인 입모를 확보하는 것은 담수직파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일반적으로 담수 조건에 서는 유묘생장이 억제되지만, 담수 처리 시 초기생육이 우수한 익산429와 담수 처리 시 생육이 저조하며 생존율이 낮은 Woodrose 2품종에 대해 발아 및 초기생육기간 담수 처리하여 혐기대사와 관련된 ADH활성과 항산화효소들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1. 담수 처리 시 벼는 유아만 신장하며 뿌리는 신장하지 못했고, 익산429가 Woodrose보다 담수상태에서 생존기간이 길었고 생장도 빨랐다. 그러나 무 처리에서는 Woodrose의 생육이 빨랐다. 2. ADH활성은 담수 처리 시 무 담수에 비해 급격히 증가하였고, 익산429가 Woodrose보다 활성이 오래 유지되었는데, 처리 7일째는 익산429가 무처리에 비해 약 7배, Woodrose는 약 2.5배 증가하였다. 4. SOD, POX, CAT 활성 모두 담수 처리에서 무 담수보다 낮았다. 그러나 SOD는 담수시 무 담수에 비해 크게 활성이 낮지는 않았으며 품종 간에는 익산429의 활성이 무 담수 및 담수 처리 모두 Woodrose보다 높았고 담수 시에도 익산429가 Woodrose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POX 활성변화는 담수시 익산429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Woodrose는 큰 변화가 없었다. CAT활성은 담수 처리 초기부터 아주 낮은 활성을 보여 처리기간 동안 거의 증가하지 않았으나 무 담수시에는 3일까지 활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담수 처리 시 발아 및 초기생육기간 동안 담수내성이 약한 품종에서 SOD와 POX의 역할이 크고 ADH활성이 높게 유지되어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품종이 담수 시 초기생육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CC1_4$의 간장독작용(肝臟毒作用)에 미치는 Thyroxine의 영향(影響) (Influence of Thyroxine on the Hepatotoxicity of Carbon Tetrachloride)

  • 홍기성;천연숙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1-38
    • /
    • 1980
  • Calvert et al. formulated the hypothesis that carbon tetrachloride ($CCl_4$) acted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to produce and intensify sympathetic discharge which resulted in anoxic necrosis of the liver. Recknagel suggested that the essential feature of $CCl_4$ hepatotoxicity depended on the cleavage of it to $CCl_3$(free radical) and the peroxidative decomposition of cytoplasmic membrane structural lipids. And there are many reports which show the increase of adrenergic activity in hyperthyroidism. In this paper, the influence of thyroxine on the hepatotexicity of carbon tetrachloride was investigated in mice.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Hepatic total lipid and lipid peroxide contents were slightly decreased by L-sodium thyroxine injection(4mg/kg/day for 4days or 6days), but hepatic glycogen conte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2) Hepatic total lipid and lipid peroxide contents and serum lactic dehydrogenase activ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CCl_4$ (4 ml/kg single dose or triple dose: 4ml/kg/day for 3days), but hepatic glycogen conte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3) The increase of hepatic total lipid and lipid peroxide contents and serum lactic dehydrogenase activity induced by $CCl_4$ were significantly inhitited by the pretreatment of thyroxine. 4) The decrease of hepatic glycogen induced by $CCl_4$ was not affected by the pretreatment of thyroxi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