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graded forest area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6초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the Invasive Alien Species of Tree of Heaven (Ailanthus altissima) in Seoripool Park, Seoul

  • Lee, Han-Wool;Lee, Chang-Seo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0권1호
    • /
    • pp.27-40
    • /
    • 2006
  • Tree of heaven (Ailanthus altissima Swingle) as an invasive alien plant, appeared usually in the disturbed locations such as road-side, incised slope, and trampling path-side. They appeared abundantly in the trampling pathside but they did not appear or were rare in the interior of forest. Density and importance value of tree of heaven were proportionate to the relative light intensity measured according to distance from the trampling path toward forest interior and closely related to the breadth of trampling path as well. They were associated with annual, other exotic species or ruderal plants well. Distributional pattern of mature trees of them in the study area and its surrounding environments implied that they were introduced intentionally. Size class distribution of them showed that they are in expansion and artificial interferences such as, installing physical training space and developing hiking course functioned as trigger factors in their invasion and expansion. The results support the facts known generally in relation to invasion and expansion of the invasive alien plants. In this viewpoint, we suggest a management plan that applies ecological restoration principles to address ecosystems infected with tree of heaven by restoring the integral feature of the degraded nature and conserving the remained nature more thoroughly.

도시 유역 내에서 토지이용에 따른 표토의 특성 비교 및 표토 보전을 위한 시사점 (Comparative Analyses for the Properties of Surface Soils from Various Land Uses in an Urban Watershed and Implication for Soil Conservation)

  • 박은진;강규이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06-115
    • /
    • 2009
  • Knowledge about how to stabilize soil structure is essential to conserve soil systems and maintain various biogeochemical processes through soil. In urban area, soil structural systems are degraded with inappropriate management and land use and become vulnerable to erosion. We analyzed the structural changes of surface soils with different land uses, i.e., forests, parks, roadside green area, riparian area, and farmlands (soybean fields), in the Anyang Stream Watershed in order to fi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tability of soil structure and the implication for better management of surface soil.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of other land use soils were only 18~52% of that in forest soils. Soil organic matter increased the stability of soil aggregates in the order of soybean fields < roadsides < riparian < parks < forests and also reduced soil bulk density (increased porosity). The lowest stability of soybean field soils was attributed to the often disturbance like tillage and it was considered that higher stability of park soils comparing to other land use soils except forests was owing to the covering of soil surface with gra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pply of soil organic matter and protection of soil surface with covering materials are very important to increase porosity and stability of soil structure.

강원도 고성 산화지역의 토양 이화학성 변화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Forest-Fired Area in Koseong, Kangwon)

  • 남이;민일식;장인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8-45
    • /
    • 2000
  •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과 토성면 일대의 소나무군락을 대상으로 1996년 4월에 발생한 산화에 따른 산림환경변화가 토양의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비산화지역(NF) 산화후 비벌채지역(FNC), 산화후 벌채지역(FC) 및 산화후 조림지역(FCP)으로 분류하여 토양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조사지역의 토성은 사질식양토이었고, 토양의 입경조성을 비교하면 비산화지역은 표토의 모래함량이 심토보다 낮았고, 점토함량은 높았지만 산화지역은 모두 표토의 모래함량이 점토에 비해 높았다. 토양공극 분포 중 전공극량은 지역별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조공극량과 투수성은 비산화지역 > 산화후 비벌채지역 > 산화후 조림지역 > 산화후 벌채지역 순이었고, 세공극량과 가비중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산화에 따른 산림환경변화로 지피식생이 제거되어 토양침식이 가속화되면서 토양 내 수분함유능력의 지표인 토양공극과 투수성에 큰 영향을 주면서 토양물리성을 악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 pH는 비산화지역과 산화후 비벌채지역이 산화후 벌채지역과 조림지역보다 표토 및 심토 모두 높게 나타났다. 유기물함량 및 전질소함량 변화는 표토와 심토 모두 비산화지역> 산화후 비벌채지역> 산화후 조림지역> 산화후 벌채지역 순이었다. 양이온치환용량 및 치환성 양이온($K^{+}$ , $Na^{+}$ /, $Ca^{2+}$, $Mg^{2+}$)함량 변화는 모두 표토가 심토보다 높았으며, 지역별로는 비산화지역> 산화후 비벌채지역> 산화후 조림지역> 산화후 벌채지역 순으로, 이는 산화후 표토층의 침식으로 지력이 악화된 결과로 사료된다.

  • PDF

해방(解放) 이후(以後) 가정용(家庭用) 연료재(燃料材)의 대체(代替)가 산림녹화(山林綠化)에 미친 영향(影響) (Impacts of the Substitution of Firewood for Home Use on the Forest Greening after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 배재수;이기봉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1호
    • /
    • pp.60-72
    • /
    • 2006
  • 본 논문은 해방 이후 가정용 연료재의 대체와 산림녹화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해방 이후 1960년대 초반까지 총 입목축적의 약 17%에 해당하는 연간 1천만 $m^3$ 내외의 목재를 가정용 연료재로 소비한 까닭에 우리나라는 심각한 산림황폐화에 직면하게 되었다. 1955년 가정용 연료재의 소비량이 그대로 유지될 경우 10년 내에 전국의 산림이 민둥산이 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공부는 국내의 유일한 부존자원인 무연탄을 이용하여 가정용 연료재를 대체하는 에너지정책을 추진하였다. 농림부는 대도시 내 임산연료의 반입을 금지하고 가정용 연료재를 연탄으로 대체하여 나갔다. 이런 정책은 점차 성공을 거두어 1970년에 이미 취사용 연료로 임산연료를 사용하는 도시 가구는 5.2%에 불과하였다. 또한 1970년대 이후 가정용 연료재의 실질적 소비자인 농촌인구가 도시로 급격히 이주함에 따라 연료재 소비량도 자연스럽게 감소하였다. 농촌지역의 취사용 연료재는 1985년 이후 가스로, 난방용 연료재는 1980년 이후 연탄으로 급격히 대체되었다. 결국 가정용 연료재의 대체라는 근본적인 변화가 토대가 되어 지난 1세기 이상 진행된 산림황폐화는 마침내 마침표를 찍게 되었다.

북한 평양 상원지역에서 1년생 4배체 아까시나무의 생장특성과 엽성분 함량 (Characteristics of Growth and Leaves Component Contents of in One Year Old Tetraploid Robinia pesudoacacia at Sangwon Area in Pyongyang, DPR Korea)

  • 김영환;강호상;박고은;이돈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10-71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중국 북경 옌칭(延慶)으로부터 북한 상원지역에 도입한 1년생 묘목 4배체 아까시나무를 대상으로 식재 입지별로 1년생 묘목의 생장특성을 분석하고, 엽내 3가지 성분의 함량 측정을 통해 향후 식재 후 수확한 엽의 사료첨가제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1) 상원지역에서 평지에 식재한 4배체 아까시나무는 중국의 옌칭지역 내 4배체 아까시나무에 비해 당년생 맹아지의 길이와 근원경이 50%정도 작게 나타났다. (2) 상원지역의 4개 사면입지에서 4배체 아까시나무의 당년생 맹아지의 길이 생장은 동, 서, 남사면에서 북사면에 비해 23~30% 크게 나타났고, 근원경은 동, 남사면의 4배 아까시나무가 북, 서사면에 비해 14~23% 크게 나타났다. (3) 상원지역에서 4배체 아까시나무의 엽내 조단백질과 조회분 함량은 중국 옌칭지역 내 4배체 아까시나무와 마찬가지로 일반 아까시나무 잎에 비해 40% 이상 높게 나타났다.

손죽도의 식물상과 보전대책 (Flora and Conservation Counterplan of Sonjook Island)

  • 박선주;김종흥;김상민;박홍덕;우복주;백기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8-41
    • /
    • 2004
  • 본 조사지역인 손죽도는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손죽리에 속하며, 지리적으로는 동경 127도 21분, 북위 34도 16분에 위치하고 있다. 유관속 식물을 대상으로 2001년 12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12개월에 걸쳐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관속식물은 113과 291속, 519종, 60변종, 5품종 총 584종이 동정되었다. 이 지역은 전형적으로 곰솔이 우점종이며, 남방계 식물이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중 특산식물은 10과 10속 8종 5변종으로 총 13종류로 이 지역에서 관찰되는 전체식물종의 2.0%를 나타낸다. 회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솔잎란, 애기등, 섬첨남성, 및 지네발란 등이 관찰되었다. 그 외에 귀화식물은 9과, 20속, 23종으로 우리나라 전체 귀화식물종 281종류의 8.2%로 조사되었다. 본 지역은 면적에 비해 한국특산식물, 회귀식물 및 멸종위기식물 등이 많이 분포하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지만 한편으로는 귀화식물의 점유율이 점점 높아지는 등 환경오염에 따른 인위적인 훼손의 위협 증대되고 있어 섬 전체에 대해 지속적인 정부의 강력한 관리 및 개발 규제가 있어야만 할 것으로 사료된다.

Modelling land degradation in the mountainous areas

  • Shrestha, D.P.;Zinck, J.A.;Ranst, E. Va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817-819
    • /
    • 2003
  • Land degradation is a crucial issue in mountainous areas and is manifested in a variety of processes. For its assessment, application of existing models is not straightforward. In addition, data availability might be a problem. In this paper, a procedure for land degradation assessment is described, which follows a four-step approach: (1) detection, inventory and mapping of land degradation features, (2) assessing the magnitude of soil loss, (3) study of causal factors, and (4) hazard assessment by applying decision trees. This approach is applied to a case study in the Middle Mountain region of Nepal. The study shows that individual mass movement features such as debris slides and slumps can be easily mapped by photo interpretation techniques. Application of soil loss estimation models helps get insight on the magnitude of soil losses. In the study area soil losses are higher in rainfed crops on sloping terraces (highest soil loss is 32 tons/ha/yr) and minimal under dense forest and in irrigated rice fields (less than 1 ton/ha/yr). However there is high frequency of slope failures in the form of slumps in the rice fields. Debris slides are more common on south-facing slopes under rainfed agriculture or in degraded forest. Field evidences and analysis of causal factors for land degradation helps in building decision trees, the use of which for modelling land degradation has the advantage that attributes can be ranked and tested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In addition, decision trees are simple to construct, easy to implement and very flexible in adaptations.

  • PDF

미동정 부후균에 의한 소나무재의 Lignin 분해와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한 관찰 (Lignin Degradation of Pine Wood by Unidentified Decay Fungi and Observation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박헌;민경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71-80
    • /
    • 2003
  • 목재의 주성분 중 가장 분해가 어려운 리그닌을 분해하는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 산림지역에서 채취한 부후목과 자실체로부터 균을 분리하였다. 리그닌 분해능은 활엽수보다 미생물 분해가 어렵다고 알려진 침엽수인 소나무재에 미생물을 처리하여 Klason 리그닌 정량을 통해 조사하였다. 또한 선발균에 의한 소나무재의 분해과정과 부후정도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SEM)을 이용해 조사하였다. 선발 균주 중 CJ-6에서 소나무 리그닌의 분해율이 49.48%로 가장 높았으며, 이것은 리그닌 분해 우수 균주로 알려진 Trametes versicolor의 40.58%와 비교해 보았을 때 리그닌 분해력이 더 우수하였다. 균주들 중 리그닌 분해력이 좋게 나타난 2개의 균주를 대상으로 부후에 의한 목재조직의 변화를 관찰하였는데 두 균주의 부후형이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부후 20일 경과에서는 균사의 침입은 있었으나 아직 목재는 건전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60일 간의 부후에서는 부후가 어느 정도 진행되어 가도관 벽과 방사조직의 세포벽의 일부가 분해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00일간 부후가 진행된 경우에는 부후가 상당히 진행되어 가도관 세포벽 안쪽이 분해가 많이 진행되어 있었으며, 방사조직의 세포벽이 많이 분해되어 있어 세포간의 구별이 어려웠다.

서울 도시생태 보호지역 관리계획 연구 - 백사실계곡 생태·경관보전지역을 대상으로 - (Studies on the Management Plan in Urban Ecological Protected Area of Seoul - A Case Study of the Baeksil Valley Ecological Scenery and Conservation Area -)

  • 박석철;한봉호;곽정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09-126
    • /
    • 2015
  • 본 연구는 백사실계곡 생태 경관보전지역의 생물다양성 확보와 건강한 생태계 유지에 필요한 정밀 자료를 구축하고, 보전지역 특성에 맞는 생태적 관리계획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0년 4월부터 2013년 5월까지이다. 백사실계곡은 최근 시민들의 이용 증가와 외래식물 식재 및 확산이 되고 있어 생태계 교란이 가속화 되고 있다. 주요 연구내용은 보호지역 관리시스템 고찰, 유역권 차원의 생태적 관리 필요성 고찰, 관리계획 수립 체계 설정, 사례 대상지 현황조사 및 분석, 위협요인 도출, SWOT 분석을 통한 목표 설정, 관리 전략, 관리계획 수립이었다. 현황조사 항목은 자연기반 환경, 동 식물 현황, 이용 환경으로 구분하여 파악하였다. 백사실계곡 생태 경관보전지역의 생태적 관리계획의 목표는 양서류의 안정적인 산란 및 서식을 위한 유역권 관리, 까막딱다구리의 영구적 서식 유도를 위한 산림 식생 보전 및 복원, 대경목 느티나무 군락 경관 보전을 위한 기반 환경 관리, 보호생물의 안정적 서식을 위한 이용자 관리로 설정하였다. 세부 관리계획 내용으로 보전 계획은 상류부 점 비점오염원 관리, 자생식물 생육환경 확보, 안전한 양서류 서식처 확보, 주요 야생조류 서식지 확보를 제시하였고, 복원 계획은 인공림의 자연림 복원, 자생초본 및 외래초본 관리, 훼손된 숲길 복원을 제시하였다.

환경성 평가시 도시보전용도지역 확보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Criteria for Designation of Conservation Zones in Urban Area)

  • 이상문;전영옥
    • 환경영향평가
    • /
    • 제14권6호
    • /
    • pp.403-413
    • /
    • 2005
  •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targeted zoning in urban planning process has been functioned as securing a ecological core in urban green spaces management. Hence, the designation of conservation zones in land use planning is considered as a key task to achieve the sustainability of urban planning. The recently introduced pre-environmental review system for the proposed urban plan, by which the conservative measures for urban ecosystem and landscape are suggested in aspect of environmental impact mitigation, has played an active role in enhancing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degraded by wide range of development pressure. This study is aimed at drawing out of objective criteria for designation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zones, which can be applied to urban planning establishment and also to environmental assessment process.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adopted the following methods; pre-study review, analysis of existing official opinion statements releas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contents analysis of related laws, and experts' panel discussions on the finally arranged criteri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otal criteria of 48 are drown out with categorizing into environment-ecological and socio-cultural sectosr. Second, the environment-ecological part is composed of 33 criteria such as vegetation, animal, geomorphology, watershed, environmental land suitability, and etc. Here, the Degree of Ecological Function, Degree of Environmental Land Suitability, and Vegetation Map are mainly utilized. Third, the 15 socio-cultural criteria relating to the history, social ecology and landscape have such components as forest around relics, Seo-won(school), castle, tomb, landmark, skyline, natural landscape, and etc. Forth, these individual criteria can be applied to designation of each conservation zones among total of 11 conservation areas(or distri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