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finite integrals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2초

EVALUATION OF A NEW CLASS OF DOUBLE DEFINITE INTEGRALS

  • Gaboury, Sebastien;Rathie, Arjun Kumar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32권4호
    • /
    • pp.979-990
    • /
    • 2017
  • Inspired by the results obtained by Brychkov ([2]), the authors evaluate a large number of new and interesting double definite integrals. The results are obtained with the use of classical hypergeometric summation theorems and a well-known double finite integral due to Edwards ([3]). The results are given in terms of Psi and Hurwitz zeta functions suitable for numerical computations.

A NEW CLASS OF DOUBLE INTEGRALS

  • Anil, Aravind K.;Prathima, J.;Kim, Insuk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B:순수및응용수학
    • /
    • 제28권2호
    • /
    • pp.111-117
    • /
    • 2021
  • In this paper we aim to establish a new class of six definite double integrals in terms of gamma functions. The results are obtained with the help of some definite integrals obtained recently by Kim and Edward equality. The results established in this paper are simple, interesting, easily established and may be useful potentially.

NOTE ON CAHEN′S INTEGRAL FORMULAS

  • Choi, June-Sang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5-20
    • /
    • 2002
  • We present an explicit form for a class of definite integrals whose special cases include some definite integrals evaluated, over a century ago, by Cahen who made use of an appropriate contour integral for the integrand of a well-known integral representation of the Riemann Zeta function given in (3). Furthermore another analogous class of definite integral formulas and some identities involving Riemann Zeta function and Euler numbers En are also obtained as by-products.

A CLASS OF DEFINITE INTEGRALS

  • Kim, Insuk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39권3호
    • /
    • pp.453-463
    • /
    • 2017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class of six definite general integrals in terms of gamma function. The results are established with the help of generalized summation formulas obtained earlier by Rakha and Rathie. The results established in this paper are simple, interesting, easily established and may be useful potentially.

DOUBLE INTEGRALS INVOLVING PRODUCT OF TWO GENERALIZED HYPERGEOMETRIC FUNCTIONS

  • Kim, Joohyung;Kim, Insuk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43권1호
    • /
    • pp.26-34
    • /
    • 2021
  • In this paper two interesting double integrals involving product of two generalized hypergeometric functions have been evaluated in terms of gamma function. The results are derived with the help of known integrals involving hypergeometric functions recorded in the paper of Rathie et al. [6]. We also give several very interesting special cases.

부정적분과 정적분의 관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finite Integral and Definite Integral)

  • 정연준;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2호
    • /
    • pp.301-316
    • /
    • 2009
  • 적분과 적분 기호는 합과 미분의 역,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기호와 그 의미에 기초할 때 부정적분은 정적분과 동일한 것처럼 생각될 여지가 있으며 많은 학생들이 부정적분을 구간이 결정되지 않은 정적분으로 간주하고 있다. 부정적분과 정적분의 개념 발생 과정은 현재 학교수학에서 충분히 다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는 부정적분과 정적분을 단지 기호와 그 기호를 다루는 방식에 의해서 다루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 논문에서는 부정적분과 정적분의 개념 발생 과정과 상호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고, 이로부터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AiC 관점에 따른 부정적분과 정적분 관계 학습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finite Integral and Definite Integral according to the AiC Perspective)

  • 박민규;이경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39-57
    • /
    • 2022
  • 본 연구는 맥락에서 출발하여 추상화로 나아가는 방식으로 수학 학습을 설명하는 AiC(Abstraction in Context) 이론에 따른 수업이 부정적분과 정적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는 지를 파악하는 데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과학고등학교 2학년 학생 8명을 대상으로 설계한 적분 지도 방안에 따라 수업을 실시했으며, 전 수업 과정을 녹화, 녹음한 자료와 활동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누적 개념이 내재된 맥락에서 출발하여 동료 학생들과 상호 소통하면서 부정적분과 정적분의 관계에 연결되는 세 가지 지식 요소인 '누적함수의 순간 변화율', '부정적분을 이용한 정적분의 계산', '누적함수를 이용한 부정적분의 결정'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AiC 관점은 부정적분과 정적분 관계의 학습을 지원하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다른 학습영역으로 확장하여 고등학교 수학수업을 개선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EULER SUMS EVALUATABLE FROM INTEGRALS

  • Jung, Myung-Ho;Cho, Young-Joon;Choi, June-Sang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545-555
    • /
    • 2004
  • Ever since the time of Euler, the so-called Euler sums have been evaluated in many different ways. We give here a proof of the classical Euler sum by following Lewin's method. We also consider some related formulas involving Euler sums, which are evaluatable from some known definite integr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