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bris barrier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2초

GIS를 이용한 사방댐의 토사유실 저감효과 분석 (Efficiency of Soil Erosion to a Debris Barrier using GIS)

  • 이근상;이명진;홍현정;황의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8-16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소양호유역의 탁수 및 토사유실 저감을 위해 수립중인 다양한 대책중 산림청과 지자체를 중심으로 계획중인 사방댐에 대한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2005년 강우와 GIS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소양호유역의 토사유실은 4,819,494 ton으로 평가되었으며, 단위토사유실분석에서는 추곡천, 자운천 그리고 오항천이 다른 유역들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다. 94개의 사방댐 지점을 중심으로 GIS 공간분석을 이용하여 사방댐유역을 추출하였으며, 사방댐유역의 토사유실량과 유사운송비를 이용하여 저감효과를 분석한 결과, 2005년 사방댐의 토사유실저감효과는 6.8%(330,203 ton)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방댐의 위치를 5,000 ton 이상인 지역으로 이동한 시나리오에서의 사방댐의 토사유실저감효과는 10.5%(506,783 ton)으로 증가되었다.

  • PDF

강원산간지형에 적합한 사방댐 모델결정을 위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for Decision of Debris Barrier Model it is suitable to Mountains among the Kangwon)

  • 황석민;이승호;문정식;김유태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530-533
    • /
    • 2007
  • Our country occurs yearly damage, because of every year in the summer season characteristic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 Therefor, we will research damage instance and natural calamity reduction effective plan through research against a landslide relation Debris Barrier, And the Debris Barrier decide suitability of Mountains among the Kangwon.

  • PDF

테트라포드 사방댐의 적용성 평가 -산청군 홍계리 지역을 대상으로- (Applicability Evaluation of Tetrapod Debris Barrier -A Case of Honggyeri Area in Sanchung County-)

  • 김기흥;박재현;마호섭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9-132
    • /
    • 2012
  • In order to connect eco-corridor and to harmonize with natur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small debris barrier. Therefore, we will evaluate applicability of small debris barrier which made of tetrapod utilized in construction of seashore protection facilities and breakwater. From result compared with the adaptation processes in fields, tetrapod were stabilized to critical tractive force. Stability evaluation method on sliding and overturn of tetrapod debris barrier was developed, and hereafter could be applied to similar debris barriers. According to results analyzed to continuity on sediment supply in debris barrier, boulders were deposited in upstream and gravels were deposited in downstream. Therefore, tetrapod debris barrier will be able to prevent in the long-term the erosion of river bed in down-stream, and the maintenance is easy because dredging is not necessary. Current were formed in between the tetrapod provided eco-corridors for fishes and shellfishes.

토석류 피해저감을 위한 유연성 방호책 적용에 관한 연구 (Debris Flows Mitigation by means of Flexible Barriers)

  • 유병옥;장범수;최승일;최우경
    • 기술발표회
    • /
    • 통권2006호
    • /
    • pp.220-231
    • /
    • 2006
  • Debris flows are a natural hazard which looks like a combination of flood, land and rock slide. Large rainfall in July 2006 produced several large scale debris flows and many small debris flows that resulted in loss of life and considerable property and highway damage, as was widely reported in the national media. The hazard "debris flow" is still insufficiently researched Furthermore debris flows are very hard to predict. In this paper, a general over view of the debris flow problems along the highway, a generic way for the design and dimensioning of flexible barrier systems will be presented. A brief description of the various unique barrier types will be provided, too. The future for these barrier concepts looks promising because these barriers represent the state of art for such applications and are superior to many other available options.

  • PDF

사방댐 준설퇴적물 관리시스템 개발 및 관리기준 제안 (Development of the Dredged Sediments Management System and Its Managing Criteria of Debris Barrier)

  • 송영석;윤중만;정인근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267-275
    • /
    • 2018
  • 사방댐 배면의 준설퇴적물에 대한 준설시기를 객관적, 정량적, 과학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준설퇴적물 측정장치를 개발하고 실제 현장에 시범 구축하였다. 사방댐 배면의 준설퇴적물 하중을 측정하기 위하여 준설퇴적물 관리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본 관리시스템은 Data Acquisition System (DAS), Solar System 및 준설퇴적물 하중변화 측정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방댐 배면의 준설퇴적물 하중, 수위 및 강우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무선통신을 통하여 자료를 전송할 수 있다. 준설퇴적물 하중변화 측정유닛은 강우를 측정하기 위한 강우계, 사방댐 배면의 준설퇴적물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하중측정계, 사방댐 배면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계로 구성되어 있다. 사방댐 배면의 준설퇴적물 관리기준은 준설퇴적물의 하중을 기준으로 제안하였다. 사방댐 배면에 퇴적될 수 있는 최대 준설퇴적물의 양을 산정하고, 최대 준설퇴적물의 50%, 70% 및 90%가 쌓인 경우 관심, 주의 및 경보의 단계로 구분하여 관리기준을 마련하였다. 사방댐 배면의 준설퇴적물 관리시스템을 활용하여 현재 준설퇴적물의 하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사방댐의 상태와 준설퇴적물의 준설시기를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단식(다단식) 토석류 방호책을 이용한 재해방지 시스템 (Hazard Prevention using Multi-Level Debris Flow Barriers)

  • 이성욱;최승일;최우경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15-829
    • /
    • 2008
  • Debris flows are a natural hazard which looks like a combination of flood, land and rock slide. Large rainfall in July 2006 produced several large scale debris flows and many small debris flows that resulted in loss of life and considerable property and railway damage, as was widely reported in the national media. The hazard "debris flow" is still insufficiently researched. Furthermore debris flows are very hard to predict. Flexible Ring net barriers are multi-functional mitigation devices commonly applied to rock fall or floating wood protection in floods, snow avalanches and also mud flows or granular debris flows, if properly dimensioned for the process or processes for which they are intended. Overtopping of the barriers by debris flows and sediment transport is possible, supporting the design concept that a series of barriers may be used to stop volumes of debris larger than are possible using only one barrier. The future for these barrier concepts looks promising because these barriers represent the state of art for such applications and are superior to many other available options.

  • PDF

중력식 사방댐 후면에 설치된 원통형 대책구조물의 배치조건이 토석류의 충격하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ylindrical Baffle Configuration Behind Rigid Barrier on Impact Load of Debris Flow)

  • 김범준;윤찬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8권11호
    • /
    • pp.7-1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중력식 사방댐 후면에 설치된 원통형 강성기둥 구조물의 배치변화가 토석류의 흐름거동 및 충격하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대책구조물들을 소형수로에 모사한 다음 원통형 구조물의 종방향 배열 수와유로 차단비율을 변화시켜가면서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과정에서 대책구조물의 주변 흐름거동을 촬영하고, 중력식 사방댐의 작용하는 토석류의 충격하중을 측정하기 위해, 수로 측면과 상부에는 고속카메라를 설치하였고, 사방댐의 전면에는 로드셀을 설치하였다. 게다가, 글라스 비즈를 이용하여 토석류에 의해 동반되는 큰 직경의 거석들을 수로에 모사하였다. 실험결과, 중력식 사방댐 후면에 원통형 강성기둥 구조물의 설치는 토석류의 충격하중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책구조물의 유로 차단비율을 증가시키면 거석을 동반한 토석류의 흐름억제를 증가시켜 충격하중을 더욱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Field Investigation of Debris Flow Hazard Area on the Roadside and Evaluating Efficiency of Debris barrier

  • Lee, Jong Hyun;Lee, Jung Yub;Yoon, Sang Won;Oak, Young Suk;Kim, Jae Jeong;Kim, Seung Hyun
    • 지질공학
    • /
    • 제25권4호
    • /
    • pp.439-447
    • /
    • 2015
  • In this study, specific sections vulnerable to debris flow damage were selected, and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was performed for the sections with debris flow hazards.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tions with debris flow hazards and the current status of actions against debris flow were examined, and an efficient installation plan for a debris flow damage prevention method that is required in the future was sugges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Route 56 section where the residential density is relatively higher between the two model survey sections, facilities for debris flow damage reduction were insufficient compared to those in the Route 6 section which is a mountain area. It is thought that several sites require urgent preparation of a facility for debris flow damage reduction. In addition, a numerical analysis showed that for debris barriers installed as a debris flow damage prevention method, distributed installation of a number of small-scale barriers facilities within a valley part was more effective than single installation of a large-scale debris barrier at the lower part of a valley.

해양유입 부유쓰레기 차단막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barrier system for floating debris at river)

  • 홍기용;최학선;조일형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1-67
    • /
    • 2001
  • 해양으로 유입하는 부유쓰레기를 하천에서 차단하는 시스템의 개발에 관해 소개한다. 차단막 시스템은 육상쓰레기에 기인하는 연안역의 해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시스템은 차단막, 계류시스템, 차단막 감는장치로 구성된다. 차단막은 판스프링에 의한 자동 팽창식으로 설계되었으며, 부유쓰레기를 수거하는 콘베이어시스템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한다. 차단막 시스템의 설계기준을 정립하기 위하여, 설계인자들을 고찰하였다. 정립된 설계기준에 기초하여, 차단막 시스템의 시제품이 제작되었으며, 한강의 탄천에서 성능을 시험하였다. 성능시험 곁과는 개발된 차단막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하천의 부유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 PDF

중공트랙형 단면의 프리캐스트 에코필라 사방댐 공법개발 (Development of Precast Concrete Method for Eco-Pillar Debris Barrier with Hollow Cross-Section)

  • 김현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42-55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친환경 에코필라 사방댐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리캐스트공법을 제안하고 성능검증을 수행하였다. 강재를 이용한 사방댐 형식은 공사비가 높고 부식으로 인한 환경문제도 발생하고 있어, 최근에는 콘크리트를 이용한 친환경 사방댐의 설치가 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사방댐 설계기준으로 명확하게 제시된 자료가 없어 경험적으로 설계되고 있을 뿐 아니라 에코필라 사방댐에 대한 기준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에코필라 사방댐의 설계외력 산정방법에 대해 제안하고 중공트랙형 단면을 적용하여 설계를 수행하였다. 또한, 구조적으로 비교적 간단한 캔틸레버 기둥으로 최대 휨모멘트가 작용하며 프리캐스트 공법의 핵심기술이라 할 수 있는 연결부 공법을 3가지로 제안하고 실물모형 실험을 통해 성능검증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루프철근 이음을 적용한 실험체가 가장 큰 강성을 보였고 앵커철근으로 연결된 실험체가 작은 값을 보였으나, 제시된 3가지 형태의 연결공법은 모두 극한하중에 따른 최대 휨모멘트를 충분히 넘어서는 성능을 나타내었다. 실물 실험체의 제작과정에서 각 공법에 대한 시공성에 대해 검토한 결과 앵커식 연결방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